| 1. 출생 | |
|---|---|
| 1910 | 7월 29일, 경남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1045번지에서 7남매 중 차남 |
| 1910 | 출생 |
| 2. 성장과정 | |
| 1918 | 9세,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 3년간 계속 |
| 1920 | 11세, 신학문을 야학에서 2개월 공부, 7월에 '웅양공립보통학교' 1학년 입학 |
| 1926 | 17세, 일본에서 19세까지 3년간 탄광, 공장 등을 거치며 많은 경험 (소화원년) |
| 1928 | 11월 귀국. 12월 11일 개명리 이경순과 결혼 (소화3년) |
| 1929 | 9월 1일. 탁주제조업 면허로 사업 시작 (소화4년) |
| 1924 | 5학년 2학기말에 가정 경제문제로 자퇴 |
| 3. 신앙과정 | |
| 1936 | 6월 21일, 주일에 이경순사모님 농산교회 첫 출석
7월 4일, 말세 공포와 죄인 형벌의 공황심 폭발로 교회 출석 시작 7월14일, 안식교 권서 정사현 방문, 율법을 말하여 믿고 따라 2주간 안식일 지킴 농산교회 황보기장로님 10여차례 방문, 하나님의 의로 구원되는 길 권면 |
| 1937 | 세례, "백영희, 남27세, 1937.1.31.(신년행사) 개명리수유, 백영화弟, 시취 고도열(선교사)" |
| 4. 목회생활 | |
| 1938 | 1월 18일 진주성경학원 예과와 1학년 1학기 수료로 성경학교 공부를 종료
10월 19일 오전8시-20일 오후7시, 신사참배문제로 화산봉에서 금식기도 중 하늘 음성 |
| 1939 | 고향 개명리 수유동네에 기도소로 목회 시작, 장년 남녀 8인 |
| 1944 | 1월초, 개명교인 43명 전원이 돌림병, 한 명도 생명을 잃지않고 일제 어려운 때를 지남
1-5월까지 총독부의 예배장소합동령에도 불구하고 대낮 예배 6월 26일부터 일본어강습을 위해 예배당이 강제사용되어 정갑용댁에서 예배 |
| 1945 | 4월, 넉달이 지나면 해방이 된다는 계시로 마지막 신사참배 고비를 맞고 덕유산 기도 중 4일째 해방을 맞아 하산
8월 20일, 고제면 독립축하대회에서 대표연설 8월 21일, 예배당 되찾아 수리 |
| 1946 | 43월 24일, 각자 가지던 새벽기도를 '기도회'로 정식 출발
84월 3일, 새벽기도회를 새벽예배로 정식 출발 |
| 1948 | 1월, 가조교회집회, 신유은사를 중단하고 말씀 강도 위주로 집회 전환
전도사 인허 3월, 봉산교회집회, 17개교회 400명 참석하고 초대교회 역사 경험 |
| 1949 | 5월 1일, 위천교회 부임
7월 18일, 위천국민학교 졸업식 때 국기배례 사건 돌출 |
| 1950 | 3월 1일, 삼일절 기념식장에서 국기배례문제가 큰 사회문제화
4월 25일, 국무회의에서 국기배례를 국기에 대한 주목으로 변경 결의 발표 6월 2일, 고려신학교 입학 |
| 5. 부산서부교회 | |
| 1952 | 7월 27일, 부산서부교회 부임 |
| 1954 | 6월 17일, 고려신학교 제8회 졸업 |
| 1956 | 12월 성탄절 직후, 완전삭발 |
| 1957 | 고신측 강도사고시 합격, 제1회 거창집회(삼봉산에서 시작) |
| 1958 | (*제1회 대구집회, 부산 금정산에서 금정산집회로 시작 1968년까지 계속) |
| 1959 | 4월, 강도사 해임 통고
6월 11, 시무해임 통고 9월 8일, 고신측에서 제명 |
| 6. 총공회 | |
| 1960 | 개교회로 출발하는 첫해로, 교회 운영 전반을 초대교회의 단순화 은혜 중심으로 전환
성탄절의 일반 교회식 행사 폐지 목사안수(11.29), 김현봉 이병규 최순직 김응익 이용규 5명 목사님을 서부교회로 청빙 안수 |
| 1961 | 홍순철선생님의 주일학교 통합반 시범운영
주일저녁예배를 오후예배로 전환, 학생회와 찬양대 존속 마지막 해 성탄절 점심식사후 전도 시작 |
| 1962 | 예배당 전면 개수, 옆집 구입후 단일지붕으로 통합공사 |
| 1966 | 5월 26일, 제1회 공의회(총공회)로 출발 |
| 1967 | |
| 1968 | 거창집회 장소가 삼봉산에서 도평으로 이동
합동측 경북노회에서 이단정죄 |
| 1969 | 금정산집회가 대구 노곡동으로 장소를 바꾸어 이어짐 |
| 1970 | 8월 3일, 제2회 총공회
주일학교와 장년반이 각각 1천명 출석 기록 콘크리트 3층 예배당으로 신축 |
| 1975 | 총공회운영위원회 설치
10월, 김의환저 '이단의 정체' 출간서에서 한종희목사님의 '일부독립교회편' 이단정죄. 출간과 동시에 바로 저자가 사과 취소하고 공증함. |
| 1976 | 3월, 목회자양성원 설립 |
| 1978 | 중간반을 시작하여 주일학교와 나란히 진행
원래 주교 졸업하면 바로 장년반에 참석했으나 주교 부흥으로 수 백명의 불신 가정 학생들이
장년 예배에 참석하게 되면서 중고등학생을
장년 예배와 꼭 같이 편제 |
| 1979 | 2월 5일, 조갑제기자의 주일학교 취재보도로 서부교회 주일학교 존재의 외부 등장 |
| 1982 | 3월 10일, 백영희목회연구소의 전신으로 서부교회 편집실 출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병환으로 수개월 고생 |
| 1987 | 8월 15일, 서영준목사님 사망
11월, 김철수목사님 탈퇴, 기독교는 민주주의라는 소신 |
| 1989 | 1월 3일, 백영익목사님 등 공회 내 수정주의 노선의 공회행정 5개 개선안 제출
1월 3일, 백목사님의 행정8개안 발표 3월, 제19회 총공회 8월 27일, 백목사님 순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