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KIST
백영희 신앙노선의 오늘을 고민하는
목회 연구소
총공회 목회연구소
0
총공회
백영희
보관자료
연구실
행정실
활용자료
참고자료
총공회
총공회 소개
인물/사건
소사/일지
역사자료
목회 연구소
역사
참고
백영희
보관자료
추가자료
출간 설교록
미출간 (준비)
설교록 발췌집
연구서적
출간목록
연구실
행정실
행정
보관
정정
회원/후원
활용자료
교리 정리
성경신학
[설교류]
원본설교(확정)
원본설교(검토)
성경단어사전
주교공과
[사전류]
교리성구사전
주해사전
용어사전
예화사전
메모사전
각주사전
참고자료
메인
총공회
백영희
보관자료
연구실
행정실
활용자료
참고자료
0
일반자료
     
이곳의 신앙성향을 고려하여 소개하고 싶은 일반 자료
홈 > 연구실 > 일반자료
일반자료 글답변
옵션
비밀글
이름
날짜
제목
필수
보충설명
웹에디터 시작
> > > <div class="_ngApp"><br><div>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jyoun24&logNo=220070283748&proxyReferer=&proxyReferer=https%3A%2F%2Fblog.naver.com%2Fkjyoun24%2F220070283748</div><br></div><br><div class="ct_wrap"><br><div id="ct" class="end"><br><div class="_postView"><br><div class="post_tit_area"><br><div class="tit_area"><br><h3 class="tit_h3">거창지방에서의 기독교의 연원과 교회의 설립</h3><br></div><br></div><br><div id="viewTypeSelector" class="post_ct"><br><br><span class="_img fx"><img class="_postImage" src="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724_52/kjyoun24_1406174036934asNsm_JPEG/2014-07-24_12%3B51%3B55.jpg?type=w2" alt="2014-07-24_12%3B51%3B55.jpg?type=w2" /></span><br><br><strong>거창지방에서의 기독교의 연원과 교회의 설립</strong><br><br>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churches in Geochang Area<br><br><span class="_img fx"><img class="_postImage" src="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0724_172/kjyoun24_1406174158226DB9w0_JPEG/2014-07-24_12%3B53%3B51.jpg?type=w2" alt="2014-07-24_12%3B53%3B51.jpg?type=w2" /></span>xa0<strong>정원길 목사</strong>(평택일심교회)<br><br><strong>목차</strong><br><br><strong>Ⅰ. 서론</strong><br><br><strong>Ⅱ. 경남지방에서의 기독교</strong><br><br><strong>Ⅲ. 거창지방에서의 기독교 접촉</strong><br><br>1. 초기 접촉<br><br>2. 북장로교선교회 활동<br><br>3. 호주장로교선교회 활동<br><br>3.1 남 선교사와 복음전도사역<br><br>3.2 여 선교사와 의료، 교육사역<br><br>3.2.1 의료사역<br><br>3.2.2 교육사역<br><br><strong>Ⅳ. 거창지역에서의 교회설립</strong><br><br>1. 초기 인물들<br><br>1.1 북장로교 선교사<br><br>1.1.1 심익순<br><br>1.2 호주장로교 선교사<br><br>1.2.1 맹호은<br><br>1.2.2 거열휴<br><br>1.2.3 길아각<br><br>1.2.4 도별익<br><br>1.2.5 권임함<br><br>1.3 한국교회 지도자<br><br>1.3.1 오형선<br><br>1.3.2 황보기<br><br>1.3.3 주남고<br><br>2. 교회설립<br><br>2.1 1920년 이전 설립 교회<br><br>2.1.1 1904년 개명교회<br><br>2.1.2 1906년 8월 웅양교회<br><br>2.1.3 1906년 9월 가조교회<br><br>2.1.4 1907년 9월 가천교회<br><br>2.1.5 1909년 1월 위천교회<br><br>2.1.6 1913년 7월 성기교회<br><br>2.1.7 1909년 10월 거창읍교회<br><br>2.1.8 1915년 원기교회<br><br>2.2 1920년대 이후 설립 교회<br><br>2.2.1 1923년 2월 적화교회<br><br>2.2.2 1926년 청림교회<br><br>2.2.4 1934년 4월 농산교회<br><br>2.2.5 1934년 10월 가북교회<br><br>2.2.6 1934년 북상교회<br><br>2.2.7 1936년 2월 도평교회<br><br>2.2.8 1936년 4월 무릉교회<br><br>2.2.9 1937년 3월 봉산교회<br><br><strong>Ⅴ. 거창지역의 기독교 운동</strong><br><br>1. 독립운동과 교회<br><br>2. 기독교 학교<br><br>3. 사회개혁: 구습، 미신، 여성교육، 사회계몽<br><br>4. 보건 위생<br><br><strong>Ⅵ. 결론</strong><br><br><strong>참고문헌</strong><br><br><strong>Ⅰ. 서론</strong> (생략)<br><br><strong>Ⅱ. 경남지방에서의 기독교</strong><br><br>경남 지역에서의 최초의 기독교와의 접촉은 일본인 매서 전도자 나가사까(長坂毅)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일본 요꼬하마 주재 스코틀랜드성서공회(NBSS، The National Bible Society of scotland)의 톰슨(J. Austin Thomson)총무에 의해 채용되어 1883년 7월 11일 한국으로 파송되었다. 그는 흔히 로스역으로 알려진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서』와『예수셩교 요안나 복음젼서』를 들고 한국에 왔다. 나가사까는 약 2개월간 부산과 원산등지를 순회하며 성경을 반포하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뒤이어 1884년 4월 13일에는 일본인 매서 전도자 미우라(三浦)، 스가노(管野)부부가 톰슨과 함께 부산에 입국하여 부산에서 동래성으로 가는 도로변에 성경보급소를 설치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 사업은 1886년 말에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br><br>두 번째의 경남지역에서의 선교의 시도는 영국교회선교회(CMS، Church Missionary Society)소속의 월푸(Archdaecon John R. Wolfe، 1832-1915)선교사에 의해 이뤄졌다. 그는 1884년 10월 요양차 부산을 방문했고 이때 조선선교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중국 푸초로 돌아간 그는 1885년 11월 말경 두 사람의 중국인 전도인을 대동하고 다시 부산에 왔다. 이들은 호주 CMS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선교활동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 선교 활동과 결과를 알 수 없다. 그러나 월푸의 노력은 영국 성공회의 ‘외지 복음 선교회’(SPG،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Gospel in foreign Parts)의 한국선교의 길을 열었고، 호주선교사 데이비스가 한국선교를 결심하게 되는 동기를 제공했다.<br><br>세 번째의 경남지역의 기독교와의 접촉은 캐나다인 선교사 게일(James Scarta Glae، 奇一، 1863-1937)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토론토대학 기독교청년회(YMCA)의 파송으로 1888년 내한하여 서울에 머물다 1889년 8월 부산으로 이주했다. 그는 초량에 머물면서 이후 약 1년 남짓 부산에 체류하면서 “영남각군에 순행전도”했다.<br><br>1890년 4월 4일 부산에 선교하기 위해 도착한 호주선교사 데이비스(Rev. Joseph Henry Davies، 1856-1890)는 무리한 여행으로 인해 천연두와 폐렴에 감염되어 다음날인 5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청년연합회(YMFU، Young Men's Fellowship Union)의 후원으로 파송되었는데 그의 죽음은 훗날 호주장로교의 부산선교의 길을 열었다.<br><br>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해 오던 북장로교 선교부는 1891년 부산과 평양에도 선교지부를 개설하기로 하고 부산에 윌리엄 베어드(Rev. William Baird، 裵緯良 1862-1931) 선교사를 파송했다. 베어드는 1891년 9월 미국 영사관의 협조로 영선현의 땅을 선교부지로 매입했고 이 땅이 북장로교의 부산.경남 지역 선교 거점이 되었다. 베어드는 이후 4년간 부산에 거주하면서 김해، 진주، 동래، 울산، 밀양، 대구، 상주، 안동، 경주 등 경상도 지방과 전주، 목포 등 전라도 지방을 순회 전도했다.<br><br>미국성서공회소속의 피터즈는 1897년 봄에 전라도를 거쳐 부산으로 가는 여행을 했는데، 목포-나주-보성-낙안-순천-광양-구례-곡성-남원-함양-눌보-마산포-부산으로 이어지는 여행을 했다. 3월6일부터 5월17일까지 계속된 이 여행에서 약 30개 마을을 다니면서 924권의 복음서와 96권의 신약전서를 판매하였다.<br><br><strong>Ⅲ. 거창지방에서의 기독교 접촉</strong><br><br>1. 초기 접촉<br><br>거창지역에서의 최초의 기독교와의 접촉은 1904년으로 확인된다.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는 1904년의 기사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br><br>同年 秋에 居昌郡 開明里敎會가 成立하다. 先時에 朴順明، 金宗漢外 十餘人이 信徒하야 敎會가 成立되고 宣敎師 沈翊舜 助師 金周寬이 視務하니라.<br><br>1904년에 건립된 개명교회는 거창지역 최초의 교회이다. 그렇다면 박순명과 김종한 그리고 10여명의 개명교회 교인들이 거창지역 최초의 신자가 되는 셈이다. 그런데 이들이 심익순과 김주관에게 전도 받아 믿게 되었는지، 혹은 이미 다른 누군가에게 복음을 듣고 믿고 있던 차에 심익순 일행이 와서 교회를 조직해 주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개명교회는 설립보고만 되어 있을 뿐 후대의 기록 속에서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다. 1906년 북장로교 선교보고에는 당시 거창지역에서 “불순한 발전(wild-cat-proceedings)". 『한국교회 전도부인 자료집』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br><br>초량교회100년사 편찬위원회. 『초량교회 100년사، 1892-1992』초량교회، 1994.<br><br>『브리태니커 백과사전』문덕수 편저. 성문각، 1975. “보천교”항목.<br><br>『십자가』제4권1호(1939. 12).<br><br>거창군.『2007년판 제47회 거창군통계연보』기획감사실، 2007.<br><br>군사편찬위원회.『거창군사』은창인쇄소، 1997.<br><br>윤범식.『거창부지』거창문화원، 2008.<br><br>영남교회사편찬위원회. 『한국영남교회사』양서각، 1987.<br><br>A. A. Pieters' letter to H. Loomis، May 31، 1897.<br><br>E. A. Kerr، G. Anderson. 『호주 장로교선교회의 부산. 경남지역 종교 및 교육활동1889-1941』이원호، 김성애역. 광명출판사، 1997.<br><br>Extracts from the Records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909-1913. (APM. 1913).<br><br>Minutes and Reports of the Twenty-four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for 1908.<br><br>Kerr، Edith A. & Anderson، G.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889-1941، (Australian Presbyterian Board of Missions، 1970).<br><br>Report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the Annual Meeting for 1906.<br><br>Report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the Annual Meeting for 1907.<br><br>Rhodes، H. A.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 S. A. Vol. Ⅰ(1884-1934).<br><br>지도<br><br>조선일보사.『대동여지도(영인축쇄본)』조선일보사، n.d.<br><br>회의록<br><br>『조선예수교장로회 거창군읍내교회 직원회 회록』(1914،4،6-1922،4،25).<br><br>『조선예수교 장로회 경상도노회록(1911-1916)』<br><br>『조선예수교 장로회 경남노회 회의록 Ⅰ(1916-1929)』<br><br>『조선예수교 장로회 경남노회 회의록 Ⅱ(1929-1935)』<br><br>『조선예수교 장로회 경남노회 회의록 Ⅲ(1935-1937)』<br><br>『대한예수교 장로회 경남노회촬요 26(1925)-65(1956)』<br><br>논문<br><br>김종혁. “함양지방에서의 기독교의 기원.”『부.경 교회사 연구』제10호(2007، 9).<br><br>김광규. “개신교 전래초기 진주지역에서의 호주장로교 선교부의 활동.”『부.경 교회사 연구』제7호(2007، 3): 35-59.<br><br>민상식. “함양중앙교회 및 병곡교회 개척초기 회고.”『부.경 교회사 연구』제12호(2008، 1): 62-76.<br><br>박창식. “미국 북장로교회의 대구.경북지방 초기 선교.”『부.경 교회사 연구』제8호(2007، 5): 55-76.<br><br>이상규. “진주지역 기독교의 기원과 발전.”『부.경 교회사 연구』창간호(2006، 3): 34-61.<br><br>이상규. “호주선교사 교수 왕길지.”『부.경 교회사 연구』제12호(2008، 1): 45-61.<br><br>이상규. “호주장로교의 첫 선교사 헨리 데이비스.”『부.경 교회사 연구』제5호(2006، 11): 75-95.<br><br>이상규. “한국선교의 내력을 간직한 역사의 도시 멜본.” 『크리스챤리뷰』(2002. 9).<br><br>. “맹호은 선교사2.”『크리스챤리뷰』제90호(1997، 6).<br><br>이만열. “권서에 관한 연구.” 『동방학지』제65호(1990): 77-173.<br><br>조헌국. “거창군 기독교 장로교회사.” 『아림신문』1987년 4월7일자، 7.<br><br>(2012.11.4. 고신 경남노회 홈페이지 자료실)<br><br></div><br></div><br></div><br></div><br><div class="_lazyLoadingList"></div><br><div class="_lazyLoadingList"></div><br><div class="_lazyLoadingList"></div><br><div class="_lazyLoadingList"></div> > >
웹 에디터 끝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정리
(세부)▶
①'백영희신앙노선'총괄(요약)
②'백영희신앙노선'총괄(전체)
③교리정리
④성경신학
⑤문답방정리
⑥기타정리
자료
분류자료
●
문의답변
쉬운문답
발언/주제연구
연경교재
참고연경
일반자료
남단에서2
+
새글..
07.05
옷
07.05
금식은 세상 사전에서 음식을 중단한다는 뜻이다. 성경은 먹이라는 뜻이다.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한다.
07.05
성경 단어 정의 원칙
07.05
골짜기 가운데 매끄러운 돌 중에 너희 소득이 있으니 그것이 곧 너희가 제비 뽑아 얻은 것이라 너희가 전제와 예물을 그것들에게 드리니 내가 어찌 이를 용인하겠느냐
07.05
구약 이방인의 구원
07.03
1988년 7월 30일 조선일보 백영희목사 사경회 광고
07.03
1987년 김철수 목사님 백목사님께 보낸 엽서
+
새댓글
서기
03.18
공개 완료
성도A
03.16
31절에서34절말씀주해요망
State
현재 접속자
34 명
오늘 방문자
617 명
어제 방문자
611 명
최대 방문자
1,483 명
전체 방문자
2,620,23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