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KIST
백영희 신앙노선의 오늘을 고민하는
목회 연구소
총공회 목회연구소
0
총공회
백영희
보관자료
연구실
행정실
활용자료
참고자료
총공회
총공회 소개
인물/사건
소사/일지
역사자료
목회 연구소
역사
참고
백영희
보관자료
추가자료
출간 설교록
미출간 (준비)
설교록 발췌집
연구서적
출간목록
연구실
행정실
행정
보관
정정
회원/후원
활용자료
교리 정리
성경신학
[설교류]
원본설교(확정)
원본설교(검토)
성경단어사전
주교공과
[사전류]
교리성구사전
주해사전
용어사전
예화사전
메모사전
각주사전
참고자료
메인
총공회
백영희
보관자료
연구실
행정실
활용자료
참고자료
0
추가자료
출간 설교록
미출간 (준비)
설교록 발췌집
연구서적
출간목록
주일학교 공과
     
공과 글답변
이름
필수
옵션
HTML
비밀글
성경
성경검색
비밀글
필수
제목
필수
작성일
공과
영어
비공개
설교 : 83-11-27(48공과) 본문:디모데전서 6장 17절∼19절 제목:영육이 축복받는 길 요절:네가 이 세대에 부한 자들을 명하여 마음을 높이지 말고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두지 말고 오직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 (딤전 6:17) 서론 축복의 종류는 수다합니다. 그러나 참 축복은 하나뿐입니다. 사람들이 타락으로 어두워짐으로 참된 지식 하나님이 주신 지식은 받지 못하고 사람들끼리 무책임하게 생각나는 대로 말한 지식이기 때문에 주권자의 지식에 맞지 아니하므로 인간 스스로 속여 멸망을 축복이라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다 자멸을 취하는 것뿐입니다. 영육이 합해 사람된 것이기때문에 영육의 축복은 하나뿐입니다. 참된 축복은 금생과 내세 영원까지 축복이 되어야 축복입니다. 시작에는 축복 같으나 결과가 멸망하면 무슨 축복이 되겠읍니까? 축복받는 길은 본론 1.멸망의 길을 벗어나야 합니다. 벗어나야 할 멸망의 길은 사람이나 물건이나 일이나 모든자연이나 조건이나 인간의 각종 실력이나 어떤 것이든지 하나님이 축복 안 하셔도 이것은자기를 복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멸의 모든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이 생각을 버리기 전에는 누구나 자기를 행복되게는 못 합니다. 이유는 우리 주님이 모든 것을 주권하시기때문에 아무리 불행한 것이라도 복되게 하시면 복이 되고 망하게 하면 망하는 것입니다. 인간 행복의 주권을 다른 것에게 옮기면 하나님께서 절대 용서치 않습니다. 인간의 영원한 멸망이 여기에서 생긴 것입니다. 2.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금생과 영원 내세의 행복은 하나님이 사람으로 나타나신 예수님의대속을 믿고 주님 한 분만이 영육의 복을 주실 수 있는 이 사실을 확신하고 성경 말씀대로하나 하나를 지켜 행하는 것입니다. 그런고로 하나님만이 복의 근원이심을 믿고 경외하고또 하나님이 이런 것 저런 것들을 사용하신 복의 기관을 하나님 다음으로 귀중히 여기고 대우하여야 합니다. 제오계명도 이 진리에 속한 것입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복을 주실 뿐만 아니라 그 복을 영원히 누리게 하신다고 하셨읍니다. 3.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길은 배웠으나 또 그 복을 받아 가지고 이 복을 사용을 잘 하여야점점 축복으로 커가는 것입니다. 사용을 잘못하면 크지는 못합니다. 사용하는 제일 좋은 방편은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요하라 하신 말씀은 각양 선한 일을 점점 힘쓰라 하심이요 나누어 주기를 힘쓰라 하심은 자기만 복받는 선한 일을 힘쓸 뿐만 아니라 자기에게있는 것을 남에게 나누어 주어 모두가 선한 일에 힘쓰도록 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또 동정하는 자가 되라고 하셨읍니다. 이는 모든 사람의 좋고 나쁜 모든 사정을 내가 건너다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고 그 사정을 내 사정같이 여겨 같이 웃고 울고 근심하고 힘쓰고 잘되도록 노력하는 이웃을 자기같이 동정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미래 영원까지 자기를 참행복되게 하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셨읍니다. 문답 1참 축복받는 길은 몇입니까? 답:한 길뿐입니다. 2.어찌하여 세상에 축복받는 길이 많습니까? 답:타락한 인간이 어두워져서 멸망받는 길을 축복의 길로 잘못 알고 또 가르쳐 준 까닭입니다. 3.멸망의 길을 피하는 것이 어떻게 하는 것입니까? 답:하나님 외에 인생을 복되게 하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유혹을 버려야 합니다. 4.축복받는 길은 무엇입니까? 답:①예수님 믿고 ②선한 생활을 넓혀가고 ③복의 기관을 대우하고 ④동정하는 자가 되도록 힘쓰는 것입니다. ------------------------------------------------------------------------ (*설교) 서론 축복의 종류는 많습니다. 그러나 참 축복은 하나뿐입니다. 사람들이 타락으로 어두워져서 참된 지식인 하나님 주신 지식은 받지 않고 사람들끼리 무책임하게 생각나는 대로 말한 지식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권자의 지식에 맞지 아니하여 인간 스스로 속여 멸망을 축복이라 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다 자멸을 취하는 것뿐입니다. 사람은 영육이 합해 사람이 되었으므로 영육의 축복은 하나뿐입니다. 참된 축복은 금생과 내세 영원까지 축복이 되어야 축복입니다. 시작에는 축복 같으나 결과가 멸망하면 무슨 축복이 되겠읍니까? 축복받는 길은 본론 1.멸망의 길을 벗어나야 합니다. 벗어나야 할 멸망의 길은 사람이나 물건이나 일이나 모든 자연이나 조건이나 인간의 각종 실력이나 어떤 것이든지 하나님이 축복 안 하셔도 이것은 자기를 복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멸의 모든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이 생각을 버리기 전에는 누구나 자기를 행복되게는 못 합니다. 이유는 우리 주님이 모든 것을 주권하시기때문에 아무리 불행한 것이라도 복되게 하시면 복이 되고 망하게 하면 망하는 것입니다. 인간 행복의 주권을 다른 것에게 옮기면 하나님께서 절대 용서치 않습니다. 인간의 영원한 멸망이 여기에서 생긴 것입니다. 2. 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금생과 영원 내세의 행복은 하나님이 사람으로 나타나신 예수님의대속을 믿고 주님 한 분만이 영육의 복을 주실 수 있는 이 사실을 확신하고 성경 말씀대로하나 하나를 지켜 행하는 것입니다. 그런고로 하나님만이 복의 근원이심을 믿고 경외하고 또 하나님이 이런 것 저런 것들을 복의 기관으로 사용하시니 그런 것을 하나님 다음으로 귀중히 여기고 대우하여야 합니다. 제5계명도 이 진리에 속한 것입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복을 주실 뿐만 아니라 그 복을 영원히 누리게 하신다고 하셨읍니다. 3.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길은 배웠으나 또 그 복을 받아 가지고 이 복을 잘 사용해야 점점 축복으로 커가는 것입니다. 사용을 잘못하면 자라갈 수 없습니다. 사용하는 제일 좋은 방편은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요하게 되는 것입니다. 각양 선한 일을 점점 힘쓰라 하심이요 나누어 주기를 힘쓰라 하심은 자기만 복받는 선한 일을 힘쓸 뿐만 아니라 자기에게있는 것을 남에게 나누어 주어 모두가 선한 일에 힘쓰도록 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동정하는 자가 되라고 하셨읍니다. 이는 모든 사람의 좋고 나쁜 모든 사정을 내가 건너다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고 그 사정을 내 사정같이 여겨 같이 웃고 울고 근심하고 힘쓰고 잘되도록 노력하는 이웃을 자기같이 동정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미래 영원까지 자기를 참행복되게 하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셨읍니다.
설명
웹에디터 시작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추가자료
출간설교록
미출간설교록
설교록발췌집
▶
주일학교 공과
메모
추천소선집
설교선집
연구서적
출간물 원본자료
+
새글..
07.03
1988년 7월 30일 조선일보 백영희목사 사경회 광고
07.03
1987년 김철수 목사님 백목사님께 보낸 엽서
07.03
1979년 3월 청도읍교회 교역자 사례 계산
07.03
1974년 9월 3일 대구 노곡동 백태영 명의이전건 논의
07.03
1975년 10월 교역자 모임 불개최 통지서
07.02
손양원 옥중서신(3판)
07.02
이광일, 손양원 옥중서신
+
새댓글
서기
03.18
공개 완료
성도A
03.16
31절에서34절말씀주해요망
State
현재 접속자
30 명
오늘 방문자
601 명
어제 방문자
613 명
최대 방문자
1,483 명
전체 방문자
2,619,60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