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의 중심, 성격

교리성구 사전(527개)       조직신학 본서

율법의 중심, 성격

분류 구원론 ()
성경 24렘7:22-23
성구 오직 내가 이것으로 그들에게 명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내 목소리를 들으라
담당 0 101

렘7:22, 대저 내가 너희 열조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날에 번제나 희생에 대하여 말하지 아니하며 명하지 아니하고
렘7:23, 오직 내가 이것으로 그들에게 명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내 목소리를 들으라 그리하면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겠고 너희는 내 백성이 되리라 너희는 나의 명한 모든 길로 행하라 그리하면 복을 받으리라 하였으나

삼상15:22, 사무엘이 가로되 여호와께서 번제와 다른 제사를 그 목소리 순종하는 것을 좋아하심 같이 좋아하시겠나이까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율법의 우선은 낱낱이 법을 정했고 지켜야 복이고 아니면 화가 된다. 구약의 전부가 율법이다. 신약도 계명적 내용은 역시 율법이다. 그런데 그 율법은 명령을 적은 이면에 그 뜻이 있다. 그 뜻이 목적이고 이유이며 그 뜻을 위해서 명령을 일일이 했다. 그 뜻을 알면서 그 율법을 지키면 율법이 복음이 된다. 그 뜻을 잊고 버리고 율법만 지키면 심판만 된다. 율법을 지킨다며 뜻을 버리거나, 뜻이 중요하다면서 율법의 규정을 버리면 죄다. 율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왜 규정을 했는지 뜻을 살펴야 한다.

막7:11, 너희는 가로되 사람이 아비에게나 어미에게나 말하기를 내가 드려 유익하게 할 것이 고르반 곧 하나님께 드림이 되었다고 하기만 하면 그만이라 하고


양면을 통해 우리를 길러 가기 위해 주신 말씀이다.

'계시론'의 구약에 율법의 취지
'죄론/ 구원론'에서 구약 율법의 의미와 성격
'교회론'에서 구약과 율법은 오늘 우리의 신앙 현실에 어떤 의미인지를 살필 말씀이다.


신앙 세계의 역사적 흐름을 볼 때 교회의 탈선 과정에 나타나는 큰 흐름의 배경이 이 문제다. 자유주의로 속화 타락하는 교회들은 율법의 취지를 강조하면서 율법의 규정 중에 당장 거리끼는 것을 버린다. 잘 믿으려는 이들은 규정을 지키다가 취지를 버리고 천주교화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