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론
서론
1. 예수님의 존재론
-‘신인양성일위’와‘도성인신’
2. 대속의 전제 조건
3. 대속의 성격
4. 대속의 내용
5. 대속의 적용과 부활의 예수님
제사와 대속의 관계
죄 해결의 속죄제와 허물의 해결인 속건제는 크게 '사죄' 문제다. 나눈 것은 우리를 실제 고쳐 가기 위해 필요하다. 큰 죄는 당연히 적어야 하고 작은 것이 실제 우리에게 대부분이다. 둘이 함께 해결이 되어야 한다.
번제는 나를 다 바치는 제사다. 구약의 제사 모습에서 기본이므로 레위기 1장에 먼저 기록했으나 교리적으로는 사죄 다음이 칭의다. 주님의 뜻에 우리를 다하는 단계다.
소제는 자기를 완전히 부인하고 화목제는 주님과 하나 되는 제사니 '화목'이 제사의 중심이며 중보의 대표 위치다. 화목제는 제사 중에 제물이 제일 많은 제사다.
각종 서원제는 그냥 갖다 붙인 듯하다. 그러나 속죄제 속건제는 필수라면 화목제는 선택일 듯한데 신앙이 자라 가면 더더욱 중요해지고 화목제가 잘 진행 되면 속죄제 속건제는 저절로 줄어 든다. 그리고 이 모든 제사들이 다 진행 된 후에 원하고 원함으로 더욱더 나아 가는 단계가 서원제니 이 서원제는 소망의 교리에 속한다.
기독론
서론
1. 예수님의 존재론
-‘신인양성일위’와‘도성인신’
2. 대속의 전제 조건
3. 대속의 성격
4. 대속의 내용
5. 대속의 적용과 부활의 예수님
제사와 대속의 관계
죄 해결의 속죄제와 허물의 해결인 속건제는 크게 '사죄' 문제다. 나눈 것은 우리를 실제 고쳐 가기 위해 필요하다. 큰 죄는 당연히 적어야 하고 작은 것이 실제 우리에게 대부분이다. 둘이 함께 해결이 되어야 한다.
번제는 나를 다 바치는 제사다. 구약의 제사 모습에서 기본이므로 레위기 1장에 먼저 기록했으나 교리적으로는 사죄 다음이 칭의다. 주님의 뜻에 우리를 다하는 단계다.
소제는 자기를 완전히 부인하고 화목제는 주님과 하나 되는 제사니 '화목'이 제사의 중심이며 중보의 대표 위치다. 화목제는 제사 중에 제물이 제일 많은 제사다.
각종 서원제는 그냥 갖다 붙인 듯하다. 그러나 속죄제 속건제는 필수라면 화목제는 선택일 듯한데 신앙이 자라 가면 더더욱 중요해지고 화목제가 잘 진행 되면 속죄제 속건제는 저절로 줄어 든다. 그리고 이 모든 제사들이 다 진행 된 후에 원하고 원함으로 더욱더 나아 가는 단계가 서원제니 이 서원제는 소망의 교리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