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본)
3. 특별계시
(1) 문서계시 - 성경론
계시를 가장 일반적으로 구분할 때 자연계시와 특별계시로 나눈다. 자연계시에 비하여 특별계시는 믿는 사람에게만 특별히 보여주시는 계시다. 특별계시는 인간 지식을 초월한 것이어서 인간이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고 또 알아질 수도 없는 것이다. 특별계시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성경으로 기록하여 주신 ‘문서계시’와 신앙양심을 통해 성령이 감화와 감동으로 알려주시는 ‘은밀계시’가 있다.
조직신학의 계시론은 ‘특별계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계시는 계시론의 본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조직(구)
(2004년)
3. 특별계시
(1) 문서계시 - 성경론
계시를 가장 일반적으로 구분할 때 자연계시와 특별계시로 나눕니다. 자연계시에 비하여 특별계시는 믿는 사람에게만 특별히 보여주시는 계시입니다. 특별계시는 인간 지식을 초월한 것이어서 인간이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고 또 알아질 수도 없는 것입니다. 특별계시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성경으로 기록하여 주신 ‘문서계시’와 신앙양심을 통해 성령이 감화와 감동으로 알려주시는 ‘은밀계시’가 있습니다.
조직신학의 계시론은 ‘특별계시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별계시는 계시론의 본론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내용
(2023년본)
3. 특별계시
(1) 문서계시 - 성경론
계시를 가장 일반적으로 구분할 때 자연계시와 특별계시로 나눈다. 자연계시에 비하여 특별계시는 믿는 사람에게만 특별히 보여주시는 계시다. 특별계시는 인간 지식을 초월한 것이어서 인간이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고 또 알아질 수도 없는 것이다. 특별계시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성경으로 기록하여 주신 ‘문서계시’와 신앙양심을 통해 성령이 감화와 감동으로 알려주시는 ‘은밀계시’가 있다.
조직신학의 계시론은 ‘특별계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계시는 계시론의 본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조직(신)
성경론,
성경해석, 모르는 부분은 각자에 따라 실행하며 자라 가면 성령이 비로소 가르칠 것이니 당장에 지식욕으로 해결하려 말고 소망에 맡기고
내용
(2023년본)
3. 특별계시
(1) 문서계시 - 성경론
계시를 가장 일반적으로 구분할 때 자연계시와 특별계시로 나눈다. 자연계시에 비하여 특별계시는 믿는 사람에게만 특별히 보여주시는 계시다. 특별계시는 인간 지식을 초월한 것이어서 인간이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고 또 알아질 수도 없는 것이다. 특별계시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성경으로 기록하여 주신 ‘문서계시’와 신앙양심을 통해 성령이 감화와 감동으로 알려주시는 ‘은밀계시’가 있다.
조직신학의 계시론은 ‘특별계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계시는 계시론의 본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