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베드로후서 1장 4절에서의, 참예라는 단어 4436

주제별 정리      

                                   3. 베드로후서 1장 4절에서의, 참예라는 단어 4436

서기 0 22

3. 질문 : 베드로후서 1장 4절에서의, 참예라는 단어 4436

베드로후서 1장 4절에서 '신의 성품에 참예하는 자가...'라는 문장에서 '참예'라는 단어를 한자성경에서는 '參與(참여)'라고 적고 있던데 국어사전에서는 '참예(參預)'와 '참여(參與)'는 뜻은 비슷하지만 한자는 다르게 쓰더라구요. 단순한 번역 잘못인가요? 참고로 한자 성경은 '2001년 1월 30일 80쇄 발행'이구요 한글성경은 '1999년 12월 20일 163쇄 발행' 이에요.


김정수 : 똑 같은 낱말입니다.

'참예'와 '참여'는 비슷한 말이 아니라 똑 같은 말입니다. 한자 가운데는 같은 한자를 조금 다르게 읽는 것도 있고, 조금 다르지만 같은 뜻으로 쓰는 것도 많이 있습니다. 여기서 '예'와 '여'는 서로 다른 한자이지만, '참예'와 '참여'는 뜻의 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다만 '참예'가 '참여'보다 더 오래 된 말이 아닌가 짐작됩니다. '예'라는 한자를 옛날에는 '여'로 읽었었다고도 하니까, 그 소릿값만으로 두 글자가 서로 통했던 것 같습니다.


답변 : 일단 한글성경에 참예로 되어 있으니 참예로 읽었으면

1. '참여'로도 읽고 '참예'로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한글 성경을 읽을 때는 늘 '참예'가 입에 익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자' 성경을 볼 때는 생각 없이 그대로 '참여'라고 눈으로만 보며 읽었습니다.

2. 뜻은 같고 읽는 것은 어떻게 읽어도 되는 경우라고 윗글에서 설명을 하셨으니

한글성경이 '참예'라고 표기한 것을 기억하여, 앞으로는 한자 성경에서 '參與'로 적은 것을 이왕이면 '참예'로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 이곳에서 제공하는 설교록과 음성 자료를 살펴보았는데

참예로 발음을 일관되게 하고 있었습니다. 또 이전에는 참예로 사용하는 것이 많았다는 설명도 계셨으니 더욱 그리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