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시편에 나오는 셀라와 할렐루야의 뜻 3658
서기
성경
0
26
2023.03.13 21:54
2. 질문 : 시편에 나오는 셀라와 할렐루야의 뜻 3658
초신자입니다. 시편을 보면 (셀라)라는 말이 나오는데 무슨 뜻인지요? 할렐루야는 예수님을 부르는 말입니까?
답변 : 셀라는 찬양에 사용되는 신호, 할렐루야는 승리의 하나님을 찬양한다는 뜻
1. '셀라'라는 성경 표현은 구약 성도들이 하나님께 찬양할때 사용하는 음악 부호입니다.
① 찬송할 때 사용되는 음악 부호 또는 신호
현재 그 이상으로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보통 하나님을 찬송하다가 좀 힘 있게 소리를 높여야 하는 '신호'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도는 교회가 알고 있는 짐작이며 상식입니다.
이스라엘나라 사람들은 세계 노벨상의 약 25%를 독차지하고 있는 우수한 민족입니다. 그들은 경제 과학 예술 역사 등에서 탁월한 실력을 가지고 있고 세계적인 학자들을 다량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자기나라 고대사에 나오는 '셀라'라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겠으며 또한 우리와 비교할 때 그들이 알고 있는 정확성은 비교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현재까지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다고 결론이 나 있습니다.
② 그러나 우리는 성경을 통해 그 뜻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셀라가 사용된 곳을 읽을 때, 그 셀라라는 단어가 성경을 읽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잘 살펴보시면 됩니다. 물론 성경 다른 내용에 정확하게 설명한 부분이 없어 남 앞에 이런 뜻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조심해야 합니다.
'셀라'라는 뜻을 알기 위해서 시편을 읽지 마시고, 그냥 시편을 하나님 말씀으로 처음부터 조용하게 읽어 가시다가 '셀라'라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그 단어가 주는 느낌과 뜻을 음미해 보시려고 노력해 보셨으면 합니다. 물론 우리 일반 교인들로서는 성경이 밝히 해석을 해주는 것도 몰라서 헤매는데 성경이 알려주지 않고 그 의미도 전해지지 않는 것을 순수하게 영감으로 찾아 알려고 한다면 너무 거리가 먼 이야기가 아닌가요?
그렇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진실 되게 알아보려고 노력하는 사람에게는 비록 그 신앙이 어려도 어린 신앙이라고 깨닫지 못하는 것은 없습니다. 직접 해당 표현이 성경에 왜 사용되었으며 이 표현에서 내가 가질 은혜가 무엇인지를 찾아보셨으면 합니다. 단, 며칠 연구해 보고 이것이라고 결론을 내리지 마시고 믿어갈 앞날의 많은 세월을 두고 늘 시편을 읽다가 '셀라'가 나오면 그 부분을 다시 한번 더 눈여겨보셨으면 합니다.
어떤 면으로든지 해석이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는 마지막에 이 방법을 통해 성경은 성경으로 직접 해석하게 됩니다.
2. '할렐루야'는 여호와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뜻입니다.
① 사전적 뜻은 '하나님을 찬양하라'지만, 실제는 '승리케 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할렐루야'의 사전적 뜻은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뜻으로만 대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우리를 승리케 하신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라는 뜻으로 성경에는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나님 은혜로 우리가 매 현실에서 죄와 마귀와 사망에게 이기고 신앙걸음을 바로 걸어가게 되는데 알고 보면 우리 현실은 한번도 내적으로 투쟁이 없는 때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모든 신앙투쟁과 어려움에서 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승리할 수 있도록 은혜를 주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다른 설명이 없어도 우리를 승리하도록 하신 하나님의 그 역사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② 찬송가 121장으로 예를 들면
현재 찬송가 121장(통일찬송가 502장)의 '태산을 넘어 험곡에 가도'라는 찬송 후렴에서 '할렐루야 노래함으로 영원히 주를 찬양하리'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여기서 '할렐루야 노래함으로'라고 되어 있는 이 가사는 새찬송가 때부터 바뀌어 내려오고 있는데 원래 해방 이전에 사용되던 신편찬송가에서는 '할렐루야로 노래함으로'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승리하게 하신 그 승리를 가지고 하나님은 나에게 이런 승리를 주셨습니다 라고 하나님의 역사,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는 것이 '할렐루야'의 단어 뜻입니다. 그런데 위의 찬송 가사에서 지금 번역된 찬송가 가사들은 그냥 '할렐루야를 힘차게 불러' 또는 '할렐루야 늘 기뻐하며'라고 되어 있어 그 뜻이 할렐루야에 대한 히브리어 원어의 사전적 의미로만 사용되는 느낌이 많습니다. 즉 '할렐루야'라는 하나님 찬양이라는 뜻을 그냥 입에서 발성만 한다는 느낌입니다.
'할렐루야로 노래함으로'라는 원래 가사는, 승리한 승리 자체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행위가 되어 매 현실에서 하나님으로 승리한 행동이 하나님 찬양의 결과가 되도록 하자'는 뜻이 강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③ 참고로, 설교록에 나타난 관련 설명을 살펴보셨으면 합니다.
(80101050)
(우리가 이렇게 구속의 것으로 나타날 때, 행동할 때에, 나타날 때에 그 때에 그것이 모든 피조물이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는 것이 되어지기 때문에 우리를 가르쳐 영광에 찬미라 이랬습니다. 우리 자체가 하나님의 영광을 찬송하는 그 자체가 되어있다 그 말입니다.
우리를 보면 모든 것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때문에 '할렐루야로 노래하므로 영원히 주를 찬양하세'라고 그 전에 찬송가를 지은 사람은 그렇게 지었는데, 그 후에는 뜻도 모르는 사람들이 자꾸 변경을 시켜놨소. 처음 번역이 잘된 것입니다. 그 나중에는 번역이 되어 그런지 또 자기를 나타 낼려는 것인지 몰라도.
'할렐루야로 노래하므로' 그 말은 입으로 하나님을 노래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할렐루야'는 자기가 승리했다는 그 승리를 발표할 때에 그것을 할렐루야 이렇게 말하는데 승리로 하나님을 노래한다 말이요. 입으로 노래하는 것 아니고 한 가지 승리하니까 그것이 하나님을 찬양함이 됩니다.
날마다 승리로 승리로 노래를 해 입으로는 하루 점O 노래를 해도 자기 행동으로는 패전 패전하게 되면 그것은 하나님께 욕을 돌리는 하나님을 조롱하는 찬송이 됩니다. 노래 한 번도 안 불러도 한 건 한 건 승리하는 그 승리하는 그것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찬양입니다.
'할렐루야로 노래하므로 영원히 주를 찬양'하자 이 찬양으로 찬양하자 그 말이요. 구속받은 자인 것을 알고 구속의 것이 되어서 구속을 나타내는 구속으로 나타내는 이것이 승리입니다. 이것이 승리입니다. 이것으로 영원히 주를 찬양하자는 찬송입니다. 입술로만 찬양하면 안 됩니다. 행동으로 찬양함도 행동에 완성, 승리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 할렐루야로 노래하므로 영원히 주를 찬양하자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