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주교공과 21공과의
서기
성경
0
30
2023.03.13 21:54
2. 질문 : 주교공과 21공과의 '4가지 거룩'과 '10가지 깨끗한일'(학2:5-9)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607(쉬)
제가 알고 싶은 것은 활용자료에 나오는 주교공과 21공과 학개2:5-9절 제목은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공과입니다. 그 공과의 3번째 대지에 하나님의 성전으로 되어져가는 4가지 거룩과 10가지 깨끗한 일을 알고자 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힘써야할 4가지 거룩과 10가지 깨끗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서 힘쓰고자 합니다.
답변 : 말씀하신 자료를 찾아드리며, 동시에 공과 활용에 관련된 몇 말씀 올립니다.
1. 질문하신 내용은 80.5.18.공과 '성전의 구조'에 이어진 내용이 었습니다.
따라서 /활용자료/주교공과/로 가셔서 80.5.18. '성전의 구조'를 보시면 됩니다.
말씀하신 4가지 거룩은
① 이방과 성전:불신자와 신자의 구별
② 성전 밖마당:신자와 신자의 구별
③ 성소:하나님의 참 일꾼과 거짓 일꾼의 구별
④ 법궤와 속죄소:진리와 성령의 구별
말씀하신 10가지 깨끗한 일은
⑤ 제단:대속을 입은 자가 또 전하려는 노력
⑥ 세수통:언행심사의 깨끗게 하려는 노력
⑦ 등대:모든 사람에게 옳은 행실로 감화를 주는 노력
⑧ 떡상:하나님을 힘입어 하나님의 뜻을 이루려는 노력
⑨ 금향로:하나님과 신령한 교제를하는 명상과 기도의 노력
⑩ 휘장:하나님과 자기 사이에 가루는 죄를 찾아 회개하는 노력
⑪ 법궤:성경을 통해서 알고 그 효력의 결과를 입으려는 노력
⑫ 그룹:천사의 옹호받는 데까지나아가도록 노력
⑬ 속죄소:대속을 입고 자기로서 다하였을 때 하나님과 문제가 완전 해결
⑭ 속죄소 위 하나님:하나님과 동행 이상의 노력이 우리의 전인 격과 생활에 있어야 깨끗한 성전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없으면 이스라엘 종교 말년처럼 불결한 성전으로, 믿어도 건설구원은 이루지 못한다.
2. 참고로, 자료 찾는 법입니다.
주일학교 공과는 원래 그 이전 주일에 설교했던 내용을 그 주일 오후예배 후에 공과로 작성하게 되고 그 다음 주일 주일학교에서 사용하게 되면 그 날짜로 공과날짜가 기록되어 남게 됩니다. 따라서 공과 중에 생략되거나 앞의 내용을 모르고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을 때는 한 주 전이나 몇 주 전으로 올라가며 다른 공과나 설교들을 찾아 보셔야 합니다.
질문 내용을 보고 답변자도 /활용자료/주교공과/에 들어가서 1980년 21공과를 찾은 다음, 그 공과 바로 앞에 있는 내용들과 그 공과들의 원래 설교들을 /활용자료/문자설교/에서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성전'설교는 80.4.20.주일오전 본문 마24:1의 '성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3. 참고로, 주일학교 공과는 1982년부터 매주 작성이 되지 않습니다.
1981년까지는 매주 설교를 그다음 주 주일학교 공과로 작성을 하였으나 백목사님이 사망에 이를 정도로 병환을 가지게 되어 1982년 10월부터는 공과작성이 빠질 때가 있었습니다. 이럴 때는 과거 공과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주일공과로 재사용을 하게 되었습니다. 1983년 2월 완치가 된 이후에는 한번 작성한 공과를 2-3주 계속 반복하여 가르치게 합니다.
'재독'의 개념이 주일학교부터 적용되었던 것입니다. 대단히 어렵고 또 많은 진리를 포함하고 있는 공과를 주일학생들에게 한번 가르치고 흘려 보내며 지나왔던 것을, 이제는 이 시대를 향해 전할 바를 충분히 전했으므로 앞으로는 한번 들은 말씀으로 자기 자신이 고쳐지고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한번 듣고 지나가는 '구경용'이 아니라 자신을 고치는 '치료용'으로 가르치라는 뜻이었습니다. 이후 1986년부터는 공과 하나로 한달을 가르치는 것을 원칙으로 하게 되며 1989년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물론 새로운 공과로 한 달씩 가르치기도 했으나 과거 가르쳤던 공과를 그렇게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일학교 공과가 한번 작성되면 이후 두 번 또는 한 달씩 반복해서 사용되면서 장년반에서는 백목사님이 예배시간에 직접 좌석에 앉아 함께 예배를 보며 재독설교를 듣는 횟수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미 이 시대를 향해 전할 만큼 전했으니 이제는 전시용으로 설교하고 또 들으면 안되는 때라는 설명이었습니다. 그리고 백목사님 사후 오랜 세월 계속 재독되어야 할 면을 보시고 재독에 대한 많은 조처를 구체적으로 또한 집중적으로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