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히브리서 9장과 출애굽기 30장의 지성소 향로에 대하여 4069

주제별 정리      

                                   10. 히브리서 9장과 출애굽기 30장의 지성소 향로에 대하여 …

서기 0 25

10. 질문 : 히브리서 9장과 출애굽기 30장의 지성소 향로에 대하여 4069

히브리서 9장 4절에서는 지성소 안에 금향로가 있고 출애굽기 30장 6절에서는 지성소 밖에 향로가 있다고 했는데 모순이 아닌지요?


답변 : 레16:11-13을 참고하셨으면

1. 성소와 향단

히9:4에는 지성소 안에 금향로와 언약궤가 있다고 했는데 출30:6에서는 성막을 만들 때 향단을 만들어 성소와 지성소 사이에 있는 휘장의 성소쪽에 두도록 했습니다. 이 위치는 성소에서 지성소로 들어가는 입구로서 이 향단은 성소 안에 둔 여러 가지 비치물 중에서 지성소로 들어가는 마지막 물품입니다.

2. 레16:11-13

대제사장은 일년에 한번씩 속죄일이 되면 지성소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대제사장은 향로에 향을 채워 지성소 안으로 가져 들어가야 합니다. 레16:11-13에서 지성소의 정해놓은 이 규례에 따라 지성소에는 일년에 한번씩 향로가 놓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성전의 상시 구조를 중심으로 살핀다면 '향단'의 위치는 성소이고, 속죄일에 대제사장이 지성소를 들어가는 그 날을 기준으로 본다면 향로가 지성소 안에 있습니다. 히브리서 9장이 성전의 상시 구조를 설명한 것이 아니고 구약의 섬기는 법과 신약의 대속을 설명하고 있다면 지성소 안에 금향로는 이런 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3. 성전 구조에 대하여는 현재 시간이 없어 일괄 정리를 미루고 있습니다.

구약에서 성전과 제사를 연구하면, 오늘 신약의 성도와 교회를 아주 세밀하게 재구성해 낼 수가 있습니다. 말하자면 신약 성도와 교회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설계도가 구약의 성전과 제사제도라고 비교해서 말씀드릴 수도 있습니다.

성전과 제사에 대하여는 이 홈에서 일괄 정리를 할 때까지는 확정적 답변보다 연구하는 방향만 제시했으면 합니다. 이번 답변도 성경을 성경으로 해석할 때 이런 면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정도로만 말씀드립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