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질문) 배출의 욕구 (쉬/2472)

주제별 정리      

                           22. (질문) 배출의 욕구 (쉬/2472)

서기 0 25

22. (질문) 배출의 욕구 (쉬/2472)

------------------------

어린 학생도 들어오는 곳이므로 문답에 불편없는 범위에서 몇 가지 표현을 조절했습니다 - 관리자
------------------------

목사님 저는 30대가 가까워지는 결혼못한(안한) 청년입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앞으로 2~3년정도는 도저히 결혼을
못할 입장입니다. 저는 외로움 같은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밥을 혼자 먹어도 괜찮고, 잠을 평생 혼자 자도 괜찮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독신의 은사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더 많이 알고 싶은 청년일뿐입니다.

목사님 그런데 제가 한 가지 못 이기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모든 남자들이 가지고 있는 이성 문제입니다.
그렇다고 음란한 생각을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어릴때는 음란한 생각을 많이 했지만 예수님을 잘 믿으면서
음란한 생각이 통제되기 시작했습니다.

목사님도 젊은 시절을 겪어 보셔서 알겠지만
몸에서 배출해 주지 않으면 온 몸에 스트레스가 옵니다.
그것이 너무나 힘듭니다. 의학적으로 생리학적으로 주기적으로 배출해 주지 않으면 몸에 안좋은 현상이 많이 일어납니다.
신경도 예민해지고, 결국은 음란한 생각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목사님 제가 초두에 말한 것처럼 결혼을 한동안은 도저히 못할 입장입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한 것이 배출하는 행위인데, 그때 음란한 생각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닌가 생각을 해봅니다.
저의 육체를 이길 힘이 없습니다. 목사님도 저 같은 시절을 겪어봤으니
누구보다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목사님 음란한 생각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하는 것이 죄인지 알고 싶습니다.
그것이 죄라면 그것조차도 안해야 겠죠.
많이 힙듭니다.


(답변) 먹고사는 문제로 예를 들겠습니다.

자기 힘으로 살면서 남까지 도우는 사람은 1등 신앙입니다.
자기 힘으로 살되 남을 돕지 않는 사람은 2등 신앙입니다.
자기 힘으로 살지 못해 부모 신세를 지면 3등 신앙입니다.
부모도 없어 모르는 사람에게 얻어 먹으면 4등 신앙입니다.
주는 사람이 없어 남의 것을 훔쳐 먹으면 5등 신앙입니다.
모두들 단속을 하면 강도가 되어 먹는데 6등 신앙입니다.

6등보다는 5등이 낫지만 5등을 의인이라 할 수는 없습니다.
3등보다는 2등이 낫지만 2등에 머물러라 할 수도 없습니다.
1등이 아니면 실은 다 죄인들이지만
같은 죄인이라도 발전의 단계와 앞날의 희망이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자식들 나이가 많아도 부모가 붙여놓고 사는 것은 3등이라도 하라는 것이지
3등은 괜찮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하나님께서 성경에 명확하게 기록해 준 것이 있고
어떤 것은 우리 양심에 가책을 통해 각자에게 주신 선이 있습니다.
최고의 것을 목표로 하시되
현재 신앙으로 현재 질문자 신앙에서 최저선으로 지킬 것을 정하시고
더이상 양보하지 않고 더이상 후퇴하지 않을 선을 정한 다음 꼭 그 선을 지키도록 하셨으면 합니다.

그러나 한 가지 기억할 것은
자기가 적당히 하면 될 정도로 선을 정해놓고 그곳에 안주하면서 스스로 위안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가능한 선을 정한 다음 그 선에서 조금이라도 나아지기를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하신다면 비록 6등 죄인이 5등 죄인으로 올라가도 하나님은 기뻐하십니다.
그러나 1등 의인이 2등 의인으로 내려간다든지 2등 의인이 그 자리에 그냥 머물게 되면
5등 죄인이 4등 죄인으로 올라가는 것만 못하게 대하십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본인이 정해놓고
스스로 노력하여 계속 등급을 올릴 일입니다.
이 문제는 지금 결혼 전 미혼 시기에만 해당된 것이 아니라
결혼 후에도 계속 될 문제입니다.

건설을 위한 곳에 소모하지 않은 것은 낭비가 되는데 이 낭비도 죄가 됩니다.
어릴 때는 십일조만 떼먹지 않으면 의인인데
조금 자라게 되면 십일조를 뗀 나머지 십분의 구를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추궁하십니다.


(감사)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저도 결혼 후에도 분명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고민을 해야 될 것이라 생각을 했습니다.
결혼을 하지 않았던 결혼을 했던 이 문제를 가지고는
아마 평생 고민하고 이겨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