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질문) 헌금은 무명으로 하는 것이 맞지 않은지요? 2693

주제별 정리      

                           15. (질문) 헌금은 무명으로 하는 것이 맞지 않은지요? 2693

서기 0 28

15. (질문) 헌금은 무명으로 하는 것이 맞지 않은지요? 2693

목사님 헌금을 할 때 자기 이름을 쓰는 것이 성경적인건지요?
십일조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헌금(십일조포함)은 무명으로 하는 것이 맞지 않은지요?


(답변) 교회 분위기와 자기 신앙 현실이 가능하다면, 이름을 적는 것이 좋습니다.

1.좋기는 이름을 적어 연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칙입니다.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씀은, 무조건 익명으로 연보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앞뒤 문맥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두고 갈 세상에서 자기 얼굴을 내려는 마음은 천국의 복음 운동을 세상 두고갈 이익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습니다.

세상 자기 명예나 다른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고 만일 복음에 유익을 위해 필요하여 하는 경우라면 기명으로 연보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교회에서 회계를 맡아 각 교인들이 연보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분들은 그 필요성을 아실 것입니다.


2.무명으로 연보를 해야 할 때도 종종 있습니다.

자기의 소득이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아야 하는 때도 가끔 있습니다. 뒷돈을 챙기거나 세금을 누락하는 비도덕적 또는 불법적 행위가 아니라도 때로는 자기 소득을 공개하지 말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또 자기 신앙으로는 고액 연보가 교만을 일으키는 경우, 또 적은 연보 때문에 자존심이 상하는데 이를 자기 신앙으로 이기기 어려운 경우 등은 일단 무명으로 연보할 수 있습니다. 혹 교회에서 자신의 이름을 가지고 다른 사람 연보를 재촉하는 일에 사용한다면 이름을 적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3.이 문제를 두고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교회의 분위기와 방향입니다.

이름을 적어 연보를 하되 그 내용이 전혀 공개되지 않도록 하여, 만물 앞에 드러날 자신의 실상을 미리부터 공개하면서 그날의 심판을 현실에 앞당겨 받는 것이 연약한 인간에게는 자기 관리를 위해 유익합니다.

우선 교회의 분위기가 이름을 적든 적지 않든 전혀 상관이 없는 교회가 되어져야 이제 말씀드린 일이 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 교회의 분위기와 연보에 대한 방향을 먼저 고려하신 다음 이름을 적고 연보를 하는 것이 유익한지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할 일입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