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질문) 남편이 반대하는데 십일조를 드리는 것은 (쉬/523)

주제별 정리      

                           31. (질문) 남편이 반대하는데 십일조를 드리는 것은 (쉬/523)

서기 0 30

31. (질문) 남편이 반대하는데 십일조를 드리는 것은 (쉬/523)

목사님 안녕하십니까?
늘 십일조가 제게는 어려운 문제가 되는 데요
목사님, 십일조는 봉급에서 꼭 십분의 일을 드려야 하는 것인가요?
남편은 교회도 나가지 않고 한 푼 두 푼 눈물나게 절약하는 성격입니다.
남편은 고등학교 교사인데 유지비가 아까워서 아직 자동차도 사지 않았습니다.
그런 남편을 속이고 십일조를 드리는 것이 마음에 걸릴 때가 많았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십일조를 어떻게 드려야 하는 것인지요?
남편은 자기 봉급에서 십일조를 떼는 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언젠가 물어보았더니 자기 봉급으로는 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저는 십일조를 드렸습니다.
그러나 남편은 모르는 척 하는 것 같습니다.
십일조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고 싶습니다.
그리고 십분의 일이 아니면 봉투에 십일조라고 쓰면 안 되는 것인지요?
목사님 답 글을 꼭 부탁합니다.
늘 주님 안에서 강건하시기 바랍니다.


(답변) 다음 내용을 먼저 참고해 주시고, 또 질문하신 경우는 따로 답변드립니다.

1.'소망'의 이름으로 앞서 안내하신 분의 말씀대로 '검색'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쉬운문답방'이나 '문의답변방'의 제일 아랫쪽에는 '검색'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십일조'를 적고 검색해보시면 비슷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미 참고 하셨을지라도 다른 분들을 위해 우선 다음 자료들을 소개드립니다.

----------------------------
/초기화면/연구실/쉬운문답방/
----------------------------
①180번 전업주부인데 십일조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02/01/09
②179번 부부 사이에도 각자의 경제 '경계선'을 구별해야 02/01/09

----------------------------
/초기화면/연구실/문의답변방/
----------------------------
①[37] 280번 (답변) 부족했던 부분을 다시 보충합니다. 00/12/18
②[18] 621 주일은 그 기준을 먼저 아셨으면, - 보충 01/12/06
-------------------------------------------------------------------------

2.앞에 안내드린 자료에 없는 질문 내용에 대한 직접 답변입니다.

①아무리 아껴 모은 돈, 어떤 수고로 모은 돈이라도 십일조는 십일조입니다.

헤프게 쓰는 사람이나 쉽게 번 사람의 십일조보다, 수고하여 벌고 아껴 사용하는 사람의 십일조가 하나님 앞에는 더 큰 연보가 될 것입니다.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이 부자의 많은 연보보다 귀한 것이 눅21:2입니다. 그러나 십일조는 어디까지나 십일조라는 사실을 먼저 아신 다음 이해하지 못하는 가족문제는 다른 면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남편이 이해를 하지 못할 때는, 십일조를 해야 하는 법을 무조건 시행할 일이 아니고 부부가 되었으니 부부의 모든 의사 결정은 의논과 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부부이지요. 남편으로 하여금 이해가 되도록 기다리는 등의 수고와 기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앞에 제시한 자료에서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②십일조를 다 드리지 못하는 경우 '월정연보'가 있었습니다.

연보할 수 있는 사람의 신앙이 어린 경우 혹은 가족 중 이해 못하는 분이 계시는 경우에는 우선 십일조를 다 드리는 대신에 일부만을 드리되 언젠가 십일조를 다 드릴 수 있는 날을 소망하면서 자기에게 현재 가능한 정도로 월 얼마의 연보를 정하여 드리는 것을 월정연보라고 합니다. 과거 한국교회가 불신 가족과 남편의 눈치를 보며 겨우 출석하는 여자분들 중심으로 개척되던 때에 널리 연보하던 것입니다.

지금은 가정을 여자분들이 주도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경제 여건이 풍족해져서 여자분들이 경제사용에 별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십일조를 별 눈치 보지 않고 드리는 가정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월정연보가 필요한 가정이 적지 않은데도 만일 월정연보를 광고하거나 안내하게 되면 교회의 주 수입인 십일조 회계가 위축될까 봐서, 그냥 십일조만 강조해버리고 월정연보는 일부러 묻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남편에게 양심 상 크게 죄송하지 않은 범위를 신중히 생각하시고 또 동시에 십일조를 통해 가정이 받아야 하는 복을 잘 계산하셔서 '월정연보'를 드리는 것이 옳습니다. 그렇다면 연보봉투에는 '월정연보'로 적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