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질문) 회개 기도는 어느 정도, 용서해 주셨다는 표시는? (쉬/665…
서기
신앙
0
21
2023.03.13 21:42
22. (질문) 회개 기도는 어느 정도, 용서해 주셨다는 표시는? (쉬/665)
오늘 극동방송설교중.
한 청년이 있었습니다. 봉사 열심히 하고 믿음 좋은 청년이 늘 안색이 안 좋았습니다.
그리고 결혼도 안하겠다고 했는데. 알고보니까 대학생때 순결을 잃어서 그랬답니다.
예수님께서 당신의 죄를 사하려 십자가를 지셧는데 이미 죄를 용서하셧는데 자기가 자기 죄를 용서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주 교만한 사람입니다.
1. 예수 믿는 사람이 죄 지을경우
①회개 기도를 얼마나 오랫동안 해야 되는지..
②주님께서 용서해주셨다는 싸인은 무었인지?
③용서해 주셨다면 그 기도는 이제 그만해도 됩니까?
2. 다윗이 밧세바를 취하고 얼마나 오랜 회개기도를 했는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시편에 눈물로 침상을 적시나이다. 이것은 이죄 때문에 쓴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회개는, 그 죄를 다시 만났을 때는 아주 박살을 낼 각오로 가야 합니다.
1.예수 믿는 사람이 죄 지을 경우
①'회개 기도는 얼마나 오랫동안 해야 되는지..'
자신의 마음에 자신이 지은 죄가 왜 잘못 되었으며 또 그 죄가 자기에게 징계를 가져오는지, 그 징계가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또한 그 죄 때문에 주님 십자가 고통이 어떠했는지를 충분히 느낄 때까지 회개 기도하는 것이 옳습니다.
가장 확실하게 그 기도할 양을 정해 드린다면, 다음에 그런 죄를 또 다시 지을 현실을 만나게 될 때 단호하게 뿌리칠 수 있는 정도라면 되었습니다. 그러나 죄를 짓고 즉시 회개하고 그 회개 중에 느끼는 '자신감'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상황을 생각해서 다시 그 죄를 만났을 때는 단호하게 이길 수 있기까지 회개하고 주님께 다음을 부탁하고 내 마음에 단정이 되어야 합니다.
혹, 방송에서 예를 드신 분은 자기가 원해서 그리된 것이 아니고 힘이 없어 당한 경우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경우는, 왜 그렇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에, 그런 분위기에, 그런 사람에 접근을 했는지, 그 면을 살펴 회개하여야 합니다. 힘이 없다면 그럴 수 있는 환경에 들어가지를 말았어야 했다는 말입니다.
②'주님께서..용서해주셨다는 싸인은 무었인지?'
느껴본 사람만 알 수 있습니다. 시험에 합격한 사람의 기쁨을 아나운서가 옆에서 아무리 말로 잘 표현해도 그것은 그림의 떡을 보는 정도입니다. 먹어본 사람만이 알게 되어 있습니다.
회개하는 마음으로 기도를 하다보면, 주님이 용서하시고 위로와 평안, 그리고 이제는 죄를 이길 수 있는 결심까지 주신 표시는 너무도 확실하기 때문에 따로 설명드리기가 그렇습니다. 밤과 낮의 차이는 따로 설명이 없을 줄 압니다. 그러나 새벽 미명, 초저녁 어두움의 순간은 언제부터가 낮인지 밤인지 그 경계선을 긋기가 어렵습니다. 분명한 것은 밤과 낮의 구별은 따로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인 것과 같이 하나님 주시는 그 사랑과 용서의 세계는 위에서 설명드린 기도의 양을 먼저 채우시면서 기다려 보셔야 합니다.
③'용서해 주셧다면 그기도는 이제 그만해도 됩니까?'
회개로 기도하고, 죄를 이길 확신이 서게 되고, 주님 주시는 위로와 평안을 확실히 받게 되었으면, 이제 저런 죄가 한번 더 닥칠 때 그때는 주님을 기뻐시게 해 드리겠다는 마음만 가지시면 됩니다. 사실 주님의 위로를 받게되면 저절로 그렇게 되어집니다.
조심하실 것은, 혼자 그 죄에 눌려 끙끙 앓기만 하면 남보기에는 회개를 하는 사람같고 양심이 있는 사람같은데, 늘 그 죄에 매여 헤어나지 못할 사람이 됩니다.
2.'다윗이 밧세바를 취하고 얼마나 오랜 회개기도를 했는지..무슨일이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시편 51장을 다시 한번 새겨보셨으면 합니다.
다윗의 회개도 위에서 말씀드린 그런 순서를 거쳤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순서를 밟아 회개하는 데에는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아닙니다. 그는 깨어있는 의인입니다. 나단 선지자가 지적하자 바로 돌이켰습니다.
문제는, 그가 평생 그 죄에 패한 그 패전에 이를 악물고 남은 평생 그와 같은 죄를 이기되 하나님이 기뻐 늘 자랑하도록 했습니다. 내 마음에 기뻐하는 다윗이라고 그 후손들에게 늘 다윗을 들어 말할 때, 바로 다윗의 이런 회개가 그 중심에 있었습니다.
짧은 답변을 원칙으로 하는 곳이어서 이 정도로 일단 답변을 드립니다. 필요하면 재질문이나 보충질문으로 다시 연구해 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