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질문) '루터파'는 교리가 어떤 곳 인가요? (쉬/162)
서기
교회
0
26
2023.03.13 21:34
12. (질문) '루터파'는 교리가 어떤 곳 인가요? (쉬/162)
제 주위에 루터교단에 다니는 분이 있어서 궁금합니다.
예장, 기장, 총신,... 각각의 특징도 요약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루터 교단
(요약)
1.루터교단이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교단입니다. 현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사회 활동을 많이 하고 있으며 인권문제가 생길 때마다 앞장 서고 있는 정도입니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분류를 할 때 기독교의 한 교파로 치는 정도이지 그 존재도 미미하고 그들의 신앙은 신앙이라 할 것도 없을 정도입니다.
2.루터교단의 원래
500여년 전 루터가 중세 천주교를 배척하고 기독교를 원래 모습으로 찾을 때 독일을 중심으로 그 활동을 하였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유럽 각국에서 새로운 교회를 찾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게 됩니다. 루터가 활동했던 독일을 중심으로 루터의 가르침에 충실했던 이들이 하나의 흐름을 형성한 것이 루터교회입니다.
당시 영국은 영국 내의 교회가 로마 천주교와 단절하고 독자적으로 원래의 모습을 찾겠다고 했으니 오늘 성공회이고 칼빈에 의하여 스위스에서 시작되고 영국과 미국을 거쳐 오늘 우리에게 전달된 장로교는 칼빈주의라고 합니다. 이렇게 독일의 루터교, 영국의 성공회, 칼빈의 칼빈주의 교회들을 3대 개혁교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3.루터교의 실체
루터교는 천주교에서 종교개혁을 할 때 가장 선봉에서 가장 큰 역할을 했던 이가 루터였고 그 이름이 붙었으며 또 독일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적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초기 루터의 정신과 교훈이 루터교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루터를 따르던 독일의 교회들이 루터의 신앙을 따라 출발은 하였으나 그 이후 루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오늘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루터는 하나님의 사람이어서 그가 태어난 독일이라는 본토, 친척, 아비집을 떠나 말씀으로만 살았으나 그 뒤를 잇는 사람들은 루터의 이름만을 이어왔지 루터의 신앙을 이어온 표시는 별반 없었고 세월이 가면서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대신 루터교의 주류가 독일 게르만민족이다 보니 독일인 특유의 지역적 또 혈통적 특색들로 가득차서 루터교는 독일의 민족성이 그대로 대세를 이룬 독일식 교회가 되고 말았습니다.
오늘날 개신교 전체를 통해 루터교나 성공회는 하나의 역사적 의미만 있는 교회이고 그 이후 성령의 역사는 칼빈을 통해 내려오고 있으니, 진정한 루터교는 루터를 칼빈이 잇고 그 칼빈의 뒤로 오늘 우리에게 이어지는 곧 우리가 루터교의 실제라 하고 싶습니다.
4.예장, 기장, 총신 등으로 말씀하신 것은
예장은 예수교장로회의 약칭이며 크게 통합(장신: 장로회신학대학), 합동(총신: 총회신학대학), 고신(고신:고려신학대학)으로 나뉘며, 기장은 기독교장로회의 약칭으로 '한국신학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곳입니다. 기장은 문익환씨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그 성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정부 데모, 한민족 제일주의, 북한에 정통성이 있다는 주장, 인권 민주화 투쟁 등을 그 목표로 삼는다고 할 정도입니다.
예장의 통합은 서울 영락교회와 한경직목사님을 대표적으로 생각하면 되고 또 기장에 비교적 가깝다고 보면 됩니다. 교회 반, 세상 반이라 하면 될 것같고, 합동(총신)은 복음은 꼭 복음만으로 가야한다고 말은 하는데 세상에 물이 많이 들었고, 고신은 총신과 본질적으로는 꼭 같은데 교권싸움 때문에 나뉘었다고 보면 틀림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