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질문) 삼일교회에 대하여 5142

주제별 정리      

                           26. (질문) 삼일교회에 대하여 5142

서기 0 22

26. (질문) 삼일교회에 대하여 5142

그냥 제 의견을 말씀드릴게요.
전 그 주위에 있는 학교를 다닙니다.
그런데 그곳을 삼일 교회마저 없었더라면 큰일 날 뻔했습니다.

그 주위에 이단들이 얼마나 많은지
통일교에 이슬람사원에 또 뭐가 있더라...
암튼 마귀들이 틈 탈수 있는 곳이 아주 많아요.

그래도 삼일교회가 율동이니 뭐니 해도
다니는 사람들은 그 가운데서도 은혜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으며
삼일교회 덕분에 이단에 빠지는 일이 좀더 작아 졌습니다.
이점은 높이 기려야 할 것 같습니다.

덧붙여서
더 축복해줘야 할 점은
그런 이단들 가운데서 하나님이 그 교회를 부흥시켰다는 것이죠.
전 삼일교회가 어디 있는지도 그런지도 몰랐지만
저희 동아리(JOY) 언니들이 그 교회를 많이 다니고.

또 용산은 삼일교회 때문에 살았다라고 하는 말을 듣고
아.....하나님이 자녀들을 사랑하셔서
저렇게 숨 쉴수 있는 공간을 만드셨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답변) 잘 들었습니다.

'완성도'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일반인이 사용하는데는 별로 불편이 없는데
성격이 조금 더 치밀하거나 까다로운 분들이
99%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100%를 향하여 나아갈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학생의 학습을 평가할 때

60점만 넘어도 일단 학년 통과를 하는 정상적인 성적입니다.
80점이면 우수하고
99점이면 최우수라고 할 수 있고 그만하면 1등급이므로
이제 다른 일을 열심히 하면 될 것인데

기어코 100점 만점을 받기 위해 집착하게 되면
다른 일을 그만큼 하지 못하게 되고 여러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99점 정도에서 일단 만족하고
나머지 힘은 여러 면으로 분산하여 두루 모든 면에 우수하려고 노력하는 분들도 있고
옆에서 충고를 하든 말든 끝까지 한 분야에서 100점 만점을 향해
수없이 투자하고 집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홈은 적어도 신앙연구에 관하여서는 최고의 완성도를 지향하며
집착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따라서 삼일교회와 같이 젊은이들을 배려하며 오늘 시대를 읽고
또 서울 한복판의 여러 상황을 두루 파악하는 분들이 볼 때는
너무 한 면에 치우쳐 많은 면에 손실이 많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곳에서 삼일교회에 후한 점수를 주지 않고 오히려 그 곳의 방향을 근심스럽게 보는 이유는, 그 교회가 오늘 한국교회의 평균에 미달되거나 삐뚤어졌다는 기준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도 100점을 기준으로 아쉽다고 표현한다는 점을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