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질문) 침례와 세례 중 맞은 것은? 2689

주제별 정리      

                           3. (질문) 침례와 세례 중 맞은 것은? 2689

서기 0 18

3. (질문) 침례와 세례 중 맞은 것은? 2689

목사님 침례가 맞나요? 세례가 맞나요?


(답변) 신약에는 고정된 의식이 없습니다. 세례가 좋습니다.

침례나 세례나 다 상관없습니다.
침례는 형식을 조금 강조하고, 세례는 형식을 최소화한 것입니다.

신약은 형식을 없애거나 혹 꼭 필요한 것은 최소한에 그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침례나 세례나 다 성경적이지만 보다 넓은 면을 전반적으로 고려한다면
세례가 좋을 듯 합니다.


(침례교인) 아니요. 침례가 좋습니다.

Ⅰ. 침례의 어의

종교의식의 용어로 사용되는 그리이스 원어(原語) 밮티스마(bavptisma)는 “물에 잠기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Ⅱ. 유대인 사회의 개종침례
기독교 이전부터 유대교에는 침례의식이 있었습니다. 이방인(비유대교인)이 유대인으로 개종을 원할 때에는 남자의 경우 다음의 세가지 의식이 요구되었습니다 : 할례, 침례(浸禮), 제물을 드리는 일. 이 때 행하는 침례의 형태는 물론 침수(浸水)였습니다. 이렇게 유대인들이 문화적으로 익숙했던 침례의식에 침례요한은 중요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즉, 하나님께 회개함이 없는 계승신앙(유대인의 경우)이나, 개종(이방인의 경우)은 무의미한 것으로, 먼저 회개하고 침례를 받으라고 가르쳤습니다(마태복음 3:1-12)

Ⅲ. 예수님의 침례형태
예수님은 죄는 없으셨으나, 죄된 인간의 짐을 대신 지기 위해 당신도 사람들이 하는대로 따르는 것이 옳다고 하시며 침례를 침례요한으로부터 받았습니다(마태복음 3:13-17). 예수님도 유대인 사회의 일원이었으므로, 침수(浸水)로 침례를 받는 것은 당연합니다.(“예수께서 침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 오실새”-마태복음 3:16).

Ⅳ초대교회의 침례형태
고고학의 발견은 초대교회에 침례탕이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후일 교리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늦게는 14세기까지 - 침수례(浸水禮)를 행했습니다.

Ⅴ.침례의 기독교적 상징의 의미
침례는 어디까지나 의식(儀式)이므로 그의식의 요소들은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해야 합니다. 그 의미는 바울의 편지에서 발견됩니다: 로마서 6:3,4: 골로새서 2:12
침례의식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침례 = 나의 죄인 된 옛사람이 죽어(물에 잠김) 장사(葬事)되고(물 속에서 잠시 멈춤) 하나님과 새로운 관계 - 새생명 - 로 거듭남(물을 박차고 일어남)을 상징합니다.


그러므로, 죄를 씻거나 구원을 받기 위해 침례를 받는 것이 아닙니다. 반대로, 구원을 받은 신자의 상징표현입니다. 침례를 받음으로 갑자기 성(聖)스러워지거나 신비한 능력을 수여 받는 것은 더욱이나 아닙니다.
침례는, 한 개인에게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는 것에 대한 소중한 기억물이며, 다른 회중들에게는 공적인 신앙고백의 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침례를 한 교회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교회회원권의 조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공동체의 질서를 위한 일종의 예의규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Ⅵ. 이방종교사상의 유입으로 인한 의식의 개념변화 -침례형태의 변화 과정-
이렇듯 상징적 의미를 가진 침례의식은 일찌감치 그 의미가 변질되기 시작합니다. 1세기 중반부터 소아시아 (지금의 터키 반도)지방과 유럽으로 복음이 전파됨에 따라 많은 이방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게 됩니다. 그들이 가지고 있던 모든 이방종교는 의식(儀式)을 통해 신접(神接)할 수 있고 그 의식은 주술적(呪術的)인 능력이 있다는 개념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 모든 무속신앙이 그러하듯이. 그러므로, 무형상(無形像)종교이며 의식이 필수적인 것이 아닌 기독교는 그들에게는 매우 새로운 것이며, 그들을 당혹하게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때때로 행해지는 침례의식과 주의 만찬 의식은 그들의 기존 종교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통로였습니다. 그래서, 서서히 침례 때 사용되는 물이 신비한 의미로 해석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은, 그 물은 “죄를 씻어주는 능력이 있다”고 여겨지게 됩니다. 그 결과, 개인의 죄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나 하나님에 대한 주권인정이나 의지적인 신앙의 결단이 없이도 침례를 받게 되었고, 또, 그 침례를 통해 구원을 받는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浸禮重生設). 그러므로, 유아이건 어린이이건 침례를 주게 되었습니다(유아침례). 아버지가 믿으면 전 가족을 침례 받도록 종용했습니다. 군부대에서 상급자가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면 부하들에게 집단적으로 침례를 받도록 했습니다. 전쟁에 참전하게 된 군인들에게, 그들의 사후(死後)를 위해 집단으로 침례를 주었습니다.
이렇게 침례의 의미가 달라짐에 따라, 그 형태도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즉, 침례 때의 물이 죄를 씻는 신비한 능력이 있다면 구태여 전신을 물에 잠글 필요까지 있겠는가 하는 생각이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한편, 사람들 사이에는 침례를 좀 더 나중에 받겠다고 지연하는 풍조도 생겨나게 됩니다. 어차피 죽을 때까지 죄는 지을텐데, 침례가 죄를 씻어 준다면, 지을 죄 다 지은 다음에 깨끗이 받는 것이 더 낫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에서였습니다.
4세기에 노바티아누스(Nobatianus)라는 사람도 임종 직전에 침례를 받으려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말년에 중병이 들어 도저히 물 속에 빠질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지방 주교였던 화비아누스(Fabianus)는 침대 위에 누워 있는 노바티아누스에게 물을 들어부어(灌水禮) 침례를 행합니다. 그래서 이것을 침상침례(寢上浸禮)라고 부릅니다. 이 관수례(물을 붓는 의식형태)를 침례로 인정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었으나, 인정할 수 있다는 쪽으로 의견은 기울었습니다. 이후 침례의 형태는 세 가지를 취하게 되었습니다 : 물에 전신이 잠기는 침수례(浸水禮) ; 물을 머리로부터 붓는 관수례(灌水禮) ; 물을 몸의 어느 부위(주로, 머리)에 뿌리는 산수례(散水禮). 그러나, 14세기까지도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침수례였습니다. 1311년 라벤나 종교회의(The Council of Ravenna)에서 관수례가 공식적인 침례형태로 인준되면서부터 산수례로 급격히 바뀌어 가게 된 것입니다.
침례의식의 명칭은, 영어권에서는 baptism이라고 그리스어를 음역(音譯)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용어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중국과 한국에서는 세례(洗禮)라고 번역됨으로써(세계적으로,“씻는다”는 의미가 있는 단어로 번역된 성경은 중국과 한국의 두경우뿐입니다) 용어부터 교단간에 불일치가 있는 현실입니다.
이제, 여러분이 판단할 문제는, 침례와 세례는 명칭과 형태만 다른 것인지, 아니면 의식의 의미까지도 다를 수 있는지 하는 것입니다.

침례교회에서 침수로 침례를 행하는 것은 고집스러움을 보이기 위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침례의식의 상징적 의미를 가장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또한, 예수님이 행하셨던 대로, 그리고, 신앙의 선배들이 했던 대로-침수침례받는다고 무수히 순교도 당했지만 - 그렇게 할뿐입니다.

다음의 자료들이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해 줄 것입니다(거의 모든 침례교회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도한호. “세례(침례교의 입장).” 성서백과 대사전, 6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0. pp. 417-23.
베이커, 로버트 A. 「침례교 발전사」. 허긴 역. 서울: 침례회출판사, 1987. pp. 27-44.
럼프킨, 윌리암 엘. 「침례의 역사」. 노윤백 역. 서울: 침례회출판사. 1976.
Lea, Thomas D. "Baptism in the Early Church." Biblical Illustrator, 1984 Fall. Nashville: The Sunday School Board of the Sourthern Baptist Convention. pp. 30-33.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