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6 장 백영희 구원론의 의의 - (목록)

주제별 정리      

           ■ 제 6 장 백영희 구원론의 의의 - (목록)

서기 0 24
제 6 장 백영희 구원론의 의의 (정통 구원론의 완성적 의미)
--------------------------------------------------------

Ⅰ. 교리 정리의 필요성

1. 정리되지 않은 교리, 정리된 교리

2. 현재까지의 구원교리

1) 그 절대 명제들
2) 한곳에 모아두면 당장에 나타나는 현실적인 모순들
3) 정리되지 못한 구원론 교리가 빚어내는 교회 현장의 모순



II. 구원론에 대한 정리

1. 정통의 교리들의 절대적 명제를 자세히 살펴 들어가 보면 그 안에 해답은 있다.

1) 구원론은 옳은데 인성론의 근본 시각이 잘못되었던 것이다.
2) 구원론을 위해 영혼 속에 묻어 두었던 '잊어버린 영'을 찾아 내야 한다.
3) 성경적으로 구원교리는 명확하여 이견이 없고, 인성구조는 분분한 이론이 많다.
4) 따라서, 구원교리에서 인성구조의 '잃어버린 영'을 되찾게 되 면 모든 것이 다 맞아진다.

2. 정통교리의 구원론의 정확성

1) 중생은 평생 한번이다.
2) 중생은 즉각적이다.
3) 영적 존재는 분리 가능하지 않다.
4) 구원에는 단번인 중생에 이어지는 성화도 있다.

3. 백영희의 중생교리, 중생된 영은 범죄치 않는다는 신학적 의미

1) 잃어버렸던 '중생 영'을 명확히 찾은 의의
2) 중세 1,000년의 구원관이 틀린 이유
3) 개신교 500년의 구원관에 혼란

4. 백영희의 구원교리 요약



Ⅲ. 웨스트민스트 신앙고백과 총공회 교리 - 웨스트민스트 신앙고백이
성경을 가장 잘 나타낸 교리라는 말은 틀렸습니다.

1. 총공회 교역자로 출발하는 사람에게는 '인허식의 5가지 서약'이 있습니다.

2. 백영희신앙노선과 일반 장로교의 노선이 나뉜 것은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을 보는 시각 때문이다.

3.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이 오늘 총공회교회에까지 '기본교리'로 통용되는 이유

4. 현재 각 공회가 총공회로 복귀하는 모습들을 보이나 총공회 본질을 파악치 못하고 있다.



III. 백영희 구원론을 평가한다면 - 기존 구원 교리의 완성 완결적 의미



Ⅶ. 백목사님 교훈이 이 시대를 감당할것인가?

1. 백목사님에 대한 교계의 표현에 대한 평가

2. 백목사님의 깨달음은 당대뿐 아니라 오늘 21세기까지도 감당할 정도인가?

3. 백목사님의 여러 중요 깨달음이 다른 곳에서 달리 존재할 가능성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