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총공회와 일반장로교와 차이점
서기
■상세소개
0
24
2023.03.13 21:24
4. 총공회와 일반 장로교의 차이점
우리 장로교는 교리의 바탕을“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두고 있는데 이것이 지나쳐서 이단의 표준까지도 성경이 아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성경대로라고 하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보다 더 깨달아 나가는 것까지 막고 있는 모순이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신앙고백이 우리 장로교의 교리 요약서요 장로교의 전부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리의 표준을 성경에 두기 때문에 비록“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라 해도 성경에 미비된 것은 고치거나 발전시켰기 때문에 20세기 현재의 일반 장로교가 오늘만을 표준으로 총공회를 비판한다면 총공회는 분명히 장로교와는 아주 다릅니다. 총공회의 주장은 발전하는 참된 장로교는 총공회라는 입장입니다.
혹 총공회에서 과거 목사나 전도사, 장로 임직 때의 서약 혹은 대외적으로 교단의 교리적 입장을 공포할 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성경을 그대로 요약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면 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300여년 전의 깨달음으로 당시의 영감으로 성경을 그대로 요약했다는 것이지, 그것이 다라는 말은 아니라는 것은 전제 되어 있습니다. 우리 교리는 그 시대의 교리에서 많이 발전되어 일반 장로교의 교리와 역사적 발전 단계로는 계통을 함께 하는 같은 뿌리를 가지나, 외부의 나타난 교리의 체계와 정의를 비교해 보면 전혀 다른 교리처럼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몇 백년 전의 그 교리로써 오늘 우리 교리를 그대로 맞추어 보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이단이라는 말까지 듣게 되었으나 이 교리의 이해 없이는 오늘 시대에는 성경 전체가 오해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우리 장로교는 교리의 바탕을“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두고 있는데 이것이 지나쳐서 이단의 표준까지도 성경이 아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성경대로라고 하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보다 더 깨달아 나가는 것까지 막고 있는 모순이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신앙고백이 우리 장로교의 교리 요약서요 장로교의 전부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리의 표준을 성경에 두기 때문에 비록“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라 해도 성경에 미비된 것은 고치거나 발전시켰기 때문에 20세기 현재의 일반 장로교가 오늘만을 표준으로 총공회를 비판한다면 총공회는 분명히 장로교와는 아주 다릅니다. 총공회의 주장은 발전하는 참된 장로교는 총공회라는 입장입니다.
혹 총공회에서 과거 목사나 전도사, 장로 임직 때의 서약 혹은 대외적으로 교단의 교리적 입장을 공포할 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성경을 그대로 요약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면 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300여년 전의 깨달음으로 당시의 영감으로 성경을 그대로 요약했다는 것이지, 그것이 다라는 말은 아니라는 것은 전제 되어 있습니다. 우리 교리는 그 시대의 교리에서 많이 발전되어 일반 장로교의 교리와 역사적 발전 단계로는 계통을 함께 하는 같은 뿌리를 가지나, 외부의 나타난 교리의 체계와 정의를 비교해 보면 전혀 다른 교리처럼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몇 백년 전의 그 교리로써 오늘 우리 교리를 그대로 맞추어 보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이단이라는 말까지 듣게 되었으나 이 교리의 이해 없이는 오늘 시대에는 성경 전체가 오해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