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제도와 예외

메모사전 (4,030개)      

교회의 제도와 예외

분류 성경 ()
내용 신앙의 원칙을 고수해야 생명 유지, 사람에 따라 연약할 때 인도가 필요할 때..
서기 0 36

구약에 모든 예배는 성전이며 이를 엄하게 지키게 했으나 신12:21에서 살고 있는 곳에서 대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신14:25에서는 돈으로 바꾸어 성전으로 가서 원하는 것을 구입해서 바칠 수 있게 했다.

신앙의 생명성 때문에 율법의 원칙이 있고 이런 원칙은 고수를 해야 하지만 신앙 어린 사람이 제대로 자라 가도록 인도를 할 때 예외적으로 허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안일과 방종을 위해서 예외를 넓혀 나가면 생명까지 죽이는 결과가 되고, 각자의 신앙의 수준에 따라 형편에 따라 더욱 자라 가고 더욱 잘 섬길 수 있도록 지도를 했다면 복음이 된다. 죄를 짓고 속화를 하는 사람도 말로는 복음을 위해서라고 한다. 열매를 보아 판별이 되며, 주님은 처음부터 그 중심을 보고 계신다.

지방교회는 한 지방에 한 교회 원칙을 엄하게 적용한다. 그 자세와 취지는 좋지만 너무 엄하게 묶으면 연약한 신앙의 인도에 손해가 있다. 신19:9 도피성을 처음에는 3 곳으로 주시나 나라가 안정되고 발전되면 3 성읍을 추가 하여 도피성의 취지가 더욱 잘 적용 되게 하라. 교회의 제도가 확장이 될 때마다 원래 순종을 더욱 잘하는 방향이 되어야 하는데 그 반대의 결과나 다른 목적이 되면 안 되는 것

23.6.20

번호분류제목내용 (1989년 이전-백영희, 1990년 이후-연구부)
  • 3855
    성경
    V
  • 3854
    성경
    V신앙 성장에 따라 평생과 매년과 매주와 매순간으로 요구를 높여 나감
  • 3853
    신앙
    V구약은 신약을 목표에 두고, 신약은 구약을 늘 기억하는 것이 지혜로운 신앙
  • 3852
    성경
    V어린 신앙을 쉽게 가르쳐 기르기 위해 필요한 초기 모습
  • 3851
    성경
    V인격이 무인격을 상대하면 무조건 중언부언
  • 3850
    교리
    V성경은 최소기록이며 전체함축의 일점일획기록이므로 성경 주해는 성경으로
  • 3849
    교리
    V1.최소화칙 2.전체 함축의 일점일획칙
  • 3848
    성경
    구약은 당연히 외부를 중심으로 기록, 신약은 사도행전까지 외부 로마서 이후는 내면
  • 3847
    성경
    신앙의 전투는 변질 변성 된 우리를 원상 복구하는 과정
  • 3846
    설교
    설교 단어는 거의 창작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이해가 어려울 것
  • 3845
    공회
    공회의 연례 집회를 두고 참고할 내용
  • 3844
    생활
    공부할 때나 세상 어떤 것을 파악할 때 무조건 암기할 것이 아니라
  • 3843
    사회
    복음을 위해 시작하나 제 것을 삼게 되면 자식까지 망함
  • 3842
    목회
    꼭 같이 노력해도 서울과 부산은 지역의 차이 때문에 교회 규모에 차이가 있습니다. 
  • 3841
    생활
    물질이 오늘은 내게 보배지만 그 것이 나를 죽일지 모릅니다. 
  • 3840
    목회
    구역을 나누어 분구하고 주일학교 반을 나누어 분반을 통해 사람을 기를 때 
  • 3839
    목회
  • 3838
    생활
    하나님에게 대하여, 사람에게 대하여, 건강에 대하여, 그리고 용모를 
  • 3837
    생활
    인간의 웃음에서 나오지 아니한 울음이 없습니다.  
  • 3836
    신앙
    회개를 하려면 세 만당의 눈물을 흘려야 합니다.  
  • 3835
    10계명
    불행이 치료, 좋은 것이 보존 유지, 해로운 것은 못 이르게, 필요한 것을 받게 하는 유일한 법칙 
  • 3834
    10계명
    10계명은 성경의 강령이요 조목, 성경은 10계명을 편해 
  • 3833
    성경
    표적은 안 믿는 사람을 믿게 하는 표시니 방언도 표적의 하나 
  • 3832
    성경
    진리를 물로 말씀한 것은 진리의 작용과 역사 측면에서 표현한 것 
  • 3831
    교훈
    (1.조물주와 자기와의 관계 2.피조물과 피조물의 관계)를 바로 가지게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