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재앙을 가진 일곱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맑고 빛난 세마포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

주해사전 (6,242개)      

일곱 재앙을 가진 일곱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맑고 빛난 세마포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

성경 66요한계시록15:06
담당JHJ 0 28

2) 성전 열림

계15:6
'일곱 재앙을 가진 일곱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맑고 빛난 (세마포)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

(1) 하늘
① 하늘 성전 열림
하늘의 증거 장막의 성전이 열렸다. 건축물의 입구가 열렸다고 기록했으나 우리는 이 말씀을 읽으며 세상에 있는 우리가 볼 수 없는 하늘의 세계를 열어 주셨고 이 세계는 증거의 증인이 되고 말씀을 모시고 하나님과 하나 된 사람과 그런 요소만 들어가는 곳이니 하늘의 어느 한 부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영계, 하늘나라 자체를 우리에게 보여 준다.

② 하늘의 사람
말씀으로 하나 된 하늘의 사람, 이 땅 위에 물질계의 비 바람 불 전쟁 재난이 전혀 미치지 않고 그 모든 물질계와 죄악의 세상을 초월해 버린 하늘나라에서 나오는 일곱 천사들, 이들은 하나님의 세계로부터 이 땅 위를 향하는 이들이다.

③ 빛난 세마포 옷
이들이 빛난 세마포 옷을 입었으니 이들이 문제가 아니라 이들의 옷을 통해 이들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하나님을 모실 때 듬성듬성 대충대충 모신다면 그런 생애는 굵은 베옷과 같다. 실을 구별할 수 없도록 미세하게 잘 직조된 옷을 세마포라 한다. 세마포는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라고 계19:8에서 가르쳐 주고 있다. 천사들이야 원래 죄를 짓지 않고 섬세하게 정확하게 순종하기 때문에 천사의 옷이 세마포라고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하늘에 먼저 옮겨 진 성도들을 모신 하늘의 천사, 또한 오늘 땅 위에 있는 우리에게 이렇게 되는 목표를 가지라고 우리를 돕는 천사, 그 옷을 세마포로 입히고 우리에게 보이며 말씀으로 정밀히 현실마다 자기 심신의 내면을 세세히 따져 보고 옳은 행실을 하라는 표시다. 맑고 빛난 세마포, 말씀에 어떤 것도 묻히고 섞지 않았으니 말씀 그대로의 맑은 행위와 그 행위의 결과가 모두가 볼 때 부러워 할 빛 난 것이 되는 면을 보여 주고 있다.

④ 금띠
그런데 그 천사가 가슴에 금띠를 띠고 있다.

⑤ 단일의 나라
이 설명을 계속 읽다 보니 이는 계1:12 이하에 기록하신 주님의 모습이다. 하늘나라는 자존하신 하나님 한 분이 원인이고 그 분이 만들어서 영계도 천사도 천국에 데려 온 장로도 함께 있으니 존재의 종류는 무수하나 그 모든 존재의 본성과 본질은 전부 하나님 한 분으로 된 것만 모여 있기 때문에 단일의 나라다. 존재는 다르나 누가 누군지 따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 손을 쳐도 발이 아프고, 발이 불편해도 온 몸이 절뚝이며 눈이 흐리게 되면 온 몸이 다 더듬게 되는 것은 위치와 역할은 달라도 내적으로 하나기 때문이다.

⑥ 7 금 대접 재앙
천사를 통해 하늘나라를 다시 살피며 이 천사를 이런 모습으로 설명을 한 후에 하나님의 진노를 가득히 담은 금대접 일곱을 건네고 있다. 이것이 16장에서 펼치는 일곱 대접 재앙이다. 그 재앙의 결과는 끔찍하지만 이 재앙의 시작을 보니 하나님의 나라에 주님의 형상을 닮은, 우리의 구원 목표가 되고 우리가 그렇게 된 부분만 하늘나라에 가게 되는데, 그 나라의 그런 모습이 이 재앙들을 들고 이 땅 위에 부으러 가는 것을 보니 대접 재앙은 우리의 구원에 필요한 것이며 그 결과로 세상 매 현실에 주신 모든 찌끼들과 떨어 버려야 할 죄와 사망과 마귀에게 물든 것은 영원히 지옥 불로 분리를 해버려야 하늘나라로 가지고 올 지상의 교회와 택한 백성인 우리 내의 성화 된 모든 면이 하늘에 합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 대접 재앙은 잡철을 용광로에 녹이면 불순물이 타서 없어 지는 만큼 순철이 나오고, 금광석을 녹여 섞인 것을 태워 없애고 분리해서 제거를 하는 만큼 순금이 나오는 그 제련의 과정이며 연단의 최종 조처이니 알고 보면 우리를 향한 복의 조처가 된다. 내 속에 이런 분리 작업에 제거 될 것이 없도록 15장까지 미리 기회를 잡았을 때 말씀에 붙들려 세상의 모든 유혹과 위협을 넘어 섰어야 했다.

(2020년 5월 집회)

번호성경성구 (1989년 이전-백영희, 1990년 이후-연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