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하리로다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속한 모든 신령한 복으로 우리에게 복 주시되

주해사전 (6,242개)      

찬송하리로다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속한 모든 신령한 복으로 우리에게 복 주시되

성경 49에베소서01:03-05
정동진 0 66

'찬송하리로다 하나님 곧 우리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서'
두 단어로 줄이면 하나님 아버지께서.

4절입니다. '모든 신령한 복으로 우리에게 복'주시는데
어떤 복인지? ‘창세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하나님 아버지께서 세상을 만들기 전. 세상을 만들려고 계획, 생각도 하기 전.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이게 우리입니다. 그 어떤 것도 있기 전. 그 어떤 것도 만들려고 계획도 하기 전. 자존하신 하나님 한 분. 그 하나님 한 분에게서 처음으로 존재가 나온 것이 우리입니다.

'우리를 택하사' 택함이 우리고 우리가 그 목적, 그 택함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 아버지께서 창세전에 우리를 택하사. 이게 우리입니다. 우리는 누군가. 세상을 만들기 전 어떤 존재도 존재하기 전. 과학이 있기 전. 우주 끝이 있기 전. 영계에 천사도 존재하기 전. 하나님 한 분만 계실 때. 이 하나님께서 움직여 하나의 목적 하나의 생각을 하셨으니 그 생각이 택함이요 그 생각이 목적이요 그 생각의 대상이 바로 여기 있는 우리들입니다. 안 믿는 사람은 빼고. 정확하게 불택자는 빼고. 믿는 우리를 하나님이 택하신 이 우리가 바로 여기있는 우리들입니다. 우리를 택하사.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그러면 3절로 5절까지를 가장 줄여서 하나님께서 우리를 아들로. 그러면 우리는 누군가.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남들은 못생겼다 해도 우리는 누구라고요?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초등학교 성적 꼴지라도 성적은 꼴지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돈을 엄청 잘 벌어도 그 돈 때문이 아니라 그 돈은 그를 부자로 만들지 하나님의 아들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 두뇌 실력 그 어떤 것을 다 치워버리고, 우리는 누군가. ‘하나님의 아들들’입니다.

'우리'
한명이면 단수의 ‘나’일 건데. 나 하나하나가 아니라 여럿이기 때문에 ‘우리’입니다. 그래서 여기 ‘아들’도 하나가 아니라 ‘아들들’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들.


우리는 한 몸입니다. 몸은 하나인데 몸 안에 팔 다리 눈 귀 이렇게 하나씩 살펴보면 ‘지체’라 그럽니다. 몸은 하나인데 이 몸을 구성하는 여럿이 합하여 한 몸을 이루니 이 한 몸을 ‘우리’라 합니다. 몸은 하나인데 그 몸을 살펴보니까 많은 지체를 가졌습니다. 여럿이라 시시하고 여럿이라 그렇게 특별하지는 않는가? 그 여럿은 한몸과 같은 한 몸을 만드는 지체니, 한 몸이기 때문에 여러 지체 중에 단 하나도 빼거나 부족하면 우리는 장애자가 되고 불편을 느낍니다. 우리는 누군가. 하나님의 아들인데 나 하나가 아닌 ‘우리’가 모여서 하나님의 ‘한 몸’을 만듭니다.

그 한 몸을 만들었는데 한 몸에 많은 지체가 있지만, ‘모든 지체가 같은 직분을 가진 것은 아니다’. 어느쪽에 두셨느냐 어떻게 생겼느냐 무슨 기능을 가졌느냐. 여기에 따라 우리는 누군가. 하나님의 아들들인데. 모든 교회가 전부 하나밖에 없는 지체들인데 당연히 우리도 그 중의 한 지체인데 여기있는 우리가 아니면 안되는 하나님의 목적. 여기 있는 우리가 공동으로 해야되는 일도 있지만은 우리 전체를 위하여 나 하나가 아니면 이 전체는 장애가 되고 막힘이 되고 고장이 나버리고 못쓸 우리가 되어버리니 여기 처음 온 어린아이 하나 여기 강단에 있는 저 하나 또 뒤에 안내하는 목회자 하나. 그 어느 누구도 위치와 사명과 가치는 전부 한 몸을 이루는 귀하고 귀한 하나님의 아들들이며 이 아들이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하나기 때문에 아들들. 그 아들들이 많으니까 하나를 쉽게 생각할까봐 구체적으로 로마서 12장 4절에는 아들들을 한 몸이라. 한 몸을 두고 보니까 몸을 이루는 지체 하나하나를 따로 떼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180507 월후 (집회)

번호성경성구 (1989년 이전-백영희, 1990년 이후-연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