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다윗
성구(발신/수신) | 삼하12:1-15 | ||||
---|---|---|---|---|---|
일시 | 미상 | ||||
출처 | 이광일3-03, |
서기
0
1
09.12 16:03
다윗 (삼하 12:1-15)
■서 론
1. 시 51장에 보면 철저한 큰 은혜는 철저한 회개 여하에서 온
다.
2. 성탄 연말 당하여 대청산 (大淸算)하고 큰 은혜 받자. 3. 다윗은 참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자이다. 다윗이란 수애자(者)란 뜻이다. ① 목동 (牧童)으로 대왕(大王)까지 된 수애자이요② 사울 왕 대노(大)에서 득구 (得)한 수애자이요③ 살인 간음한 신노(怒)에서 사죄해 받은 수애자이다. 오늘날 우리와 비추어 보자.
■본
론
1. 이새의 말자 (末子)로 일개 목동으로서 왕위까지는 신의 수애자뿐이다.
(1) 일개 목동이었고 내적으로 아브라함 자손이요 유대국의 왕이었다.
(2) 우리도 비록 비천한 자나 영적으로 예수를 통하여 신자되었고 만국을 다스리는 권을 받은 자이니 우리 같은 자가 얼마나 대복(福)을 받은 자인가
2. 사울 왕의 대노(怒)에서 득구 (得게 되었다.
(1) 다윗은 일국의 대왕 사울에게서 면사 (免死)했다.
(2)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영원 지옥고에서 득구했다. 우리는 더욱 사람 앞에서도 잘 하고 하나님 앞에서도 최선을 다하자.
성도의 생활.
16.
3. 이러한 수대애자(受愛者)로서 이같은 범죄까지 사함받은 신수애자受愛者)이다.
(1) 다윗은 살인죄 간음죄도 크게 통회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수애자로서 배은망덕(恩望德)케됨이 크게 애통(哀할 일이다.
(2) 역대 성도가 큰 죄인 된 것을 느낀 것은 이런 연고이다. (이사야, 바울)
① 우리는 어떠하냐
② 오늘날 교역자가 말로만 회개 말고 실제 회개로써 모범을 보이라. 이와 같은 다윗의 회개 사실을 본받자.
오늘날 교역자는 옛날 성도와 왜 다른가?
(3) 다윗은 자기 욕심 위해서 타인을 죽인자이었다. 우리마음 살펴보자. 우리는 내 마음의 평안을 위해 타인의 마음상하게 한 일은 없는가 내 욕심 채우기 위해서는 남을 죽인 일은 없는가
4. 위대한 은혜는 위대한 회개 여하에 달렸다.
위대한 인격도 신앙도 그 회개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
(1) 다윗이 범죄한 후에 신께 배은망덕한 죄를 깨닫고 통회 중에서 사죄받았다.
(2) 다윗이 대성군이 된 소의도 이런 큰 통회에서다.
연말(年) 대청산(大淸算)도 세례의 대은 (大恩)도 이
런 대통회로서 받자. 시편 51:11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신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 라고 한 기도는 참 하나님을 알고 참다운 대복이 무엇임을 안자다. 만승천자 보좌 빼앗길까 걱정 하지 않았다. 그는 무엇이 더욱 귀한 것인가를 알았다. 오늘에 우리의 근심은, 공포는, 소원은 무엇일까
성도의 생활. 17
소 잃고는, 물질 잃고는, 자녀 잃고는 인간 잃고는 대근심이나 신앙 잃고는, 기도힘 잃고는, 영력 잃고는, 성신 잃고는 관심 조차 없고 심령 감각조차 없으니 본래 안받았던가
기도하자 사죄받기 위해, 성령 받기 위해, 큰 은혜 받기위해, 잃은 은혜 다시 찾기 위해, 회개 한 정도 만큼 은혜 받을 것이니 다윗 같이 회개하자. 니느웨 성은 멸망 일자까지 정했으나 회개하니 곧 사죄득구 했고, 소돔은 회개 아니하니 멸망 당했다.
세번이나 주 부인한 베드로도 회개하니 대사도 까지 되었으나 가룟 유다는 회개하지 않음으로 망했다. 우리도 진정한 회개 여하에 사죄, 득구 (得救), 대복(福) 달렸다. 고로 즉석에서 해결받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