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의 생활

설교 자료      
​​

[설교] 성도의 생활

성구(발신/수신) 찬송가149장, 시4, 약4:7-8(1-10)
일시 미상
출처 이광일3-14,
서기 0 2
성도의 생활

찬송가 149장 설교 - (시 4장 약 4:7-8(1-10)

■서 론 
성도의 행로(行)중 3대 생활 1. 근주 생활 (近主 生活)2. 험로 극복 생활險路克服生活)3. 찬미 생활讚美生活)

■본 론

1. 근주 생활(近主 生活) - 왜 근주 생활이 십자가 짐 같은 고생일까?

(1) 물론 주와 같이 사는 생활이니 이 이상 더 좋은 일은 없는 것이다.

어머니 품속에 아이 같고, 보금자리 안에 새 같고, 푸른 초장의 우양 같다.

(2) 그러나 근주생활은 자연히 세상, 물질, 인정, 육신의 일 다 떠나야겠는고로

이런 애정을 떠나는 것이 고통이다. 십자가의 뜻은 육, 세, 떠나는 것이다.

(3) 인정(情) 물욕 (物慾), 애국심 (愛國心), 사상(思想) 떠나기란 큰 십자가인 것이나,

아브라함의 4대 시험 그 얼마나 괴로왔을까?

(4) 옛 성도들 생활을 보라 - 세상, 육신, 인정, 물질 떠나게 될 때에 주가 나타나시는 것 보라.

바울의 3층천 경험도 돌 무덤 속에 스데반도 만인 버림 당시에 요한도 인간을 떠나 고독중 (孤獨中)에 있을 때 계시를 받았다. 번연 요한도 옥중에서, 싼다싱도 석굴 속에서 계시를 받았다.

성도의 생활

-)

42.






◎ 옛날 성도들 생활은 다 그러하다. 모세도 궁을 떠났을 때, 아브라함도 4대 고를 당할 때 다 주를 가까이 하게 하기 위해서 고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5)

대표로 야곱의 돌벼개 생활을 보라 (찬미중)

멀리 고향 산천을 떠나 부모형제를 떠나 외로운 중이다. 황혼도 저물어 성문은 이미 닫히고 쓸쓸한 광야의 거친 풀밭을 이불을 삼고 소소한 하늘을 커다란 집을 삼고, 야수의 소리만이 들러오는 중에 하늘에 별빛만 보일 뿐이다. 이때에 비로소 조용히 하나님이 나타나 하늘까지 닿는 시닥다리를 보이셨다. 이럴때 비로소 천계를 보며 자신의 죄 깨닫게 되었으며 나아갈 새 길을 보이셨다.

(6) 하나님을 가까이 하게 하기 위해서 세상, 인간, 물질 일시 떠남이 고생인듯 하나 진정 영원한 만족은 하나님 가까이함에 있다. 한번만 눈 감고 펄떡 뛰어라. 악마는 대적하고 하나님은 가까이 할 것이다.

물근신원(近神遠)이며 신근물원(神近物遠)신과 세는 절대 불합이요, 비타협이니 아예 세상과 사람과 물질에서 멀리 떠나 살게하라. 인간은 사교 동물인바 교제에도 선악이 된다. 잠 13:20 "지혜로운자와 동행하면 지혜를 얻고 미련한 자와 사귀면 해를 받느니라"

2. 험로(路) 극복 생활-천국이 좋다면 행로까지 좋을텐데 왜 험로일까?

본래 생명의 활로는 좁고 험한 법이다 (마 7:13-14) 선고후락(先苦樂)-고는 락의 재건- 아담 타락과 인생 활로 원리이다.

(1) 악전고투(惡戰苦鬪), 생존경쟁(生存競爭), 생명유지(生命 維持)는 쉬운것 아니다. 보라

성도의 생활. 43






① 초목 (草木)도 초춘한일 (初春日)을 견뎌야 한다.

② 금수 곤충(禽獸 昆蟲)도 생존경쟁(生存競爭)에 이겨야 한다.

③ 인간의 생활 내면 보니 생활 유지에 골몰, 병고 중에도

살려고 쓴 약 마시고 침 맞고 수술할 때 보니 평안 얻기 위해서 인내하더라.

④ 하물며 영생의 생명을 얻기 위함이요 - 마7:13-14

(2) 험로 극복 후 신천신지(克服後天新地)나타난다. 생명은 강한 연고이다 - 연한 풀이라도 돌과 흙을 헤치고 나온다. 총 맞은 새, 걸인 생활, 기독자 고난 이김도이까닭이다.

특히 기독교는 독특한 교리가 있으니 - 유일신교, 십자가 구원이다. 그러니 길이 좁고 험하다.

(3) 이성도(然而聖徒)의 생활은 찬송이다.

① 외관으로는 비, 누, 고 (悲, 淚, 苦)나 여주동락(同樂)하니 기쁜 생활이다.

② 목적지 소망이 좋은 연고로 기쁘다.

③ 이 고생이 잠깐인 것을 아는 연고로

기쁘다.

④ 장래 상급이 다대할 것을 확신하는 고로

기쁘다. 옛날 성

도의 생활 보니 다 그같이 십자가 짐 같은 고생 중에도 늘 찬송으로 이겼다. 또한 주를 위한 고생을 기뻐했다. ① 바울도 그같은 고생 중에서 "항상 기뻐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하였다.

② 루터도 바울도 그러했다.

③ 신편 155편 찬미 생활을 하자.

④ 기도하기와 성경 읽기만 아니라 찬송 생활까지 하자.

성도의 생활

44.




결 론

(1) 우리는 아침에 묵상하고, 저녁에 반성해보는 생활하자!

① 하나님께 대하여 순정의 생활

② 타인을 대하여 덕의를 끼치는 생활

③ 자기내를 대하여 극기의 생활자가 되자.

◎ 자금주 생활이 십자가 짐 같고 천국 행로가 험로이나 늘찬송하면서 나가자.

바울도 그같은 고난 당했으나 항가 (恒), 범감(感) 생활했다.

우리주님도 그러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