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선민의 종교부흥

설교 자료      
​​

[설교] 해방 선민의 종교부흥

성구(발신/수신) 느 전편 특히8:1-8, 10:28-32
일시 미상
출처 이광일3-10,
서기 0 2
해방 선민(解選)의 종교 부흥 (느헤미야 전편 특히 8:1-8, 10:28-32)

■서 론

국가와 요는 떠날 수 없는 밀접한 내외 구합 (具合)의 관계다.

1. 오늘의 한국 형편과 대조해 볼 일이다.

(1) 인물: 본래 주인공은 하가랴의 아들이요, 귀국 수령자 중 1인인 바벨론 출생자 아닥사스다왕 궁에 근무.(2) 명의(名)- 여호와의 안위 사자, 유대의 총독(3) 책명(名)-느헤미야서라함은 ① 기자인고로 ② 본서 중 중요 인물인고로(4) 본서사(本書史)는 제3차 귀국사다. 때는 B.C 444 곳은

예루살렘 수산궁

(5) 요절- 2:5 '다시 성을 쌓게 하옵소서'

(6) 제목(題目) 일어나 성을 쌓자.

2. 에스라서의 주제는 성전 건축사(聖建築史)요 느헤미야서 주제는 축성사(築城史)다. 느헤미야 축성에는 내우외환이 있었다.

(1) 사마리아인 산발랏 도비야의 외적 방해자가 있었고

(2) 내우는 소위 동포증 귀족으로 빈민중세(重)의 행동이었다. 그런고로 느헤미야는 백절불굴의 만남을 극복하고 주야 노력하여 단기간에 완축(完)하였으니 이것이 모험적 신앙이다.

때는 에스라 귀국 이후 제 14년 만이요 (당시에 급속히느헤미야 귀국은 제3차)

제일 더운때나 502일 간에 그치어서 원수들도 대경 낙담했다고 (역사가 유세보의 말)오늘 조선 청년의 재건에도

성도의 생활

32.


사/랑/의/순/교자



이같은 모본模本)보라.

3. 자명만 보면 전편을 알게됨① 기도祺② 귀국(國)③ 축성④ 방해妨害)⑤ 민란(民難)⑥ 낙성 ⑦ 계수(數)⑧ 사경(經)⑨ 부흥(復興)⑩ 약속)① 성(城)② 봉축 奉祝)③ 행정 (行政)

4. 낙성 급속落城急히 하게된 비결 ()- 고열시

502일간에 완성

(1) 신조(神) (좋은 기후, 건강, 자료, 합심열 주신것)(2) 반동자 때문에 (대적은 도리어 흥분케) (크게 못함은 혼혈 이유 악마도 경우가 있다)

(3) 느헤미야의 신앙과 열성(誠)으로 오직 앙망)

■본 론

1. 율법 낭독 사경 (느8:1- 8절)을

(1) 사경의 동기 : 귀하게 된고로, 축성이 완결 되었으니 백성의 청원이 좋은 동기 (갈망시)

(2) 사경 강사에스라 제사장 (祭司長), 서기

관(書記官), 율법 통달자 (律에 7:11) 성전 설립자 봉사자이니 좋은 강사

(3) 시일: 7월 1일 유태인 절기 때 (나발절) 정월 봉사자이니 좋은 강사

(4) 청중: 남녀노유 알아 들을만한 자 (방언에나 년령에 관계없음) 합심 성심

(5) 장소: 수문 (십대문중 경치 좋은 - 유수처 (流水處))

성도의 생활. 33


시/랑/의/순교자



(6) 설비 : 목강대특조(木講臺)좌우 십삼인 보좌자 (補者) 해석(7) 결과: 좋은 결과는 당연 - (9-12절: 통곡) 10년간 잘못된 죄, 혼인 죄, 조상 죄, 13-18: 장막절(帳幕節)대성의로 지키게 됨

2. 부흥회 (復興)의 결과 (10:28-32, 율법 배운자의 태도다)인장으로 왕은 맹세를 약조하니 이것이 부흥의 결과다. 약조의 조목 (모든 각직 작업 다 순종키로)(1) 모든 일절 규례 다 지키기로 (2) 이방 혼인을 금하기로 (성민 성별해야지)(3) 안식일 엄수키로 (매매금지) 오늘에 우리도 모방하자. -(4) 안식년 지키기로 (이는 고 시대에 규범이다. 가난한자위

한 공평한 도덕)

(5) 성전 수리비 위해 보물 내기로 함 (교인의 당연한 의무이다)

(6) 소득의 십일조 내기도 (신민의 의무다) 70년간 지키지 못하고 범한것 다 부흥했다.

3. 이제는 다 귀의되다

(1) 귀고국 (2) 귀성전 (3) 귀천부

자 이제는 행복이 돌아왔구나 (오늘의 조선은?) 범죄의 결과는 고생임을 깨닫게 되고 주안에 내 행복 깨닫고 새 생활에서 복락을 누리게 된다. 행복 조선(朝鮮)에 부흥은 언제 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