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합동신학대학원, 개혁측
약사
1980. 11. 11.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을 이념으로 하여 참신한 개혁주의 신앙운동과 생활운동을 펴 나아갈 것을 염원하면서 서울시 강남구 반포동 271-45 소재 남서울교회당에서 합동신학원을 개교하다.
1980. 11. 18.
합동신학원 초대원장에 박윤선 박사가 취임하다.
1981. 2. 24.
합동신학원 제 1회 졸업식이 남서울교회당에서 거행되고 48명이 졸업하다.
1982. 4. 30.
교육부로부터 신학교 설립계획 승인을 받다.
1982. 11. 9.
수원시 원천동 산 42-3 소재 학교부지 22,713평을 매입하다.
1983. 4. 10.
신학연구지 「신학정론」창간호를 발행하다.
1983. 5. 2.
최삼금 권사(부산새중앙교회)가 서울 명동소재 건물 1동을 희사하다.
1983. 9. 9.
교육부로부터 학교법인 "자유학원"의 인가를 받다.
1984. 8.
목회신학 연구원을 개원하다.
1984. 12. 21.
교육부로부터 신학과(40명) 신설인가를 받다.
1985. 4. 30.
제 2대 교장에 신복윤 박사가 취임하고, 박윤선 박사를 명예교장에 추대하다.
1985. 4. 30.
본관건물 778평을 완공한 후 준공예배를 드리다.
1986. 5.
합동소식 창간호를 발행하다.
1987. 11. 16.
수원시로부터 합동신학교출판부(등록번호 2-44호) 인가를 받다.
1987. 12. 9.
교육부로부터 목회학과(40명) 신설인가를 받다.
1989. 4. 18.
제 3대 교장에 김명혁 박사가 취임하고, 신복윤 박사를 명예교장에 추대하다.
1989. 11. 6,7
제 1회 정암신학 강좌를 개최하다.
1990. 9. 14.
생활관(1,100평)을 개관하고 감사예배를 드리다.
1993. 4. 16.
제 4대 교장에 윤영탁 박사가 취임하다.
1993. 12. 8.
정암신학연구소와 칼빈사상연구소를 설립하다.
1994. 2. 17.
교육부지 800평을 추가로 매입하다.
1994. 3. 2.
본관 건물 778평에 4층 297평 증축한 후 감사예배를 드리다.
1996. 12. 11.
교육부로부터 합동신학대학원대학으로 승격 인가를 받다.
1997. 3. 2.
제 5대 총장에 신복윤 박사가 취임하다.
1997. 11. 10.
합동신학대학원대학에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로 명칭 변경하다.
1998. 2. 2.
생활관 옆에 소재한 학교부지 8,625평을 구입하다.
1999. 3. 8.
여자신학연구원을 개설하다.
1999. 4. 15.
Th.M.과정 신설 인가를 받다.
1999. 8. 23.
목회대학원을 개설하다.
2000. 6.
싸이버신학교육연구소를 설립하다.
2000. 11. 9.
개교 20주년 기념행사를 갖고 「합신 20년사」를 발간하다.
2001. 3. 6.
제 6대 총장에 박형용 박사가 취임하고, 신복윤 박사를 명예총장에 추대하다.
2001. 12. 28.
평생교육원 인가를 받다.
2002. 8. 26.
평생교육원을 개설하다.
2003. 10. 21.
박사과정 신설 인가를 받다.
2003. 11. 25.
변화산 기념도서관 준공예배를 드리다.
2004. 3. 2.
변화산기념도서관(건평 514평) 개관 예배를 드리다.
2005. 3. 2.
제 7대 총장에 오덕교 박사가 취임하다.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을 이념으로 참신한 개혁주의적 신학운동과 생활운동을 펴 나갈 것을 소원하면서, 1980년 11월 11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271-45 소재 남서울 교회당에서 합동신학교가 개교되었다. 합동신학교는 당시 대한예수교 장로회(합동) 작영 신학교인 총신대학에서 봉직하던 박윤선, 신복윤, 김명혁, 윤영탁, 박형용, 최낙재 교수를 비롯하여 8명의 강사, 그리고 300명의 학생들로 더불어 하나님의 말씀이 최고의 권위를 갖는 바른 신학, 그리스도만이 교회의 머리가 되는 바른 교회, 신앙과 생활이 일치되는 바른 생활을 개혁의 이념으로 하여 역사적인 문을 열었다. 같은 해 11월 18일 박윤선 박사가 초대원장에 취임하였고, 1981년 2월 24일 제 1회 졸업생 48명을 배출하였다.
1982년 4월 30일 교육부로부터 신학교 설립계획 승인을 받고, 11월 9일 경기도 수원시 원천동 산 42-3에 소재한 대지 22,713평을 학교대지로 매입하였다. 1983년 4월 10일 신학연구지「신학정론」창간호를 발행하였고, 5월 2일 최삼금 귄사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 소재한 건물 1동을 학교에 희사하였다. 같은 해 9월 교육부로부터 학교법인 설립인가를 받으면서 신학과 40명의 모집승인을 받았고, 학교법인 "자유학원"으로 법원에 등기를 마쳤다.
1985년 4월 30일 수원시 원천동에 소재한 학교대지에 778평의 본관 건물을 완성함과 아울러, 신복윤 박사가 제 2대 교장으로 취임하고, 박윤선 박사를 명예교장으로 추대하였다. 1986년 5월 20일 박승훈 이사의 헌금으로 생활관(건평 1,100평) 건축을 시작하여 1990년 9월 7일 완공하였다. 1987년 12월 교육부로부터 목회학과 40명의 증과승인을 받았다.
1989년 4월 18일 제 3대 교장에 김명혁 박사가 취임하고, 신복윤 박사를 명예교장에 추대하였다.
1989년 11월 6일~7일 정암 박윤선 박사의 신학사상을 기념하는 제 1회 정암신학강좌를 개최하였다. 1990년 9월 14일에는 생활관(1,100평)을 준공, 개관하고 1학년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입사토록 하였다. 평신도 지도자 양성을 위하여 1991년 3월 11일에 평신도신학원을 개원하였고, 1992년 3월 9일 계절하기로 운영하던 목회신학연구원을 학기제로 개편하였다. 1993년 12월 8일 정암신학연구소와 칼빈사상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94년 2월 17일 교육용지 800평을 추가로 매입하였다. 1994년 3월 2일에는 본관 건물 778평에 4층 297평을 증축하였다.
1996년 12월 11일 교육부로부터 합동신학대학원대학으로 승격됨과 아울러 신학석사과정(M.Div)정원 80명을 인가받았다.
1997년 3월 2일 제 5대 학장에 신복윤 박사가 취임하였다.
1997년 11월 10일 교육부로부터 합동신학대학원대학에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8년 2월 2일 생활관 옆에 소재한 부지 8,625평을 매입하고, 1999년 3월 8일 여자신학연구원을 개설하고 초대원장으로 윤영탁 교수가 취임하였으며 2001년 2월 27일 1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99년 8월 23일 미국 알라바마주 버밍햄신학대학원과 공동학위과정(D.Min., M.A.M.)인 목회대학원을 개설하고 초대 원장으로 오덕교 교수가 취임하였으며, 2001년 2월 27일 3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00년 6월 날로 발전해 가는 원격정보교육을 위하여 싸이버신학교육연구소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에 성주진 교수가 취임하였다.
2000년 11월 9일 개교 20주년 기념행사를 갖고 「합신 20년사」를 발간하였다.
2001년 3월 6일 제 6대 총장에 박형용 박사가 취임하였으며, 2002년 10월 학교 앞 도로확장 공사를 끝 마치었고, 2002년 8월 26일 평생교육원 성경연구과정과 기독교상담과정을 개설 하였으며, 2003년 2월 10일 변화산기념(도서관) 기공 예배를 드리고 2004년 3월 2일 변화산기념도서관 개관예배를 드리다.
2005년 3월 2일 제 7대 총장에 오덕교 박사가 취임하다.
이념
1.
우리는 신구약 성경이 영감된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하나님을 바로 알고 믿게 하며 바로 살게 하는 유일한 법칙임을 믿는다.
2.
우리는 살아 계시며, 참되신 한 분 하나님이 영원토록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로 계심을 믿는다.
3.
우리는 전능하신 하나님이 만물을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며, 인류를 구원하시고 심판하시는 분이심을 믿는다.
4.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가 참 하나님과 참 사람이시며, 십자가에서 죽으셨다가 사흘 만에 부활하셨고, 장차 영광 중에 재림하실 분이심을 믿는다.
5.
우리는 성령이 삼위 하나님 중의 한 분이시며, 인격적인 분으로 그리스도를 증거하시고 죄인을 중생, 성화시키며 교회에 내주하셔서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복음을 증거하게 하시고, 책임 있는 봉사를 하게 하시는 분이심을 믿는다.
6.
우리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존귀한 존재로 지음을 받았으나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전적으로 타락하였으므로, 십자가에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구원 얻게 됨을 믿는다.
7.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하나이며, 거룩하며, 보편적인 것을 믿으며, 또한 교회의 근본적인 과업이 예배, 복음 증거, 성도의 교제, 기도, 봉사, 그리고 선교임을 믿는다.
8.
우리는 성경의 교훈에 따라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며 사람과 문화를 변혁시키는 것이 교회의 선교적 사명임을 믿는다.
9.
우리는 니케아 신조,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와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에 표현된 전통적 개혁신앙이 성경의 교훈에 충실한 것으로 믿는다.
교수 소개
윤 영 탁 [ 구약신학, 명예교수 ]
연세대학교 철학과(B.A.) /
총회신학교(수학) /
Covenant Theological Seminary(M.Div.) /
Dropsie University(Ph.D. 과정이수) /
Hebrew University in Israel(수학) /
Geneva College(D.D.)
▶▶▶▶▶▶
『구약신학과 신앙』(도서출판 엠마오) / 『시대를 움직인 선지자 학개』(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이사야 53장』(성광문화사) / 『스가랴 주석』(도서출판 엠마오) / 『학개·말라기 주석』(여수룬) / 『구약성경개론』(도서출판 엠마오) / 『고대근동의 창조설화·홍수설화와 구약성경의 비교』(도서출판 엠마오) / 『욥기 이해』(도서출판 엠마오) / 『구약신학논문집 1-6』(성광문화사) / 『구약신학논문집 7-10』(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그외 학술논문 다수
김 성 수 [ 구약신학, 교수 ]
서울대학교 응용물리학과(B.S.) /
총신대학 신학연구원(M.Div.) /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
『내가 너로 큰민족을 이루게 하리라』(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우리중에 이루어진 사실에 대하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권위』(생명의 말씀사) / 『역사비평학의 종말』(여수룬) / 『히브리서의 교훈』(도서출판 엠마오)
▶▶▶▶▶▶
예수님의 치유사역의 표적적 성격 / 이사야의 신학과 설교 / 선지서의 목회원리 / 그외 학술논문 다수
성 주 진 [ 구약신학, 교수 ] E-mail : jjseong@hapdong.ac.kr
서울대학교 경영학과(B.A.) /
합동신학대학원(M.Div.) /
Trinity College, England(M.Phil.) /
Sheffield University, England(Ph.D.)
▶▶▶▶▶▶
Structure & Unity in Deuteronomy 1-11(M.Phil.) /
Retribution & Repentance in the Former Prophets
▶▶▶▶▶▶
신명기에 적용된 고등비평과 양식비평에 대한 평가 / 열왕기 신학소고 / 사사기의 역사관 / 사울은 운명의 희생양인가 / 성경에서 본 통일의 원리 / 오경의 선교 : 선교의 언약신학적 이해 / 출애굽 경로에 대한 소고 / 패러다임 전환의 성경적 모델 / 전선지서 연구 : "신명기적 역사"비판 / 예례미야 예언의 신학적 역동성 / 신명기의 보응사상 / 신명기에 나타난 약속의 땅과 언약
현 창 학 [ 구약신학, 조교수 ] E-Mail: chyun55@hanmail.net
서울대학교 물리학과(B.S.)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Th.M.) /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과정이수) /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M.A., Ph.D.)
▶▶▶▶▶▶
A Study of the Translation Technique of Peshitta Proverbs(Ph.D.)
▶▶▶▶▶▶
욥기의 주제 / 지혜서의 성격과 지혜 어휘 / 최근의 페쉬타 연구동향과 번역기법 연구
/ 선지서 주해의 원리 / 에스겔서의 분석과 메시지
박 형 용 [ 신약신학, 교수 ] E-mail : hyoungpark@hotmail.com
서경대 영문과(B.A.) /
총신대학 신대원(M.Div.)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 /
Emory University(S.T.D.)
▶▶▶▶▶▶
『산상보훈 40강』(성광문화사) / 『복음비평사』(성광문화사) / 『신약개관』(아가페출판사) / 『에베소서 주해』(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세상이 감당하지 못할 믿음의 삶』(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빌립보서 주해』(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사복음서 주해 Ⅰ,Ⅱ』(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꼭 알아야 할 신약 30주제』(도서출판 하나) / 『신약성경신학, 바울신학』(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교회와 성령』(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Redemption and Newness of Life』(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신약정경론』(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성경해석의 원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사도행전 주해』(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하나님이 가라사대 아니야』(도서출판좋은미래) 하나님이 가라사대 그럼에도 불구하고』(도서출판좋은미래) / 하나님이 가라사대 그래, 그거야』(도서출판좋은미래) / 하나님이 가라사대, 덮어 놓고 기뻐하라』(도서출판좋은미래)
▶▶▶▶▶▶
『참목자상』(생명의 말씀사)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생명의 말씀사) /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새순출판사) / 『계시록의 메시지』(성광문화사) / 『요나서의 강해』(성광문화사)
▶▶▶▶▶▶
신자들의 육체부활「신학지남」 / 성령세례와 성도의 구원「신학정론」외 다수
유 영 기 [ 신약신학, 교수 ] E-mail : ykyu@hapdong.ac.kr
서울대학교 농과(B.S.) /
총신대학 신학연구원(M.Div.)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 /
Durham University, England(Ph.D.)
▶▶▶▶▶▶
『영적침체』(새순출판사) / 『내게 구하라 : 끝없는 기도 생활의 비결』(새순출판사) / 『핸드릭슨 요한복음 하권』(아가페출판사)
▶▶▶▶▶▶
The New Covenant : The Promise & Its Fulfilment
▶▶▶▶▶▶
새언약의 약속 / 새언약의 약속과 성취 / 포로후 시대에 기록된 구약성경에 나타난 언약개념 / 새언약의 약속과 신약에서의 성취에 대한 해석적 차이 / 한국교회안에서 일어나는 은사체험에 대한 소고 / 성전 개념에 대한 신학적 고찰외 학술논문 다수
조 병 수 [ 신약신학, 부교수 ] E-mail : drcho@hapdong.ac.kr
총신대학 신학과(B.A.) /
합동신학대학원(M.Div.) /
독일 Westfalische-Wilhelms-Universitat in Munster(Dr.theol.)
▶▶▶▶▶▶
『가난하나 부요케』(여수룬) / 『고린도후서 해설』(여수룬) / 『성령으로 사는 그리스도인』(여수룬) / 『데살로니가전서 주해』(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신약신학 열두 논문』(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신약신학 열두 주제』(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외 다수
▶▶▶▶▶▶
『신구약 중간사』(기독교교육연구원) / 『오늘날의 성령의 사역』(기독교교육연구원) 외 다수
신 복 윤 [ 조직신학, 명예총장 ] E-mail : Sjune@hananet.net
국제대학 영문과(B.A.) /
연세대학교 대학원(Th.M.) /
장로회신학교(M.Div. 현 총신대)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California Graduate School of Theology(Ph.D.) /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Research Fellow) /
Princeton University(Visiting Scholar)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visiting Scholar)
▶▶▶▶▶▶
『나는 하나님을 믿는다』(성광문화사) / 『칼빈의 신학사상』(성광문화사) / 『 교의학서론』(합동신학대학원) / 『종말론』(개혁주의 신행협회)
▶▶▶▶▶▶
『기독교강요』(존칼빈)(공역) / 『기독교신학개론』(루이스 벌콥) / 『기독교교리사』(루이스 벌콥) / 『교회론』(루이스 벌콥) / 『칼빈주의 근본 원리』(헨리 미터) / 『칼빈의 예정론』(F. H. 클루스터) / 그외 논문 다수
송 인 규 [ 조직신학, 부교수 ] E-mail : seniosong@hanmail.net
건국대학교 축산학과(B.A.) /
총회신학대학 연구원(M.Div.) /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과정이수) /
Calvin College(M.A.C.S. 수학) /
Syracuse University(M.A. & Ph.D.)
▶▶▶▶▶▶
『Divine Foreknowledge and Necessity』(University Press of America 출간 예정) / 『나의 주 나의 하나님』(IVP) /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IVP) / 『복음과 지성』(IVP) / 『잃어 버린 자아를 찾아서』(IVP) /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IVP) / 『성경은 공동체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IVP) / 『그리스도의 찢긴 몸』(예영) /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하여』(IVP) / 『고립된 성』(IVP) / 『평신도 신학 강좌 1, 2』(홍성사) / 『예배당 중심의 기독교를 탈피하라』(IVP) / 『성경,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성서유니온) / 『아는만큼 누리는 예배』(홍성사) / 세 마리 여우 길들이기』(IVP)
정 승 원 [ 조직신학, 조교수 ] E-mail : sastelu@hanmail.net
일리노이 주립대학 철학과(B.A.)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M.Div., Ph.D.)
▶▶▶▶▶▶
John B. Cobb"s Christology : Its Significance for Religious Pluralism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적 종말론 비판과 성경 신학적 의의"
"존 콥의 종교다원주의와 화이트헤드의 "하나"와 "여럿" 개념"
"박윤선 박사의 변증학 고찰" 외 다수
김 영 재 [ 역사신학, 교수 ] E-mail : Sarabose@hanmail.net
서울대학교 종교학과(B.A.) /
영국 Clifton Theological College(졸업) /
독일 Wuppertal Kirchliche Hochschule(수학) /
총회신학교(수료) /
독일 Philips Universitat zu Marburg(Dr.theol.)
▶▶▶▶▶▶
『Der Protestantismus in Korea and die Calvinistische Tradition』(Peter D.Lang, Frankfurt am Main) / 『교회와 신앙고백』(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한국교회사』(이레서원) / 『교회와 예배』(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기독교 교회사』(이레서원) / 『믿음 그리고 행함』(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한국기독교의 재인식』(도서출판 엠마오) / 『알기 쉬운 기독교 신앙 문답』(이레서원)
▶▶▶▶▶▶
『이성에서의 도피』(프란시스 쉐퍼) / 『도피하는 현대인』(마이클 그린) / 『칼빈의 교회관』(오토 베버) / 『신앙교육문답(하이델베르크와 웨스트민스터 문답의 해설서)』(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오 덕 교 [ 역사신학, 총장, 교수 ] E-mail : dougkoh@hanmail.net
총신대학교 신학과(B.A.) /
총신대학 신학연구원(M.Div.) /
총신대학교 대학원(Th.M.) /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Research Fellow)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Ph.D.)
▶▶▶▶▶▶
『청교도와 교회개혁』(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장로교회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빈야드 운동 무엇이 문제인가』(교회와 신앙) / 『종교개혁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청교도 이야기』(이레서원) / 『언덕위의 도시: 청교도의 사회적 이상』(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김 병 훈 [ 역사신학, 전임강사 ] E-mail : bhkim1993@hapdong.ac.kr
고려대학교 영문학과(B.A.)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M.A.) /
합동신학대학원(M.Div.) /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수료) /
Calvin Theological Seminary (Ph.D.)
▶▶▶▶▶▶
Tritheism and Divine Person as Center of Consciousness with a Comparative Appraisal of Jurgen Moltmann and William Hill as Test Cases(Ph. D. diss., Calvin Theological Seminary, 2002) / 칼바르트의 "삼중적 반복으로서의 삼위" 개념에 담겨 있는 양태론적 특성, 조직 신학 연구 3(2003) / 위르겐 몰트만의 "하나님의 삼위일체론적 단일성" 개념에 담겨 있는 삼신론적 특성들, 성경과 신학 34(2003)
김 명 혁 [ 역사신학, 명예교수 ] E-mail : mhkim7@unitel.co.kr
서울문리대 사학과(B.A.) /
총회신학교(수학) /
Faith Theological Seminary(M.Div.)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 /
Yale Divinity School(S.T.M.) /
Aquinas Institute of Theology(Ph.D.) /
Yale University.(Research Fellow) /
Fuller School of World Mission(Research Associate) /
Tubingen University(연구) /
Billy Graham Center(Scholar in Residence)
▶▶▶▶▶▶
『초대교회의 형성』 / 『현대교회의 동향』 / 『신앙과 현실』 / 『복음과 세상』 / 『통일과 선교』 / 『기도의 인물』(성광문화사) / 『빌립보서 성경공부』(도서출판 엠마오) / 『신앙 생활의 ABC』(성광문화사) / 『근세교회사』 / 『종교개혁사』(합동신학대학원) / 『한국교회쟁점진단』(규장문화사) / 『영몰라 통몰라 가르쳐줘도 몰라』(두란노) / 『즐겁게 살도록 지음받은 존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나의 미래 나의 운명』(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근세교회사』(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선교의 성서적 기초』 / 『현대기독교 선교』(성광문화사) / 『한국복음주의 협의회 성명서 모음집』(기독교문서선교회)
유 화 자 [ 기독교교육, 부교수 ]
건국대학교 영문학(B.A.) /
건국대학교 대학원 영문학(M.A.) /
총신대학 신학연구원(M.Div.) /
Western Conservative Baptist Seminary(Th.M. & M.A.C.E.) /
Biola University(Ed.D.)
▶▶▶▶▶▶
『멘토링 (성경적 제자양육)』(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당신은 어떤 지도자입니까? (섬기는 지도자: 크리스찬 리더쉽)』(코미조서원)
▶▶▶▶▶▶
『내가 누구인지 이제 알았습니다』(죠이 선교회) /『이제 자유입니다』(죠이 선교회)/ 『사단을 대적하라』(생명의 말씀사) /『기도: 하나님과의 대화』(생명의 말씀사) /『산상보훈』(생명의 말씀사) /『기도생활』(생명의 말씀사) /『신앙문제해답 508선』(생명의 말씀사) /『그리스도 중심의 생활』(생명의 말씀사) /『주일학교 200년사』(생명의 말씀사) / 『경건의 연습』(생명의 말씀사) 외 다수
▶▶▶▶▶▶
기독교인의 교육적 사명 / 유대인의 교육 / 성경적 관점에서 본 시험관 아기 / 기독교인과 문화 / John Amos Comenius의 교육론과 기독교교육에 대한 그의 공헌 / 크리스쳔의 영적 승리 / 기독교인의 리러쉽 / Horace Bushnell과 기독교인의 양육(Christian Nurture)에 관한 고찰 / 예수님의 여성관에 관한 소고 외 다수
박 영 선 [ 설교학, 조교수 ]
한양대학교 전기공학(B.A.) /
총신대학 신학연구원(M.Div.) /
Liberty Baptist Seminary(M.R.E.) /
Liberty Baptist Seminary(D.D.)
▶▶▶▶▶▶
『하나님의 설복』(새순출판사) / 『구원 그 이후』(새순출판사) / 『하나님의 열심』(새순출판사) / 『더 깊은 신앙으로가는 길』(새순출판사) / 『성령론』(크리스챤서적) / 『교회론』(도서출판 엠마오) / 『성화에의 길』(도서출판 엠마오) / 『사도행전 강해』(도서출판 엠마오) / 『하나님 나라의 이해』(도서출판 엠마오) / 『요한복음 강해』(도서출판 엠마오) / 『제자훈련』(도서출판 엠마오) / 『독설』(규장) / 『신앙클리닉』(규장) / 『설교자의 열심』(규장) / 『통찰과 분별, 믿음의 본질』(낮은울타리) 외 다수
정 창 균 [ 설교학, 조교수 ] E-mail : ckjung54@unitel.co.kr
전북대학교 경영학과(B.A.) /
합동신학대학원(M.Div.) /
Stellenbosch University(Th.M.) /
Stellenbosch University(Th.D.) /
▶▶▶▶▶▶
『하루동안의 방황』(칼럼집. 하나출판사),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설교』(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효과적인 설교 전달』(공저, 나침반)외 다수
▶▶▶▶▶▶
『설교의 커뮤니케이션』(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Preaching as a Pneumatological Communication Process / 성경신학적 설교는 가능한가?(한국성경신학연구회 논문집)
김 만 형 [ 기독교교육, 조교수 ]
총신대학교 /
합동신학대학원(M.Div.)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R.E.)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D.)
▶▶▶▶▶▶
『SS혁신보고서』(도서출판 에듀넥스트), 『SS자녀교육보고서』(도서출판 에듀넥스트)
▶▶▶▶▶▶
『예배속드라마1』(도서출판 에듀넥스트) / 『예배속드라마2』(도서출판 에듀넥스트)
▶▶▶▶▶▶
질적성장을 위한 기독교 유아교육 / 총체적사역으로서의 교육목회 / 구도자예배란 무엇인가? / 제자훈련 사역자의 효과적 가르침을 위한 일곱가지 전략 / 하늘이 열리고 마음이 열리는 예배 / 교회교육 리더십 개발 / 삶의 변화를 위한 효과적 교육방법 익히기 / 삶의 현장과 연관된 교육을 위한 드라마 익히기 / 자원봉사자 양육 / 열린예배 논점찾기 / 크리스챤 교수법 외 학술논문 다수
양 승 헌 [ 기독교교육, 전임강사 ] E-mail : shyang@paidion.org
총신대 신학과(B.A.) /
총신대 신대원(수학)/
합동신학대학원(M.Div.) /
Dallas Theological Seminary(M.A.C.E.)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Ed.D.)
▶▶▶▶▶▶
『뚫린 귀』(파이디온) / 『친백성』(파이디온) / 『어린이 디모데 전도훈련』(파이디온) / 『어린이.come』(파이디온) / 『어린이 설교 크리닉』(파이디온) / 『창세기 여행』(디모데) / 『교육환경 리모델링』(디모데)외 다수
김 은 미 [ 기독교교육, 전임강사 ]
경희대 가정학과(B.S.)/
합동신학대학원(M.Div.)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Th.M., Ph.D.)
▶▶▶▶▶▶
Korean High School Missionary Kids: Perceptions of Living in Other Cultures
노 상 헌 [ 기독교상담, 전임강사 ] E-mail : sanghunroh@hotmail.com
Letourneau College(B.S.)/
Wheaton College Graduate School(M.Ed., M.Th.)/
Wheaton College Graduate School(Psy.D.)
▶▶▶▶▶▶
Shame and Guilt and their psychopathological implication in the Korean context.
방 선 기 [ 기독교교육, 전임강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졸업/
총회신학교 수학/
미국 리폼드 신학교 졸업(신학, 교육학석사)/
콜럼비아 교육대학원 졸업(교육학박사)/
CANADA Regent College수학
▶▶▶▶▶▶
『뱀처럼 지혜롭게 비둘기처럼 순결하게』(한세) / 『직장설교』(한세) / 『설교하기는 어려워도 설교준비는 즐겁다』(두란노) / 『대중문화도 거룩해질 수 있다?』(예영커뮤니케이션) / 『크리스챤@직장』(한세) / 『기업 경영과 하나님 나라』(엠마오) / 『어느 엔지니어의 실험실 전도』(한세) / 『방선기의 보물찾기』(줄과추) / 『크리스챤과 직업』(한세) / 『일상생활의 신학 상, 하권』(한세) / 『비전』(한세) / 『직업3M』(한세) / 『직업인을 위한 강해설교』(한세) / 『성공4F』(한세) / 『야곱의 사다리가 된 캔디통』(한세) / 『쉬운 기독교 값진 은혜』(좋은씨앗)
박 완 철 [ 설교학, 전임강사 ]
연세대학교 건축학과(B.Sc.)/
합동신학대학원(M.Div.)/
Redcliffe College(Diploma)/
Brunel University(London Bible College, M.Th., Ph.D. Candid.)
▶▶▶▶▶▶
『신학과 목회: 간격메우기』(기독교개혁신보사)
▶▶▶▶▶▶
The Interpretation of Paul and the Law: Some Crucial Issues in the Pauline Theology of the Law and of "Works of the Law" in Recent Scholarship/ The Integration of the Word and Experience in Preaching: A Study of Word-Centred Experiential Preach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Some Exemplary Preachers in the Reformed Tradition and to the Contemporary "New Homiletic"
김 학 유 [ 선교, 조교수 ] E-mail : harkyookim@hapdong.ac.kr
총신대 신학과(B.A.)/
합동신학대학원(M.Div.) /
Tyndale Theological Seminary(수학)/
All Nations Christian College(M.A.)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D.)
▶▶▶▶▶▶
Christian Communication in Shitoism / Nationalism and Mission / 복음서 주석에 나타난 칼빈의 선교사상 / 창가학회 성장연구: 기독교 선교에 주는 도전
문 상 철 [ 선교, 전임강사 ] E-mail : ssmoon@netsgo.com
부산대 영어영문학과(B.A.)
아세아연합신학연구원(M.A.) /
고려개혁신학연구원(M. Div., Equiv) /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D.)
▶▶▶▶▶▶
『세계관과 선교 외 현대선교 시리즈 1-11호 편집』(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한국선교핸드북 90-2000 편집』(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 『선교 정보 파발마』편집인(한국선교연구원)
▶▶▶▶▶▶
『초점! 종족집단별 접근전략』(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 『열방을 향하여』(공역,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 『미전도종족입양운동 메뉴얼』(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 『잃어 버리기에는 너무 소중한 사람들』(공역, 죠이선교회) / 『약속의 따을 향하여』(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도 문 갑 [ 선교, 전임강사 ] E-mail : mgdoh@chollian.net
경희대 법학과(B.A.)/
총신대 신학연구원(M.Div.) /
Columbia Internationl University(D. Min.)
▶▶▶▶▶▶
『Managing Crises in International Missions』(CIU)
▶▶▶▶▶▶
『선교사와 선교단체/데니스 레인』(두란노서원)
▶▶▶▶▶▶
선교사의 위기관리와 목회적관리(선교연구) / 위기관리의 연구 (KMQ)등
안 점 식 [ 선교, 전임강사 ]
서울대학교 철학과(B.A.) /
서울대학교대학원 철학과(M.A.)/
합동신학대학원(M.Div.)/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D.)
▶▶▶▶▶▶
『세계관과 영적전쟁』(죠이선교회출판부), 『세계관을 분별하라』(죠이선교회출판부) / 『기, 무엇이 문제인가』(죠이선교회출판부)
▶▶▶▶▶▶
『영적전투』(죠이선교회출판부)
▶▶▶▶▶▶
기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신학정론 16권 1호)외 학술논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