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김석준목사님의 <조직신학 - 차례>
+ 1
jopage.hwp (37.8K)
이 름 궁극교회 날 짜 2003/12/18 (09:19:06)
홈페이지 번 호 4 조 회 320
제 목 조직신학이란?
본 교재는 고 김석준목사님께서 대동신학교에서의 강의내용을 필기한 후에 정리한 것으로, 기존에 알려진 조직신학의 기본 틀 안에서 더 들어가 하나님과 인간과의 인격적 관계 면을 강화해서 다루었습니다.
따라서 교리나 론적인 면의 학적인 접근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체계신앙신학의 사상을 접목해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적 성분적인 면에서 바른 관계를 가짐으로 해서 하나님께서 만세 전에 당신의 자녀들에게 예비하신 하나님의 인격과 성품을 덧입어 궁극적 그 세계에서의 풍성한 미래를 온전히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인도하는데 중점을 둠으로써 성도들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믿음의 효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름 궁극교회 날 짜 2003/05/27 (19:37:47)
홈페이지 번 호 2 조 회 367
제 목 조직신학 차례
Download : jopage.hwp (37 Kbytes)
본 교재는 고 김석준목사님께서 대동신학교에서 강의하신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현재 김경형목사님께서 궁극교회와 안양 포도원제일교회, 대전의 평안교회에서 정기적으로 이 교재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는 기독교인들 대상으로 무작위 배포하는 것이 아닌 김경형목사님께서 강의하시는 집회에 참석하시는 분들에게 한정적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에는 전체를 올리지는 않습니다.
운영자에게 개인적으로 본 교재를 신청하셔도 보내드리지 않음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한글 2002로 작성했습니다.
차 례
제일장. 인죄론.(인간의 기원) 5
제一절. 인간창조의 동기. 5
一.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 5
1. 신령계가 동기가 됨. 6
제二절. 인간창조의 원인. 8
一. 신의 인격성. 8
1. 신의 애성이 원인이다. 9
2. 신의 선성이 원인이다. 9
제三절. 인간창조의 목적. 11
一. 후사(子)를 삼겠다는 목적이다.(엡1:5, 3:6) 11
二. 천국을 주시기 위해서. 12
三. 영원한 사랑의 대상자를 삼기 위해서. 13
제四절. 인간창조의 성경적 보도. 14
1. 같은 피조물인데도 인간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5
2. 이중보도. 15
3. 후자는 전자를 보충하고 있다는 주장. 16
一. 신의 도모.(창2:4~) 17
1. 만물을 다스리게 하기 위해서? 18
2. 신께서 대화의 상대자를 삼기 위해서 도모했다? 19
3. 예배와 제사를 받기 위해서 특별 도모를 하신 것이다? 19
4. 하나님의 대 선택의 목적물로 삼기 위해서. 20
二. 도모하신 인격성.(우리) 20
三. 신의 특별한 동작. 22
1. 하나님께서 특별하신 동작으로 인간을 창조하신 이유. 23
2. 하나님의 인간창조의 특별 동작의 방편. 24
3. 인간 두 요소의 합성. 26
1) 비 물질성인 영(영혼)을 창조했다. 27
2) 물질로써 인간의 육을 창조했다. 28
3) 두 요소로 결합된 1인.(마10:28, 눅8:55, 고후4:16, 빌1:22) 31
3. 인간의 우월한 지위. 35
제五절. 낙원의 창설. 39
一. 이 동산에 거주할 인간의 의무. 40
1. 은밀계시를 알고 살아야 한다. 40
2. 거처의 의무. 41
3. 통치하라. 43
4. 지켜라. 43
5. 따먹어라.(생명과) 44
6. 먹지 말라.(선악과) 44
二. 에덴에서 흐르는 네 강. 46
1. 비손강. 47
2. 기혼강. 48
3. 힛데겔강. 48
4. 유브라데강. 48
제六절. 사람의 통일성. 49
一. 사람의 통일성. 49
1. 근원적 통일성, 그리고 궁극적 통일성과 비 통일성.(엡1:10) 51
2. 인종의 통일성에 대한 성경의 증언. 52
1) 유기적 타락의 통일성. 53
2) 인류애성의 통일성. 54
3. 인간의 통일성에 대한 학문적 증언. 57
제七절. 인성의 시조와 번식. 64
一. 인성의 구조. 64
1. 단일 성분설. 65
2. 삼분설. 65
3. 이분설. 65
二. 전인(全人)에 대한 구조. 70
1. 물질적 구조. 70
2. 비 물질적인 구조. 71
3. 이분설에 대한 정확한 분리. 72
三. 타락한 영의 상태. 75
四. 거듭난 영의 상태와 작용. 76
제八절. 도덕적 성질. 78
一. 양심.(συνε?δησι?-스네이데시스) 80
1. 동반한 지식. 81
2. 도덕적 분별과 대립. 81
3. 신체와 영의 관계. 83
1) 일원론. 83
2) 유물론.(有物論) 83
3) 유심론.(有心論) 83
4) 유영론.(有靈論) 83
5) 이원론. 84
4. 영이 인격의 주체성. 85
5. 이성과 신체와 결합된 육체. 85
6. 비 물질적 육에 속하는 이성의 절대 자유성. 86
7. 인격의 주체성인 영이 살았을 경우.(중생한 경우) 86
二. 의지(καρδ?α-마음). 87
1. 양론의 대립. 89
2. 인간의 의지와 자유행동. 90
三. 도덕적 책임. 91
1. 도덕적 책임을 위한 선악의 구별. 92
2. 일반적인 선악의 개념. 93
3. 종교적 도덕적인 관념. 93
4. 기독교적 성경적 견해. 94
四. 생명율. 95
1. 기독교적 성경적 바른(正) 책임성. 96
1) 인격의 주체성적 책임.(완전 책임) 98
2) 인격적 자체적 영적 책임. 98
2. 인간(인성)의 번식. 105
1) 선재론. 105
2) 유전론. 110
3) 창조론. 119
제九절. 원인(原人)의 하나님의 형상.(하나님의 형상의 여러 가지 견해) 125
一. 성경적 논고. 125
1. 형상과 모양. 125
1) 지, 의, 성(거룩). 126
2) 생명과 영생. 126
3) 육의 몸. 127
4) 만물의 치리. 127
2. 여러 파의 하나님의 형상관. 127
二. 신의 형상의 가치. 130
1. 하나님의 형상의 가치. 130
2. 전가적 피동적 가치. 131
3. 활용적 가치성. 131
제十절.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신 원인과 동기와 목적. 132
一. 원인. 133
二. 동기. 134
1. 신령계의 쾌락성이 동기가 된 것이다. 135
2. 천국의 무한성이 동기가 됨. 137
3. 천국의 완전성. 138
4. 천국의 충만성. 138
三. 우리 인간을 신의 형상으로 창조한 목적. 139
1. 신자(神子)를 삼기 위해서.(엡1:5) 140
2. 신의 신부를 삼기 위해서. 141
3. 영원한 후사를 삼기 위해서.(엡3:6) 142
제十一절. 신의 형상인 인간의 원시상태. 142
一. 원시상태의 신의 형상. 144
1. 타락 이전 인간의 원시상태. 144
2. 감염성을 가졌으나 감염되지 않은 원시상태의 인간. 146
3. 신의 형상대로 창조된 원시상태의 인간. 147
二. 자연적 하나님의 형상(인격)의 원상. 148
1. 영구성. 149
2. 성숙성. 149
三. 도덕적(인격) 하나님의 형상의 원상. 150
1. 적극적 성.(聖) 151
2. 상대적 완전.(양적 완전이 아니고 질적 완전) 152
3. 전체적 조화. 153
4. 하나님과의 교통. 153
四. 외면적 하나님의 형상의 원상. 153
1. 완성상. 154
2. 불사성.(不死性) 155
3. 낙원생활. 156
五. 권위적 하나님의 형상의 원상. 157
1. 통찰적 권위. 158
2. 탐구적 권위. 158
3. 진보적 권위. 159
제十二절. 행위언약에서의 인간. 159
1. 서언. 159
2. 타락 이전의 행위언약. 161
3. 타락한 이후에는 은혜언약. 163
4. 전 인류에게 주신 행위언약. 166
제十三절. 행위언약의 원인과 동기와 목적. 169
一. 행위언약의 원인. 171
二. 행위언약의 동기. 173
제十四절. 죄인. 174
一. 죄의 기원. 174
二. 철학적 신학적 논의. 175
1. 철학적 노력. 176
2. 종교의 신학적 노력. 176
3. 역사상의 논의. 178
三. 죄의 기원에 대한 성경적 논고. 179
1. 동사적인 죄. 180
1) 죄의 척도. 181
2. 명사적인 죄. 186
제이장. 기독론. 189
제 一 편. 그리스도의 필요성. 189
제一절. 원인적 필요성. 192
1. 성질적 단일성의 필요성. 194
2. 의사적 단일성의 필요성. 195
3. 능력적 단일성의 필요성. 198
4. 생명적 단일성의 필요성. 199
1) 원인적 근원적 생명. 199
2) 피조적 생명. 201
제二절. 그리스도의 구속의 필요성. 214
一. 속죄의 필요성. 214
1. 인간의 완전 타락과 속죄의 필요성. 214
1) 대표적 전적 타락설. 215
2) 유전적 전적 타락설. 215
3) 동참적 전적 타락설. 215
二. 하나님의 지공성. 216
1. 인간이 아니면 속죄는 불가능. 218
2. 인간이 범죄 했기 때문에. 220
3. 인간이라도 죄인이면 불가능이다. 221
4. 속죄의 자격이 있어도 사랑이 없으면 불가함. 223
5. 그리스도는 인간으로서 완전 형벌. 224
6. 그리스도는 인간으로서 완전 생활. 226
7. 그리스도는 인간차원에서 완전 생활. 226
제三절. 칭의의 필요성.(대행적 필요성 - 마5:20) 229
一. 무죄인과 천국. 230
1. 자범죄와 무죄인. 230
2. 도덕성에 무죄인. 231
3. 원죄에서의 무죄인.(타락 전) 231
二. 인적인 의인과 천국. 232
1. 인적인 의행. 232
2. 신적인 의행. 233
3. 신적 의행의 기준. 233
三. 하나님의 지공과 지성의 법에 만족. 234
1. 인간으로서는 불가능. 234
2. 무죄한 인간만이 가능. 235
3. 그리스도께서는 이를 위해 도성인신 했다. 235
제四절. 중보의 필요성. 236
一. 진리적 결합. 237
二. 생명적 결합. 238
三. 능력적 결합. 238
四. 인간이라야 인간과 결합할 수 있다. 239
1. 본질적으로 인간이라야 인간과 결합할 수 있다. 239
2. 성격적 인간이라야 결합할 수 있다. 240
3. 차원적 인간이라야 인간과 결합이 된다. 241
五. 신이라야 신과 결합을 할 수 있다. 242
1. 본질과 본성적인 신이 아니면 신과 결합이 될 수 없다. 244
2. 도덕적으로 완전자이신 신이 아니면 신과 결합할 수 없다. 245
3. 능력적으로 완전자이신 신이 아니면 신과의 결합은 불가능. 247
六. 신성과 인성의 양성 일위의 결합이 아니면 안 된다. 248
1. 일성 일위로써는 불가능. 250
2. 이성 이위로써는 불가능. 251
제五절. 영원 불변적 변화 부활의 필요성. 255
一. 부활의 개념. 258
1. 불신자의 부활. 260
2. 신자의 부활. 261
二. 예수의 부활. 264
1. 예수님의 부활은 단독적 부활이다. 264
2. 능동적 부활이다. 264
3. 부활을 위한 자원적 사.(死) 265
4. 타를 위해 사활(死活). 266
三. 부활의 권능. 266
1. 죽음을 벗어나는 능력. 268
2. 물질계를 벗어나는 능력. 271
3. 악령의 유혹을 받지 않는다. 273
四. 부활의 성격. 274
제二편. 그리스도의 품위.(그리스도의 一位性) 275
제一절. 그리스도의 일위에 관한 정통적 진술. 275
一. 성(性)과 위(位)와 의지(意志)의 정의. 276
二. 위와 성의 관계. 276
1. 신적 위의 양성의 연합. 276
2. 복합 위. 277
3. 인성 자체와 비 인격성. 278
4. 인성은 독자적 실존이 아니다. 278
5. 인성은 불완전성이 아니다. 279
6. 인성의 의식과 의지. 279
제二절. 그리스도의 일위의 증명과 유추. 279
一. 성경적 증명. 279
1. 단일 인격의 자칭. 279
2. 양성 일위의 연합된 표시. 280
3. 한 위(一位)가 어느 한 성품에 맞는 표현으로 제시되었다. 280
二. 합리적 유추. 281
1. 육체와 영혼. 281
2. 가능성의 근거. 281
제三절. 일위의 같은 성의 연합의 결과는? 282
一. 이중전달. 283
1. 위(位)로써 인격의 전달. 283
2. 성(性)과 혹 공작의 전달. 284
제삼장. 구원론. 287
제一절. 서론.(신의 구원계획) 287
1. 어거스틴주의의 구원계획. 287
2. 칼빈주의의 구원계획. 289
3. 여러 가지 이설. 290
제二절. 목적인 사건선택. 301
제三절. 목적물인 존재선택. 302
제四절. 예정구원. 305
제五절. 계획. 308
1. 궁극적 구원계획. 309
2. 존재의 창조계획. 310
3. 사역계획. 310
4. 단독적 계획. 311
5. 선적 계획. 312
제六절. 설계.(하나님의 구원설계) 312
1. 창조설계. 313
2. 사역설계. 313
제七절. 창조구원.(구원착수와 창조) 317
1. 이원론적 창조설. 318
2. 개조론. 319
3. 진화론. 319
4. 시간 상위론. 319
5. 완전 창조론. 319
제八절. 타락허용. 320
1. 인간타락의 허용목적. 321
2. 타락의 방편. 322
3. 타락의 순서. 324
4. 타락한 상태. 327
5. 타락의 종별. 328
6. 타락의 성격. 329
제九절. 계약구원. 333
一. 기본구원에 대한 계약. 333
1. 성부의 계약. 333
1) 자녀를 삼을 것을 계약. 334
2) 천국을 유업으로 주실 것을 계약. 335
3) 천국의 영주권 계약. 335
二. 건설구원에 대한 계약. 346
1. 법을 지키면. 348
2. 성문율.(成文律)<성문법> 349
3. 불문율(不文律)<불문법> 350
4. 은밀율.<은밀법> 351
5. 의지율.<무한법> 354
三. 파종에 대한 계약.(심고 거둠) 359
1. 옳은 것 의의 것을 심어라, 그리하면 구원을 거두리라. 360
2. 정직하라. 360
3. 많이 심어라.(옳은 것을) 360
4. 심는 대로, 심은 대로 거두리라. 361
四. 구원협조 계약. 362
1. 하나님께서 직접 협조. 362
2. 존재들을 동원시켜 협조하신다. 363
3. 사건을 동원시켜 협조하신다. 363
4.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다 동원시켜서 협조하시기로 계약. 365
5. 가장 좋은 것으로 동원시켜 협조해 주시기로 계약함. 365
五. 성화구원에 대한 계약. 366
1) 특수적 감염성에 대한 계약. 367
2) 감염성에 대한 계약.(신의 지혜지식적으로 온전케 하는 계약) 371
3) 신의 온전성에 대한 계약. 374
4) 신의 능력성의 감염에 대한 계약. 376
5) 성장구원에 대한 계약. 378
6) 참 사람인 영성의 성장계약. 384
六. 심판에 대한 계약. 395
1. 준법과 범법의 개념. 396
2. 현재적 범법자에 대하여. 398
3. 비 구속자에 대한 공심판. 402
4. 세상종말적 파멸적 심판.(벧후3:10) 404
제十절. 법적 구원. 407
1. 하나님께서는 법을 초월해 존재하심. 408
2. 인간이 타락 이전에는 법 아래 살고 있었다. 409
3. 타락함으로 죄 아래 사는 자가 되었다. 411
4. 구속으로 말미암아 진리와 그리스도의 사랑 아래 살게 되었다. 412
一. 인간의 타락과 구속. 414
1. 그리스도의 대속. 414
2. 그리스도의 대형. 416
3. 피로써 죄의 대가를 지불했다. 417
二. 신의 지성과 지공의 법. 417
1. 하나님의 지성의 법. 419
2. 하나님의 지공법. 420
3. 최고의 법(최고 정직한 법-입법자가 최고자인고로) 422
三. 신자(神子)가 될 수 없는 인간. 422
1. 근본적으로 불가능. 423
2. 피조물이니 자존자의 아들이 되기는 불가. 423
3. 불완전자가 완전자의 아들이 되기는 불가. 424
4. 유한자가 무한자의 아들이 되기는 불가. 424
5. 거룩하지 못한 자가 거룩한 분의 아들이 되기는 불가. 424
6. 법적으로 불가. 424
7. 본질과 본성적으로 불가. 426
四. 인간과 법과 사망.(법 아래 있는 인간) 428
1. 인간의 자유성과 법. 429
2. 인간의 의무성과 법. 433
3. 책임성과 법. 438
五. 심판성과 법. 440
1. 자치적 심판의 법. 442
2. 성질적 심판의 법. 443
3. 상대적 심판은 수치. 443
4. 그리스도의 구속으로 통과된 심판법과 통과되지 못한 심판법. 444
六. 그리스도의 법적 대형(代刑). 444
1. 그리스도의 법적 대형의 자격. 447
七. 그리스도의 법적 대행(代行). 449
1. 택자들의 모든 죄책임을 홀로 담당하심.(과거 현재 미래) 451
2. 하나님께 버림받음. 452
3. 자연은총에서 완전 죽음. 452
4. 사망의 고통을 경험하심. 453
八. 법적 구원과 실질적 구원. 453
1. 법적 구원은 그리스도의 단독사역이다. 453
2. 법적 구원은 그리스도의 완전사역이다. 453
3. 실질적 구원은 단회사역이다. 453
4. 실질적 구원은 수동적 사역이다. 454
5. 법적 구원의 만인 동질 동등성. 454
九. 법적 구원의 효력의 한계. 455
1. 심판의 면제성과 비 면제성.(면제심판과 비 면제심판) 456
2. 법적 무죄인이 됨.(무죄성과 유죄성) 456
3. 법적 신자(神子)가 됨. 456
4. 법적 천국시민이 됨. 457
5. 실질적 구원과 연결. 457
6. 실질적 구원. 457
제十一절. 소명.(성령의 공작) 458
一. 소명의 개관. 459
1. 소명이라는 명사의 의미. 460
二. 소명의 발령자. 462
1. 성부의 부르심. 462
2. 성자의 부르심. 463
3. 성령의 부르심. 463
三. 소명과 계시. 464
1. 자연을 통한 전체적 부르심. 465
2. 사건을 통해 전체를 부르심. 465
3. 사건을 통해 개인을 부르심. 466
四. 소명과 인간의 자유. 466
1. 소명의 진정성. 469
2. 인간의 자유성. 469
3. 소명의 유효성. 470
4. 소명의 무효성. 470
五. 말씀소명의 여러 개념들. 471
1. 일반적 소명. 471
2. 특수적 소명. 475
1) 하나님께서 특수적으로 특수인간을 부르심. 476
2) 대표적 소명. 479
3. 소명의 방편. 481
1) 하나님께서 직접 소명하심. 482
2) 천사들을 통한 소명. 483
3) 사건을 통한 소명. 485
4) 사람을 통한 소명. 486
5) 지식을 통한 소명. 488
4. 소명의 목적. 489
1) 구원운동에 등용목적. 491
2) 하나님의 대 구원사역에 가담의 목적. 492
3) 구속의 목적. 493
4) 구원건설 목적.(신의 영광을 입힐 목적) 495
六. 내소. 496
1. 내소의 직접 활동자. 497
2. 제한적 소명. 499
3. 유효적 소명. 500
4. 의식적 소명. 502
5. 무의식적 소명. 503
제十二절. 칭의구원. 505
一. 칭의의 개념. 507
1. 성질적 의. 507
2. 목적적 소원적인 의. 508
3. 행위적 활동적인 의. 508
二. 칭의의 필요성. 509
1. 천국 입국자로서 절대 필요. 509
2. 영존해야 할 자인고로 칭의가 필요하다. 509
3. 하나님과 인격적 결합과 수수관계로 존재해야 할 자인고로. 510
三. 칭의의 성격. 510
1. 이 의의 근원은 하나님이다. 510
2. 하나님을 기준한 성격. 511
3. 절대적이며 유일한 성격. 511
四. 칭의의 종별. 511
1. 인적인 의. 511
2. 종교적인 의. 511
3. 신적인 의. 512
五. 칭의의 효력성. 512
六. 칭의의 방편. 512
제十三절. 중보구원. 513
一. 중보의 개념. 514
1. 물질이치에서의 중보개념. 515
2. 도덕이치에서의 중보개념. 517
3. 종교와 사상성에서의 중보개념. 520
二. 중보의 명칭. 522
1. 신비스런 연합. 525
2. 결합. 526
3. 화목. 526
三. 중보의 필요성. 527
1. 생명적 중보의 필요성. 529
2. 성질적 중보의 필요성. 529
3. 의사적(意思的) 중보의 필요성. 531
4. 능력적 중보의 필요성. 534
5. 활동적 면에서 중보의 필요성. 535
四. 중보의 성격. 536
1. 진실성.(진리) 537
2. 애정성. 539
3. 생명성. 544
4. 능력성. 546
5. 대속성. 549
五. 중보의 자격. 554
1. 완전한 신성이라야 한다. 555
2. 완전한 인성이라야 한다. 557
3. 불범성이라야 한다. 561
1) 원죄의 불범성. 562
2) 몸이 불범성이어야 제물이 될 수 있다. 563
3) 영성이 불범성이라야 된다. 564
4) 진실성이 있어야 한다. 566
5) 승리자가 아니면 중보의 자격은 상실. 569
六. 중보성공의 방편. 570
1. 신인양성 일위의 결합으로 출생하심. 571
2. 양성으로 계시지만 생활은 완전한 인간을 경험했다. 574
3. 승리하므로 중보성공을 했다. 576
4. 대속의 죽음으로 중보완성 성공. 577
七. 중보의 효력. 578
1. 하나님과 완전 결합적 효력. 580
2. 신생명(新生命)으로 중생.(영생) 584
3. 가범성자가 불범성적인 자로. 586
4. 전달적 효력. 589
5. 하나님과 수수관계적 교제의 효력. 591
제十四절. 중생구원.(출30:7, 38:8, 겔11:9, 30:26, 요3:5, 15:3, 엡2:5) 592
一. 서론. 592
二. 중생의 개념. 593
1. 중생교리에 대한 일반적 개념. 594
2. 성경적 중생교리의 개념. 595
三. 중생의 의미.(박형룡의 ‘교의신학 구원론’ 152쪽을 참고하라) 597
1. 명사적 의미. 598
2. 명사의 여러 의미. 599
3. 중생.(딛3:5) 600
4. 거듭남.(요3:1-7) 600
5. 물과 성령으로 남.(요3:5, 6, 8) 601
四. 중생의 의의 601
1. 선행적 조건. 602
2. 중생의 일반적 의의. 603
3. 중생의 성서적 의의. 605
五. 중생의 방편. 608
1. 사죄.(마20:28, 막10:45, 롬8:2, 계1:5) 608
2. 칭의.(롬3:22, 24, 26, 28, 5:1) 609
3. 중보.(엡1:10, 2:14, 18, 딤전2:5, 히8:6, 9:15, 12:24) 610
六. 중생의 성격. 612
1. 신자(神子)의 격(格)(히12:9, 롬8:11-16, 갈4:6) 612
2.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어.(요일5:1) 614
3. 불변성.(벧전1:4-23) 617
4. 불범죄성.(요일3:9, 5:18) 619
七. 인간의 영원 불변성과 중생. 630
1. 자체적 불변성과 중생. 630
2. 성질적 불변성과 중생. 631
3. 심신의 불변성과 중생. 632
八. 중생의 효력. 632
1. 처음의 출생은 육신이다. 634
제十五절. 소속구원.(요8:22, 23) 635
一. 소속의 개념. 636
1. 이념적 소속. 636
2. 의식과 제도적 소속. 636
3. 법적 소속. 636
4. 활동적 소속. 636
二. 소속의 종별. 636
1. 신령계 소속. 637
2. 물질계 소속. 637
3. 정신계 소속. 637
三. 소속의 역사성. 637
1. 하나님의 예정적 소속. 637
2. 하나님의 의지적 구원에 소속.(인간 내가) 637
3. 신의 예정적 구원에 소속. 637
4. 목적적 창조적 구원에 소속. 638
5. 타락 이전 본래적 소속. 638
四. 소속의 성격. 638
1. 동일 동성적 소속. 639
2. 불변적 소속. 640
3. 생명적 소속. 641
五. 소속의 방편. 641
1. 하나님의 직접적인 방편. 641
2. 간접적인 방편. 641
六. 소속의 목적. 641
1. 공존목적. 642
2. 동희 동락 목적. 642
3. 애정의 수수관계 목적. 642
제十六절. 입장구원. 642
一. 입장의 개념. 643
1. 양대 입장에 대한 구별. 644
2. 선적 입장과 악적 입장. 645
3. 생명적 입장과 사망적 입장. 647
二. 입장의 역사성. 647
1. 본래는 하나님의 단일입장. 648
2. 하나님께서 구원을 위해 상대적인 세계로 타락시킴.(잠16:4) 650
3. 인간은 본래는 하나님의 입장에 서 있었다. 650
三. 입장구원의 성격.(눅23:41, 42) 652
1. 기본적인 입장구원. 652
2. 하나님에 대한 신앙. 652
3. 기본적인 입장구원을 얻은 자의 소원이 달라짐으로 얻는 구원. 653
四. 성도의 기본적인 입장과 실질적인 입장.(롬7:14) 653
1. 중생한 영의 고정된 입장. 656
2. 옛사람, 혹은 육, 혹은 부패성은 본래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 657
3. 이성의 입장. 659
4. 생명계와 사망계의 구별. 660
5. 선적인 행동과 악적인 행동의 구별. 660
6. 생명적인 활동과 사망적인 활동. 661
五. 입장구원의 효력성. 662
1. 신자(神子)의 입장.(엡2:1-5, 히11:2) 662
2. 승자의 입장. 662
3. 세상을 다스리는 자의 입장의 효력. 663
六. 입장전환(구원)을 위한 노력. 663
1. 입장을 무시하게 하는 악령의 노력. 663
2. 정신적으로 신(神)적으로의 입장전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664
3. 육적 활동 면에서 입장의 노력. 665
제十七절. 지위구원(주권구원)(벧전2:9) 665
1. 전체 피조물 중에서 종류에 따라 지위를 나눌 수 있다. 667
2. 등용적 지위. 667
3. 관계적 지위. 668
一. 지위의 개념. 668
1. 통치적 지위. 669
2. 봉사적 지위. 670
3. 영광적 지위. 673
二. 지위구원의 명칭. 673
1. 천국시민의 지위.(엡2:19, 빌3:20) 675
2. 시민권. 677
3. 성전의 지위.(고전3:9, 16, 6:19, 고후6:16, 엡2:21, 히3:6) 679
4. 재판장의 지위.(마19:28, 고전6:2, 3) 684
구원론 요약 687
1. 기독교에서 구원을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 689
2. 기독교에서 구원의 용어를 빌려서 사용한다. 689
3.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원이라는 용어의 뜻. 690
4. 기독교에서 말하는 구원이라는 용어의 뜻. 690
1) 기독교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구원이라는 말. 692
2)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특수적인 뜻. 693
(1) 궁극적 목적적 결과적 구원. 696
(2) 기본구원. 698
(3) 건설구원. 699
(4) 성화구원. 701
(5) 업적구원. 702
(6) 소유구원. 703
(7) 연관구원. 705
(8) 연락, 연결, 나열. 706
조직신학 요약분 711
구원론 711
一. 구원의 개념 711
二. 하나님의 단독적 구원사역. 712
1. 구원의 원인.(천국) 713
2. 구원의 동기.(사랑) 713
3. 구원의 목적.(천국유업) 713
4. 구원의 방편. 713
5. 신의 구원사역.(神行, 靈行, 物行) 714
6. 구원의 성질. 715
7. 구원의 결과. 716
8. 결론. 716
신론 717
1. 비 공유적 신의 속성. 718
2. 공유적인 신의 속성. 719
3. 신의 인격성의 구분. 720
4. 신의 사역성. 721
1) 무택설. 721
2) 후택설. 723
3) 선택설. 723
구원론 724
5. 선택구원. 724
6. 하나님의 예정구원.(엡1:4, 5, 9) 725
7. 예정의 종별. 726
8. 설계구원. 729
1) 타락목적.(하나님께서 인간의 타락을 설계하신 목적) 730
2) 타락의 성질. 732
3) 타락의 결과. 733
9. 계약구원. 737
10. 법적 구원.(엡1:7, 골2:13, 3:1, 히9:15) 738
인론.(인죄론) 742
1. 상대적인 인관. 742
2. 구성요소적인 인간관(인간의 구성요소) 743
1) 인간과 타 피조물과 차이점. 744
2) 인간의 특권. 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