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은 루터의 수제자 - 칼빈학자 방델의 의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칼빈은 루터의 수제자 - 칼빈학자 방델의 의견


칼빈 학자 프랑수아 방델(Francopis Wendel) 은 그의 책 "칼빈; 그의 신학 사상의 근원과 발전"에서 칼빈에 대하여 <칼빈은 루터를 연구하고 그 신학의 정수를 섭렵해 자신의 신학의 토대로 삼은 루터의 수제자>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백영희목사님은 "루터가 깨달은 것을 칼빈이 정리" 했다고 하셨는데، 방델의 책을 좀 더 살펴 본 후에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업로드 하겠습니다.

1 전체
신학 04.02 00:00  
1. 프랑수아 방델: 프랑스의 위대한 칼빈주의 신학자로 칭송받으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교수였습니다. 칼빈의 고향이 프랑스 입니다.

2.방델의 책 내용중 일부 입니다.

칼빈은 자기 독자적인 개인의 사색으로부터 어떤 사상을 이끌어 낸것은 아니었습니다. 이미 오래전 부터 알려진 사상을 성경적으로 체계적으로 잘 배열을 하였습니다. 칼빈은 항상 루터에 대한 열렬한 존경심을 품고 있었는데, 그의 저서들을 일찍부터 탐독하였으며 그 책들에 의해 루터에게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칼빈에게 있어서 루터의 영향은 너무나 자명하여서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루터의 영향은 1536년 "기독교강요"의 구상에서 이미 외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났는데, 기독교강요의 초판은 루터의 소요리문답의 순서를 취한 것입니다. 또한 근본적으로 "기독교 강요"는 루터의 사상을 자주 도입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십계명과 사도신경의 첫 조항(또는 셋째조항 역시)의 해설에 뚜렷이 나타나 있습니다.

루터에 대한 칼빈의 의존관계는 랑(Lang)에 의해 논증된 "친밀한 동료의식"을 이해되어야 합니다. 그는(랑) "기독교강요" 초판에 나타난 칼빈의 사상은 거의 남부 독일의 루터파와 같다고 지적하였습니다.
뿐만 아리라 칼빈은 칭의와 죄인의 전적타락, 자범죄와 원죄, 유일한 구세주이시며 중보자이신 그리스도, 성령을 통한 구원의 역사, 그리고 말씀과 성찬에 관한 근본적인 교리와 관련하여, 루터와 전적으로 일치된 견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신칭의와 믿음에 의한 부활에 대한 루터의 핵심적 교리는 다른 어떤 개혁파 신학자들보다 칼빈에 의해 더 충실하게 확립되었고 한층 강력하게 표현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