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 '사도신경 강해' - 서영호목사님의 신학으로 본 부산공회(2)의 신앙노선
*부산공회(2) 홈에서 인용
------------------------
사도신경 강해
강사 : 서영호 목사님
기간 : 2002년 2월 25일(월) - 3월 1일(금)
시간 : 새벽집회 4시 30분
저녁집회 오후 7시
대상 : ①서부교회 중간반 학생
②그 외 참여한 성도
주관 : 서부교회 중간반
1. 들어가는 말 (마 28:16-20)
(가) 사도신경은 성경의 일 부분도 아니고 또 다른 성경도 아니다. 다만 초대 교회 때부터
지금까지 정통 교회에서 사용한 신앙 고백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사도 신조(信條)라
부르기도 한다. 사도신경은 예수님의 사도들이 직접 지은 것이 아니고, 후세에 사도들의
가르침을 간략하게 간추려 신앙고백문으로 사용한 것이다. 주후 2세기말에 로마 교회에
서 세례 문답시에 간단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점차적으로 지금의 형태로 발전한 것은 주
후 6/7세기경이다.
(나) 사도신경의 구조와 내용 : 삼위일체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
⒝ 구속 주 하나님(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 생명의 주 성령 하나님
ⓓ 거룩한 공회(교회)
ⓔ 성도의 교제
ⓕ 죄의 용서
ⓖ 부활
ⓗ 영생에 대한 신앙고백으로 되어 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에는
ⓐ 동정녀 탄생
ⓑ 십자가 죽음과 부활
ⓒ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심
ⓓ 재림의 내용이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예수님의 사도들이 가르친 가장 기본적인 정통 교리들이고, 초대
교회 교부 이레나이우스(Irenaeus, 175년경-195년경 활동), 테르툴리아누스(Tertulianus,
터툴리안, 160년경-220년후)등이 "믿음의 규칙"(The Rulr of Faith)으로 삼아 증거 한 것
이다.
주후 200년경 로마 교회의 세례 문답시에 주제 하는 장로(Presbyter, 혹은 신부)가
ⓐ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는가?
ⓑ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가? 그가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 나
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십자가 고난을 당하시고, 죽어 장사되시고, 제 삼일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고, 하늘에 오르사 아버지 우편에 앉으시고 그리고 산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재림)오실 것을 믿는가?
ⓒ 성령을 믿으며, 거룩한 교회와 육체의 부활을 믿는가?
이렇게 물은 후에 세례를 베풀었다고 한다.(히폴리투스, Hippolytus, 160경-235,"사도적
전통")
(다) 사도신경의 용도 :
⒜ 학습 세례 준비와 문답
⒝ 예배시 공적 신앙 고백
⒞ 개인 경건 생활시 묵상할 때
⒟ 성경교리를 체계화 할 때(조직신학)
참고 : 칼빈의 1559년 판 "기독교 강요"의 순서
① 창조주 하나님의 지식 (新論)
② 구속 주 하나님의 지식 (基督論)
③ 구원론 (聖靈論)
④ 은혜의 수단 (敎會論) 다른 학자들은 거기에 덧붙여 다섯 번째 제목으로
⑤ 종말론을 다루고 있다.
(라) 영문 사도신경과 한글 사도신경의 차이
영문에는 "지옥에 내려가시고"(He descended into Hell)가 들어있다. 그 뜻은 그리스도
께서 지옥을 정복(hallowing of Hell)하시고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하심을 말한다. 본래
서방교회에서는 없던 문구이었는데 주후 5세기 경 동방 교회의 영향으로 삽입되었다. 한
국 교회는 처음 전도한 선교사들에 의해서 초기의 사도 신경을 받아드렸다.
(마) 사도 신경의 성격
초대 교회 때부터 널리 사용된 신앙고백이나 공식적으로 세계 공의회에서 채택된 것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들이 사도신경을 바로 이해하려면 세계 공의회에서 선포한 정통 신
조들을 바로 알아야 한다.
주후 325, 381년의 니케아 - 콘스탄틴노플 신조(소위 Nicene Creeds), 그리고 칼케톤 신
조(Definition of Chalcedon), 또한 장로교회의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서(1646)의 내용을
자세히 연구하여야 한다. 물론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특별 계시인 신 구약
66권의 성경 말씀과 그 이치를 성령의 감동 받아 바로 깨달아야 한다.
(사) 사도 신경의 활용
"나는 믿는다"라고 자기의 믿음을 고백하는 것이기 때문에 믿음의 3요소를 모두 갖추어
야 한다.
ⓐ 지식적으로 믿음의 대상과 내용을 바로 알아야 한다.
ⓑ 범사에 하나님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옳다 진리로 인정해야 한다.
ⓒ 하나님과 하나님의 말씀을 좇아 순종해야 한다.
그리하여 신앙 고백은 지식적인 행위를 뛰어 넘어, 살아 계신 하나님과 진리의 말씀에
대한 절대적 신뢰와 순종의 고백이어야 한다. 자 그러면 무엇을 믿는다고 고백할까?
[신앙고백의 대상]
1.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믿음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알고, 인정하고, 순종하고, 의지하여 살까?
"전능하사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습니다"
(가) 전능하신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한다.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주권적 의지를 가지시고 그 선하신 뜻대로 일하실 수 있는 전능의
능력을 가지신다. 하나님의 절대주권(Sovereignty of god)
주권 의지 : 에베소서 1:11(모든 일을 그 마음에 원대로 역사하시는 자의 뜻을 따라)
주권 능력 : 누가복음 1:37
"전능하신 하나님" (엘 샤다이) : 창세기 17:1
"전능하신 자" (판토크라토르) : 계시록 1:8
(나) 천지 만물을 만드신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한다.
ⓐ 창조주와 피조물의 구별 : 하나님의 주인 되심과 피조물의 종 됨, 영계와 물질계에 대
한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초월성과 내재성의 뜻을 알아야 한다.
천 지 창 조 : 창세기 1:1
천 지 창 조 : 요한복음 1:3
만물의 주인 : 시편 24:1
만물의 주인 : 마태복음 6:24
초월성과 내재성 : 로마서 9:5, 11:36
골로새서 1:16-18
※초월성-모든 만물 위에 -하나님은 만물 속에 있는 분이 아니다.
※내재성-만물안에 계신다.(하나님이 만물에 속해서가 아니다)만물
을 주관하시는 분으로서 만물과 함께 하신 분을 만물 안에
계신다고 함
(그러나 하나님은 만물과 구별됨)
비교 : 범신론(Pantheism) : 만물을 신이라 함. 신을 자연이거나 자연의 일부라 함.
영지주의(Gnosticism) : 물질을 악하다 함. 창조주 하나님 부정.
뉴 에이지 무브먼트(New Age movement) : 거짓 신령 주의.
유물론과 진화론 : 하나님과 하나님의 창조 역사 부정.
※범신론 -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 구별이 없음
ⓑ 창조의 목적 : 우연이거나 맹목적인 창조가 아니다. - 창조에는 목적이 있다.
하나님의 영광 : 시편 19:1 작은 바이러스하나도 목적이있다.
택 자 의 구원 : 에베소서 1:5,6,12 하나님의영광과택자의 구원이목적
선 한 창 조 : 창세기 1:31
디모데 4:4
창 조 의 꽃 :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다.
창세기 1:26-27, 시편 8:1-9
ⓒ 창조와 섭리의 법칙 - 목적을 위해 섭리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creatio ex nihilo) : 히브리서 11:3, 요한복음 1:3
말씀과 성령으로 창조하고 유지 함 : 시편 33:6,9 히브리서 1:3 시편 104:30
하나님의 통치 : 시편 99:1 시편 104:1-33
*비교 : 이신론(理神論,Deism) : 창조 세계가 저절로 움직인다는 18세기의 잘못된 주장.
ⓓ 모든 영물들 (선한 천사들과 악령들)도 하나님의 피조물들이다. 하나님께 복종함.
섬기는 천사들 : 히브리서 1:14
하나님의 부리는 악신 : 사무엘 상 18:10
*비교 : 천사 숭배를 금하심 : 골로새서 2:18
사탄 숭배 : 뉴 에이지 운동에서 성행함(Satanism)
(다) 하나님이 아버지이심을 믿어야 한다.
ⓐ 성부(聖父) 하나님 : 예수님의 하나님, 영광의 아버지 - 에베소서 1:17
시편 2:7
요한복음 17:1-26
ⓑ 하나님 우리 아버지 : 성도와 예수 그리스도와의 생명적 결합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
의 아버지가 우리 아버지가 되신다. - 요한복음 20:17
하나님 아버지의 양자 : 로마서 8:14-17
하나님에게서 난 아들 : 요한일서 3:9, 5:1
하늘에 계신 아버지(天父) : 마태복음 6:9(주기도)
ⓒ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 : 로마서 5:8
돌보심 : 마태복음 6:32
상속(기업) : 베드로전서 1:3-4
양육 : 히브리서 125-11
안보 : 요한일서 5:18
※ 하나님에 대한 지식 보충
ⓐ 삼위일체(Trinity) : 하나님은 삼위 일체로 존재하시고 또 일하신다.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은 단일 본체(單一本體), one substance)이시나 삼위(三位,three
persons), 곧 세 인격위(人格位)로 계신다.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 : 마태 28:19
고린도후서 13:13, 고린도전서 12:4-6
ⓑ 하나님의 속성 12속성
◆고유속성(하나님에게만 있는 것) : 독립성(자존성, independence),
불변성(immutability),
무한성(infinity),
단일성(simplicty)
◆공유속성 : 지식(knowledge), 지혜(wisdom), 선(善, goodness), 사랑(love),
거룩(holiness), 의(義,righteousness), 진실(veracity, truthfulness),
주권(sovereignty, omnipotence)
*비교 : 일위파(一位派), Unitarianism) 이단 (삼위일체 부정)
4세기의 아리우스(Arius)파,
16세기의 소시니우스(socinus)파,
19세기 이후 미국의 일위파(Unitarianism-Universalist)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마 16:16)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믿음 다음에 그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필수적입니다. 요한복음 17:3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다". 또한 고린도전서 8: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며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았느니라" (고린도전서 1:3) 초대 교회 때에 축원할 때에도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하였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마태복음 16:16절에서 베드로가 고백한대로 "주는(예수)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 이심을 믿는 것이다". 로마서 10:9에는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얻으리다" 하였다.
(가)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어야 한다.
ⓐ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 : 누가복음 1:32
하나님의 아들 : 누가복음 1:35
하나님의 독생자 : 요한복음 1:14
ⓑ 예수님의 신성 : "하나님에게서 난 하나님의 아들" 히브리서 1:5(시편 2:7)
본체의 형상 : 히브리서 1:3
하나님의 본체 : 빌립보서 2:6
하나님의 능력 : 마태복음 14:33(22-33)
하나님의 소유 : 마태복음 11:27
ⓒ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심 : 요한복음 1:18
상호 내주하심 : 요한복음 14:10
ⓓ 부활하심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 받으심 : 로마서 1:4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받으심 : 마태복음 28:18
(나) 예수께서 우리 주(主, Lord, 퀴리오스)되심을 믿어야 합니다.
믿는 성도들의 하나님이시요, 주권자시요, 책임 주이시다.
ⓐ 주권자 : 빌립보서 2:9-11
ⓑ 사도 도마의 고백 : 요한복음 20:28 "나의 주시며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초대교회의 예수님에 대한 명칭 : " 주 예수 그리스도" (요한 계시록 22:20)
ⓒ 구원은 예수를 주로 입으로 시인하는 것 : 로마서 10:9,10
ⓓ 책임 주(責任 主) : 마태복음 28:18-20, 로마서 14:9, 디모데후서 4:17-18
(다) 예수께서 그리스도, 곧 메시아(Christ=Messiah)이심을 믿어야 한다. 하나님과 사람 사 이의 유일하신 중보자(仲保者, the Mediator)로서
대속(代贖, substitutionary atonement) 구원을 이루신 구속 주(救贖主)이시다.
그리스도의 세 가지 직분
⒜ 제사장 직분 :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대제사장 되심 - 히브리서 4:14, 5:5
자기 자신을 대속 제물로 바침 : 마태복음 20:28, 히브리서 9:28
우리에게 사죄(히브리 9:22), 칭의(고후 5:21), 화친(로마 5:10), 영생(요한 6:54)주심.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심 : 로마서 8:34
요한일서 2:1(대언자)
은혜의 보좌로 나아갈 길을 열어 주심 : 히브리서 4:16, 요한복음 14:6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새 삶을 주심 : 고린도후서 5:14-17
성령주심 : 요한복음 16:7
ⓑ 선지자 직분 :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과 성령으로 성도들을 가르치시고 인도하심 - 누가복음 7:16
능력의 말씀 : 마태복음 7:29, 누가복음 4:36
영생의 말씀 : 요한복음 6:68
요한복음 6:63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영이요 생명이니라"
성령을 지도하심 : 요한복음 16:7-13
사도들과 주님의 종들을 쓰심 : 요한계시록 1:1
ⓒ 왕 직 :
그 하나님 아버지를 위하여 하늘나라를 세우시고 다스리시는 영원한 왕이시다. 만물 을 아버지 하나님께 복종하게 하신다.
왕 노릇하심 : 고린도전서 15:24-25, 요한계시록 20:6
만왕의 왕 : 요한계시록 17:14
(라) 예수님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믿어야 한다.(구원의 역사)
ⓐ 도성인신(道成人身, 또는 聖肉身, Incarnation)하심 - 요한복음 1:14
① 성령으로 잉태하심 : 누가복음 1:34-35
② 동정녀 탄생(Virgin Birth) : 누가복음 1:34, 이사야 7:14
ⓑ 사활대속(死活代贖)
③ 십자가 대속의 죽음 : 이사야 53:5-6, 베드로전서 2:24, 히브리서 9:28
④ 부활 : 빈 무덤 : 누가복음 24:1-5
제자들에게 보이심 : 요한복음 20:19-24, 고린도전서 15:3-8
ⓒ 천상의 사역(우리위해 제사장노릇,선지자(우리위해종들을보내셔서)노릇,왕노릇)
⑤ 승천 : 사도행전 1:9-11 곧 중보자 노릇하고계심
요한복음 14:2 영원한 처소 예비하심
⑥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심 : 히브리서 12:2, 베드로전서 3;22
위엄과 영과의 우편 : 히브리서 1:3, 히브리서 8:1, 골로새서 3:1-3
ⓓ 재림 : 데살로니가 전서 : 4:13-17
⑦ 심판하러 오심 : (상 주시기 위해)
심판하는 권세를 가지심 : 요한복음 5:27
산 자와 죽은 자의 심판 : 디모데후서 4:1
그리스도의 심판 : 고린도후서 5:10
성도들의 영광의 소망 : 마태복음 25:21, 골로새서 3:4
※ 교회사에 나타난 예수님에 대한 이단 설 : 그 시작은
ⓐ 신성을 부인하는 에비온파(Ebionites)
ⓑ 그의 인성을 부인하는 가현설(Docetism, Gnoticism)이다.
① 주후 325, 니케아 세계 공의회, 신성 부정한 아리우스를 정죄.
② 주후 381, 콘스탄티노플 세계 공의회, 인성 부정한 아폴리나리우스 정죄.
③ 주후 431, 에베소 공의회, 신인 양성 일위 부정한 네스토리우스 정죄.
④ 주후 451, 칼케돈 세계 공의회, 신인 양성의 혼합을 주장한 유티커스 정죄. 이 공
의회에서 초대교회의 성경적 교회는 "예수님은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시고,
양성 일위이심"을 밝히었다.
3. 성령님에 대한 믿음(요16:7-15) 요14:16-24, 15:26-27, 16:1-16
[요절]요15:26-성령은 하나님 아버지에게서 나온다.
"성령을 믿습니다" 아버지에게 나와서 예수님에 의해 보내심을 받았다.
[요절]요14:26] 보혜사성령
(가) 성령께서 삼위 일체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한다. 마태복음 28:19, 베드로전서 1:2
*주후 381,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 : "그리고 아버지에게서 나오시는 생명의 주이
시며 주님이신 성령을 믿습니다. (요15:26)
그는 아버지와 아들과 함께 경배와 영광을 받으실 분입니다. 그는 선지자들을 통해서
말씀하신 분입니다."
※삼위일체하나님은 존재하신 것도
성령 모독 죄 : 누가복음 12:10, 사도행전 5:3
일하시는 것도 삼위일체로 존재
하나님의 영 : 고린도전서 2:11
보혜사(保惠師, Advocate) : 요한복음 14:16-17
그리스도의 영 : 로마서 8:9
(나) 성령께서 생명의 주이심(the Life-giver)을 믿어야 한다. - 시편 104:30
생기로 사람이 생령이 됨 : 창세기 2:7(참고 창6:3) (생기 - 성령)
성령으로 거듭남 : 요한복음 3:5-6 (생명-하나님과연결)
살리는 성령 : 요한복음 6:63 ※중생 - 성령의 역사로 살아남
죽을 몸을 살리심 : 로마서 8:11
※(가)-중생 (나)-성화
(다) 성화의 영(the Spirit of sanctification)이심을 믿어야 한다.
(살아난 생명을 성화시켜 하나님처럼 온전케 하시는 역사 - 순종할 때)
예수께서 이루신 대속 구원을 믿는 사람 개인적으로, 교회적으로, 우주적으로 적용하여
완성시키신다.
거룩하신 하나님과 그의 하늘 나라에 합당하게 성화 시키신다(make fit to God)
진리를 가르치심 : 요한복음 16:13
기름부음이 가르침 : 요한일서 2:27
깨끗케 하심 : 고전 6:11, 갈라디아서 5:16, 디도서 3:5-6
예수의 형상을 닮아 자라게 하심 : 고린도후서 3:18
우리 몸의 구속과 만물의 구속을 위한 간구 : 로마서 8:26
성령의 열매 : 갈라디아서 5:22-23
교회를 세우심 : 고린도전서 12:13(1-31)
(라) 성령의 내주하심을 믿어야 한다.
(구약시대에는 성령이 밖에서 역사, 예수님 후로는 안에서 역사)
중생과 더불어 하나님이신 성령께서 믿는 자 안에 거하신다. 믿는 자는 성령 안에서 하
나님 아버지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를 받아 누린다.
믿음으로 성령 받음 : 갈라디아 3:1
믿는 자 안에 내주 하심 : 요한복음 14:17 ※믿지않는자는 성령이 내주하시지 않음
믿는 자는 성령이 거하시는 성전 : 고린도전서 3:16 ※성령의 내주 - 가정교사와같다.
중생한 영과 함께 하시는 성령 : 로마서 8:16 ※우리 밖에서 우리를 책망하시는성령아니다
양자의 영 : 로마서 8:14-15 ※우리 안에서 항상 우리와 동거동락하심
성령의 교통하심 : 고린도후서 13:13
성령의 교제 : 빌립보서 2:1 (비교 : 고린도전서 10:20)
(마) 성령은 말씀과 함께 역사하신다 : 동사 원리(同事原理, cum verbo)
진리의 성령 : 요한복음 16:13 ※성령의역사는언제든지말씀과함께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 : 에베소서 6:17
진리에 틀리지 않게 역사
말씀으로 거듭남 : 야고보서 1:18, 베드로전서 1:23 말씀을 통하지 않는 성령은 위험
(사) 성령의 은사 :
교회를 세우기 위함 - 고린도전서 12:4-12
그리스도의 선물과 교회의 직분 : 에베소서 4:7-16
직분과 은사 : 로마서 12:6-8
※ 성령의 인격성을 부인하는 이단들 :
유니테리안, 자유주의 - 현대 신학자들은 성령을 하나님의 힘(power)라 한다.
거짓 신령 주의자 : 초대 교회 영지 주의자와 중세의 거짓 신비주의자들은 인간의 영안
에 신의 영이 갇혀 있다고 한다.
과격한 신평파(또는 성령파) : 초대교회 주후 2세기의 몬타너스
운동(Montanist movement)은 성령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이심을 깨닫지 못하고 성령의 독자적 역사를 주장하다
가 접신술에 빠졌다. 영을 분별하지 못하였다.
언제나 성령 경험은 승귀하신 그리스도(the Exalted Christ) 경험이어야 한다.
※ 성령은 하나님이시기에 성령 훼방 죄는 사함 不
[성령론]
니케아 공회를 결의된 신조 참고할 것
① 아버지와 성령과의 관계 - 發出 관계 (시기는 영원 발출) - 요 15:26
②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 - 出生 관계 (낳았다)
그러나 낳은 때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영원 출생이다.
③ 아들과 성령과의 관계 - 보내시는 관계 (發送 관계)
그러나 삼위는 영원부터 같이 계셨다.
성령은 하나님의 능력인데 하나님으로서 하나님의 능력이다.
우리가 하나님을 말씀할 때 - 우리 아버지
예수님을 말씀할 때 - 우리 주님
성령님을 말씀할 때 - 내주하시는 하나님(가정교사처럼) - 중생과 성화를 시키심.
[단일교회는]
서부교회나 어느 교파에 속해서가 아니고, 택함받고, 구속받고, 중생되고, 예수 믿는 사람으로서 순종할 때 단일교회이다. 세상에 속해서 사는 사람은 단일교회 아니다.
4. 교회에 대한 믿음 (고전 12:1-31)
"거룩한 공회(를 믿습니다)"
(가) 온 세상에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하나뿐임을 믿어야 한다(단일교회).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 : 에베소서 4:12(4,16)
한 성령, 한 주, 한 하나님, 한 믿음, 한 세례 : 에베소서 4:3-6
하나 되기를 원하심 : 요한복음 17:20-21
* 주의 : 조직이나 제도로서 하나 됨을 말하지 아니하고, 그리스도안에서 택하심을 입고,
그 피로 구속받은 모든 믿는 사람들이 영적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됨을 말한다.
천주교의 잘못된 주장과 또 한편으로 분파 이단들을 경계하여야 한다.
(나) 주님의 교회는 거룩함을 믿어야 한다.(구별성)
세상과 구별된 하나님의 백성 : 베드로전서 2:9
어린양의 신부 : 요한 계시록 21:9,21
(다) 주님의 교회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이다 : 요한계시록 7:9, 마태복음 28:19
사도행전1:8
모든 지방 교회들과 교파 교회들도 그리스도의 단일교회에 속하려면 보편적 특성을 가
져야 한다.
※ 보편교회의 세 가지 표징들
⒜ 순수한 복음 설교 : 마태복음 28:18-20 (예수님의 사활대속을 증거하는 것)
예수 그리스도의 사활 대속 : 베드로전서 1:18-19
부활의 증언 : 사도행전 1:22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음 : 로마서 1:17
은혜로 믿음으로 구원받음 : 에베소서 2:8(1-10)
⒝ 성례(세례와성찬)의 바른 집전 : 예수께서 세우시고 성경에 말씀하신대로 집행하여야
하고, 그 효력은 믿음으로 행함에 있다.
성찬 : 고린도전서 11:23-26
세례 : 마태복음 28:19
⒞ 권징의 충실한 이행 : 마태복음 18:18(15-20)
음행한 사람 징계 : 고린도전서 5:1-8,13
※ 교회는 건물이 교회가 아니다. 성도의 모임이 교회다. 하나님의 백성이 교회다(두 세
사람 모인 성도모임)
※ 조직체가 교회 아니다.
※ 올바른 교회관 (고전 12:1-31)
※ 교회의 두 가지 구분
①눈에 보이는 교회(눈에 보이는 교회는 지역에 따라 교파 따라 많지마는
②영적 교회(단일교회)
5. 성도의 교통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것"(을 믿습니다)
(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도들은 성령 안에서 서로 영적인 교통이 있음을 믿어야 한다.
왜? 그리스도를 머리로한 한 몸이 되었고, 한 성령을 호흡하기 때문이다.(고린도전서 12:13)
성도사이에 "사귐"(코이노니아, 交際) : 요한일서 1:3 (하나님과 사귐을 공유)
※주의 : 세상 떠난 성도들이나 성자들의 영과 교제하는 것이 아니다.
※ 교통(교제)은 쌍방이 있다. 산 사람끼리 살아있는 성도끼리. 서로 기도, 봉사, 구제, 전도,등....
※ 無 敎會 주의는 잘못됨
(나)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령 충만을 받아 "서로 교제하며 떡을 떼며 기도하기를 전혀 힘
쓰니라"(사도행전 2:42).
성도의 교제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침과 상호권징과 위로와 물질로 봉사함이다(사도행
전 2:44-45).
(다) 예수 그리스도의 단일교회에 속한 모든 성도들은 성령안에서 영적으로, 육적으로 서로
사귐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단이나 이단적 행위를 하는 이들과의 사귐을 삼가야 한
다.(고린도후서 6:14, 고린도전서 5:9-10)
*주의 : 에큐메니칼 운동(Ecumenical movement, 20세기 교회 통합운동)
6. 죄 사함을 받음
"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을 믿습니다)
(가) 예수님의 대속 공로 때문에 성도들은 믿음으로
ⓐ 사죄(赦罪, 죄 용서받음)
ⓑ 칭의(稱義, 의롭다 하심)
ⓒ 화친(和親, 또는 화목)
ⓓ 영생의 은혜를 받는 것을 믿어야 한다.
사죄의 근거 : 예수님의 피흘림 - 히브리서 9:12,22
(나) 죄의 회개와 고백 : 용서, 요한일서 1:9
회개하는 이에게 용서와 성령 주심 : 사도행전 2:38
(다) 용서 받지 못하는 죄 :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믿지 아니하는 죄 - 요한일서 5:16-17
*참고 : 히브리서 6:6
예수님의 피 공로를 믿는 사람은 어떤 죄도 다 용서 맏을 수 있다 - 고린도전서 6:9-11
7. 육체 부활
"몸이 다시 사는 것"(을 믿습니다)
(가) 부활의 근거 :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연합함(믿음으로) : 로마 6:59 (1-11)
(나) 부활의 믿음과 소망 : 고린도전서 15:20-22,55-57(참고 : 15장 전장)
몸의 부활 : 로마서 8:11
(다) 더 좋은 부활 : 히브리서 11:35
부활의 영광의 차이 : 고린도전서 15:41,42(35-49)
(노력하고 힘쓴 것 만큼 차이)
※ 불 가운데서 얻은 구원 : 고린도전서 3:15(10-15)
8. 영생(永生)
"영원히 사는 것을 믿습니다"
(가) 영생의 약속 : 요한복음 3:16
다시 죽음이 없음 : 요한계시록 21:4
(나) 하늘나라 : 새 하늘과 새 땅 : 요한계시록 21:1-8
새 예루살렘 : 요한 계시록 21:9-27
(다) 하나님과 하나님의 충만을 향유(享有) 함 : 요한계시록 : 21:6,7
(라) 영원한 기쁨 : 시편 16:11
9. 아멘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Amen, So d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