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찬송가 저작권. 21세기 찬송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계] 찬송가 저작권. 21세기 찬송


[교계] 찬송가 저작권. 21세기 찬송




(원문1 보기)
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513




21세기찬송가 무엇이 문제인가?


- 7월 15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소강당에서 ‘제2차 한국교회 찬송가 대토론회 -한국교회 찬송가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한국교회연합(대표회장 한영훈 목사)과 한국교회찬송가대책위원회(위원장 안영로 목사)가 공동주최로 2차 토론회를 열었다.


▲ 서정배 목사, 21세기 찬송가를 전면부인하고 새로운 찬송가를 만들 이유는 없다.


▲ 김정일 교수, <21세기 찬송가>에 부족한 점이 있지만 진일보한 것이다.
-김교수는 결론적으로 21세기 찬송가는 분명 과거의 찬송가에 비하면 한걸음 더 나아간 찬송가임에는 틀림없다.


▲ 이후 자유토론에서 드러난 문제들과 그동안 제기되어온 찬송가 문제를 심층분석해 본다.



찬송가의 약사

-1894년 찬양가(117장 언더우드)가 발행

-1908년에 장로교와 감리교가 하나로 통일하자는 의견을 모아 찬송가(조선예수교서회)를 펴냈다.

-1931년 감리교가 신정찬송가를 펴냈고 장로교는 1935년에 신편찬송가를 출판했다. 성결교는 복음가, 부흥성가를, 구세군은 구세군가를 발행했다.

-고신과 승동이 합동을 하면서 새찬송가를 펴냈는데 신편찬송가를 기초로 발행했다. 결국 고신은 신편찬송가를 고스란히 합동에 넘겨주고 만 것이다.

-1956년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단이 찬송가 위원회를 결성 1968년에 합동찬송가 개편작업을 시작했다.

-1967년 개편찬송가(620장)가 출판되었다.

-1983년 한국교회 선교 100주년을 맞아 한국찬송가(558장)를 기독교서회와 생명의말씀사 두 곳에서 발행했다.

-1995년 <21세기 찬송가>를 200여명의 전문가가 400여회의 회의와 토론을 거쳐 2006년에 개발 완료하고 출판을 시작했다.


▲ 지금 와서 무엇이 문제가 되고 있는가?

-법인설립의 문제와 출판사의 밥그릇 싸움, 그리고 법정 싸움
-그리고 또 하나의 소송 문제, 막대한 저작권료
-생존자의 찬송가 수록으로 인한 문제
-시끄럽고 무미건조한 음악성과 작품성이 결여된 곡을 나눠 먹기식 끼워 넣기 형태로 편집, 발해한 졸작이라고 날카롭게 비판을 한다.





(원문2 보기)-회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