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현대교회사 - 총공회양성원 (서영호 저)
[신학] 현대 교회사-서영호 목사님
(원문1 보기)
http://sanbon.org/xe/14250
現代 敎會史(1) 상식 문제집
<< 0. 서 론 >>
0-1. 현대 교회사(the Modern Age)의 시대적 구분에 대하여 말하라.
(1) 1648 - 1789 웨스트팔리아 평화에서 불란서 혁명까지
(2) 1789 - 1870 혁명이후 19세기 전반
(3) 1870 - 1914 제19세기 말에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
(4) 1914 - 19.... 1차대전에서 세기말까지
0-2. 현대 교회사의 시대적 특성은 무엇인가 ?
0-3. 현대 교회의 특성은 무엇인가 ?
<< 1. 英國 宗敎改革(제16, 17세기 ) >>
1-4. 영국 종교개혁의 意義를 말하라.
1-5. 영국 종교개혁의 예비적 단계에 대해서 말하라.
1-6. 영국 종교개혁 당시의 류더 王家의 계보를 약술하라.
1-7. 핸리 8세의 종교개혁과 영국 국교회의 독립에 대해서 말하라,
1-8. 헨리 8세의 개혁 내용은 어떠하였는가 ?
1-9. 에드워드 6세의 종교개혀에 대해서 말하라.
1-10. 메리 여왕(女王)(Queen Mary 1553-1558)의 반동졍책에 대해서 설명하라.
1-11. 엘리자벳 女王(Queen Elizabeth 1558-1603)의 종교정책에 대해서 말하라.
1-12. 리차드 후커의 감독제도 옹호론에 대해서 설명하라.
1-13. 엘리자벳基의 청교도들의 성격에 대해서 설명하라.
Ⅰ-14 초기의 독립파에 대해서 설명하라
Ⅰ-15 , 제 17세기 영국 왕실의 형편과 교회사의 의의를 설명하라.
1-16. 제임스 일세의 종교정책은 어떠하였는가 ?
1-17. 흠정역 성경이란 무엇인가 ?
1-18. 침례교회(Baptist Churches)의 설립에 대해서 설명하라.
1-19. 찰스 일세와 영국교회의 고교회(高敎會, the High Church)화에 대해서 설명하라.
1-20. 청교도 혁명에 대해서 설명하라.
1-21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대해서 설명하라.
1-22. 크롬웰 공화정치와 영국교회의 형편에 대해서 설명하라.
1-23. 크몸웰 시대에 발생한 신교과격파들에 대해서 설명하라.
1-24. 크롬웰 공화정시기의 대표적 청교도들을 열거하라
1-25. 독립교회의 성립에 대해서 설명하라.
1-26. 왕정복구(the Restoration)와 감독주의의 부활에 대해서 말하라.
1-27. 명예 혁명(the Glodrious Revolution, 1688)의 교회사적 의의를 말하라.
1-28. 비 국교도(Non-conformists)들의 영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 < Ⅱ 스 콧 트 란 드 종 교 개 혁 > >
Ⅱ-29. 스콧트란드의 역사적, 지리적 배경에 대해서 말하라.
Ⅱ-30 스콧트란드 종교개혁의 예비단계에 대해서 말하라.
Ⅱ-31. 존 낙스에 대해서 설명하라.
Ⅱ-32. 낙스의 후계자 멜빌에 대해서...... .
Ⅱ-33. 스콧트란드 장노교회의 특색에 대해서 말하라.
Ⅱ-34. 계약파(Covenanters)란 무엇인가 ?
< < Ⅲ. 제 17세기 대륙의 교회들 > >
Ⅲ-35. 웨스트팔리아 평화(1648)이후 독일교회는 어떻게 발전되었느가 ?
Ⅲ-36. 독일 정통주의 신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라.
Ⅲ-37. 조정주의자에 대하여 설명하라.
Ⅲ-38. 엄격한 정통주의에 대한 또 다른 반발에 대하여 설명하라.
B . 제 17세기 서구 개혁파 교회
Ⅲ-39. 개혁파 정통주의(Reformed Orthodoxy)에 대하여 설명하라.
Ⅲ-40. 알미니안 주의의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Ⅲ-41. 아미로 주의란 무엇인가 ?
Ⅲ-42. 루이 14세의 절대군주권(Absolutism)과 불란서 교회의 관계를 설명하라.
Ⅲ-43. 잔센파(Jansenists)의 사상과 활동에 대해서 말하시오.
Ⅲ-44. 빠스칼의 생애와 신학에 대하여 설명하라.
Ⅲ-45. 정숙주의(Quietism)에 대하여 설명하라 .
<Ⅳ . 제 18세기>
Ⅳ-46. 제 18세기의 교회사적 특성은 무엇인가 ?
Ⅳ-47. 제 18세개 초 독일 경건주의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라.
Ⅳ-48. 스페너(philip Jaclb Spener, 1635-1706)의 경건주의 강령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49. 독일 경건주의의 세 파는 무엇 무엇인가 ?
Ⅳ-50. 프랑케의 경건주의 운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51. 진젠도르프 백작(1700-1760)에 관해서 말하시오.
Ⅳ-52. 청교도(Puritan)와 경건주의자(Pietist)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
Ⅳ-53. 계몽주의의 특색이 무엇인가 ?
Ⅳ-54.파란의 계몽주의에 대해서 말하라.
Ⅳ-55. 영국 이신론(理神論 Deism)의 발달에 대하여 말하시오.
Ⅳ-56. 흄의 회의론(Scepticirm)이 기독교 사상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Ⅳ-57. 버틀러의 “종교 유추” (Analogy of Religion, 1752)에 관하여 설명하라.
Ⅳ-58. 불란서 계몽운동과 기독교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
Ⅳ-59. 독일 합리주의 발생에 대하여 설명하라.
Ⅳ-60. 독일 신학에 있어서 신학문(Neology)의 발생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61. 제 18세기 영국의 종교적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62. 제 18세기 영국 북음운동(Evangelical Movement)의 선구자들에 관하여 설명하라.
Ⅳ-63. 조지 휫필드의 칼빈주의 북음운동(Calvinistic Evangelicalism)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64. 웨슬레의 부흥운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Ⅳ-65. 영국 국교회내의 “복음주의자” (Evangelicals)에 대하여 말하라.
(원문2 보기)-회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