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나오자마자 폐기된 새 찬송가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찬송가] 나오자마자 폐기된 새 찬송가


[2012년 교계 이슈 정리 9] 찬송가 사태 해결책 없이 졸속 제작, 교인·교단 외면
2012.12.29

김은실 (raindrops89)


<뉴스앤조이>가 2012년 한국교회 이슈들을 정리했습니다. 감리교 세습 방지법 통과,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예장합동)의 총회 파행 사태, 이단 문제, 분쟁 중인 교회 등 한국 교계에서 일어난 일들을 돌아봤습니다. - 편집자 주



▲ 올해 8월 만들어진 새 찬송가는 나오자마자 사실상 폐기됐다. 사진은 새 찬송가 사용 청원 건을 부결하는 예장합동 정준모 총회장. ⓒ마르투스 이명구

올해 여름, 새로운 찬송가가 곧 완성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1세기 찬송가>가 나온 지 불과 6년 만에 찬송가가 바뀐다는 소식에 교회는 술렁였다. 지난 2008년 불거진 찬송가 사태가 새 찬송가 발간으로 다시 사람들 입길에 오르내린 것이다. <뉴스앤조이>는 찬송가 사태를 7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기획 기사로 다루고, 9월에는 찬송가 좌담회를 열어 문제의 원인을 살피고 대안을 찾았다.

찬송가 사태는 <21세기 찬송가>의 재산권을 두고 교단과 출판사들이 둘로 나뉘어 갈등을 빚으며 벌어진 사건이다. 4년 전 찬송가공회가 교단의 반대에도 법인 등록을 강행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 법인 등록과 동시에 찬송가 재산권을 뺏긴 교단과 출판사들은 비법인찬송가공회를 만들어 법인찬송가공회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새 찬송가 발간은 비법인찬송가공회 측이 찾은 사태 해결책이었던 셈이다.

비법인찬송가공회는 <21세기 찬송가>의 문제점을 들어 새롭게 찬송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1세기 찬송가>는 외국 곡이 많이 실려 있어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외국 곡 21편의 저작료 4억 8000만 원을 지급했고, 앞으로 한국 곡에도 8억 6400만 원가량의 저작료를 매년 내야 하는 등, 저작권료 부담이 커 제작이 어렵다는 것이다. <21세기 찬송가>를 만들 때부터 지적됐던 수준 미달의 찬송가 문제도 다시 거론됐다.

<21세기 찬송가>를 둘러싼 소송도 새 찬송가 발간 주장에 힘을 실었다. 지난 5월 충남도청은 법인찬송가공회 법인 등록을 취소했고, 법인찬송가공회가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만약 <21세기 찬송가>를 소유한 법인찬송가공회의 법인 등록 취소가 확정되면 <21세기 찬송가>는 출판이 중지된다.

비법인찬송가공회는 9월에 열리는 주요 장로교 교단 총회에서 새로운 찬송가 사용 승인을 받고 2013년부터 새 찬송가를 판매하려고 했다. 8월에는 새 찬송가 감수를 마쳤고 9월 총회에 배포할 시제품을 완성해 총회 임원들에게 시제품을 배포했다. 여기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과 통합 등 규모가 큰 교단 임원들이 새 찬송가 지지를 약속하면서 비법인찬송가공회는 힘을 얻는 듯했다. 그러나 새 찬송가는 총회에서 외면받았다.

새 찬송가 문제를 총회에서 다룬 교단은 예장고신·통합·합동 세 곳으로, 새 찬송가를 선택한 교단은 한 군데도 없다. 예장고신과 예장합동은 새 찬송가를 만드는 비법인찬송가공회 대신 법인찬송가공회를 개혁하고, 새 찬송가는 사용하지 않기로 결론지었다. 예장통합은 새 찬송가 사용은 거론하지 않은 채 찬송가 문제를 1년 더 연구하기로 했다. 결국 새 찬송가 판매는 잠정 중단됐다.

<21세기 찬송가>와 법인찬송가공회가 가진 숱한 문제에도 새 찬송가 채택이 거부당한 것은, 그 취지나 동기에 교인과 목회자가 공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법인찬송가공회는 찬송가로 이익을 얻는 교단이나 출판사를 위해 찬송가를 무리하게 만드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새 찬송가는 단 1년 만에 소수 목회자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진행 과정도 불투명해 졸속 논란에 휩싸였다.

찬송가 사태는 올해도 해결되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됐다. 내년에는 찬송가 사태 변곡점이 될 주요 재판 결과가 나온다. 법인찬송가공회의 법인 등록 취소 여부와 <21세기 찬송가> 출판권 소유가 누구에게 있는지 결론이 난다. 판결에 따라 찬송가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