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국제기독대 목회학 박사 학위 논문 - 장신석목사님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신학] 국제기독대 목회학 박사 학위 논문 - 장신석목사님


기도를 통한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Abstract of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A Study of The Church Growth Through Prayer -Centering Around A 30 Minutes" Prayer Meeting at Moolwol Church in Korea- by Sin Suk Jang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May, 1999.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기도를 통한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by Sin Suk Jang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May, 1999.
A Study of The Church Growth Through Prayer -Centering Around A 30 Minutes" Prayer Meeting at Moolwol Church in Korea- by Sin Suk Jang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Seminar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May, 1999.
Abstract A Study of The Church Growth Through Prayer -Centering Around A 30 Minutes" Prayer Meeting at Moolwol Church in Korea- by Sin Suk Jang May 1999.

1. Purpose

Titled as "A Study of Church Growth through Prayer", a field of ministerial science under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s between prayer, ministration and church growth described in Christian literature from the biblical, theoretical and historical views.
Based on the review, the paper is one of clinical ministralion which pursues for the growth of rural churches being degenerated and community gospelization.

2. Method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 (1) Prayer is a conversation with God, It is also breathing human souls and the key to problem solving.
(2) God leads ministration. Ministers and believers as assistant to the divine work should pray for the Lord.
(3) God wishes church growth. ministers and believers should pray for the growth.
(4) Moowol Church seeks church growth and community changes through a daily 30 minutes" prayer meeting.

3.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ere as follows
(1) Prayer is a special gift given to all people of God.
(2) Prayer ensures toe response of promises by God.
(3) The growths of believers" belief and church has been confirmed through prayer, and prayer will chntinue to develop God"s church.
(4) Church sheds light on the community through prayer, forming the basis of community gospelization.

4.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growth of rural churches as being degenerated and community changes are possible. All churches sincerely hope that prayer becomes usual to achieve church growth, the gospelizations of community and the Korean people, and world mission.
Abstract 기도를 통한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by Sin Suk Jang May 1999.

이 논문은 실천신학의 목회학 분야로서 기도함으로 교회성장을 이루겠다는 교회성장에 관한 논문이다.
현 시대에 있어서 목회자의 사명은 도시 목회에 집중하여 왔다. 도시 목회에서의 교회성장에 관한 논문이 많이 나와 있지만 농어촌교회의 성장에 관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본 논문의 내용은 기도를 통하여 농촌 교회성장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역사회의 복음화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가장 취약지라 할 수 있는 농촌에서 부터 주님의 지상대명인 세계선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성령이 임하시기까지 기도하라는 말씀에 의지하여 "매일 30분씩 기도하자"는 주제를 걸고 목회자와 모든 교인들이 2년간 함께 기도하므로 기도의 생활화를 이루고 교회성장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교회성장은 인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성령께서 교회성장의 주체가 되시고 인간은 성령의 능력에 붙들려서 하나님의 방법을 통하여 교회가 성장된다. 성령께서는 믿음의 사람을 붙드시고 역사하시므로 목회자나 교인들이 기도 할 때 성령께서 믿음을 주시고 믿음의 사람을 붙들고 전도하게 하시며 강팎한 심령을 변화시키기도 하시며 지역사회를 변화시켜 하나님의 교회를 성장하게 하여 주신다. 이 논문은 하나님의 교회가 기도하는 교회가 되고 믿음있는 성도를 양육하고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으로 기도에 관한 서적을 통하여 교회성장에 관한 지식을 재조명하고 기도의 개념, 기도와 목회, 기도와 교회성장에 관하여 다루었다. 또 실제적으로 한국 무월교회에서 "매일 30분씩 기도하자"라는 주제 아래서 2년간의 임상목회 과정을 통하여 교회가 성장됨을 증명하게 되었다.
이제 모든 교회들이 기도의 생활화를 이루어 지역사회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며 지역사회의 복음화에 더욱 힘쓰고 나아가서 한국교회가 기도하는 교회들이 되어 세계선교의 일익을 감당하는 교회들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Copyright by Sin Suk Jang 1999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기도를 통한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by Sin Suk Jang
Abstract of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Seminary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May, 1999.

감사의 글(Acknowledgements)
이 논문을 발표하게 하여주시고 모든 자료와 여건을 만들어 주신 성 삼위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또 수많은 시간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저에게 도움을 주셔서 이 논문을 제출함으로 D. MIN 학위를 받도록 허락하여주신 국제 개혁장로신학 대학원에 감사를 드리며 한국 목회개발원 대표이신 김형대 박사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또 저의 연약한 학문연구와 이 논문이 쓰여지도록 3년동안 지도하여 주신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 Reformed Presbyterian Seminary 총장님과 Dr. 박기태 지도교수님께 감사를 드리며 모든 자료에 정성을 기울려 도와주신 고신 전국 주일학교 간사이신 정명운 목사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또 이 논문이 쓰여지기까지 기도와 물심 양면으로 협조하여 주신 무월교회 성도님들과 나의 사랑하는 가족들 모두에게 감사를 드리며 이 논문이 농촌 교회 성장에 더욱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감사의 글을 드리는 바입니다.
1998년 10월
Jang, Sin Suk

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감사의 글 (ACKNOWLEDGMENTS)

장 (CHAPTER) 페이지(Page)
1. 서 론 (INTRODUCTION) 1
연구의 목적 (Purpose of the study) 2
문제의 진술 (Statement of the problem) 3
연구의 방법과 범위(Delimitations) 3
2. 관련문헌연구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5
제 1 절 기도의 개념 5
구약성경의 고찰 5
신약성경의 고찰 9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 13
제 2 절 기도의 유형 17
형태에 있어서의 유형 17
내용에 있어서의 유형 21
실제에 있어서의 유형 23
응답에 있어서의 유형 25
제 3 절 새벽기도에 대한 조명 27
새벽기도의 정의 27
성경적 근거 29
역사적 근거 33
제 4 절 저녁기도에 대한 조명 42
구약성경에서의 고찰 42
신약성경에서의 고찰 46
한국교회의 고찰 47
제 5 절 기도와 목회에 관하여 51
목회의 개념 51
목회의 본질 53
목회와 기도 58
제 6 절 기도와 교회성장에 관하여 61
교회성장의 개념 61
교회성장의 주체 67
신학적 배경 74
교회성장의 종류 78
교회성장의 원리 81
3. 방법론과 진행과정 (METHODS AND PROCEDURES) 86
방법론(Methods) 86
주제에 관한 연구(Subjects of the Study) 91
설문서 착상(Design of the Survey) 92
자료의 처리 및 분석(Treatment and Analyses of the Data) 92
가설들의 평가 (Tests of the Hypotheses) 93
4. 연구 결과들 (RESULTS OF THE STUDY) 94
설문지 조사에 대한 분석 94
제 1 가설의 결과(Results of Hypothesis One) 101
제 2 가설의 결과(Results of Hypothesis Two) 102
제 3 가설의 결과(Results of Hypothesis Three) 103
다른 발견들 (Other Findings) 105
5. 결론 그리고 제안들 (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107
요약 (Summart) 107
제안 (Recommendations) 108
부록편 (APPENDIX) 110
A. 설문서 (Ministry of survey forms) 110
B. 도표목록 (List of Table) 118
참고문헌(References) 119
약력 (Vita) 124


제 1 장

서 론

한국교회는 선교100주년이 지났고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만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성장 하였다는 것은 자타가 다 인정하는 사실이다. 이렇게 되는데는 수많은 신앙선배들의 희생적인 노력과 성령의 놀라운 역사와 현대 목회자들의 교회성장을 위한 뜨거운 열의와 이에 호응하여 긍정적으로 신앙지도를 받아드린 평신도들의 적극적인 자세 등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본다.
이제는 곧 2천년대를 맞게되는 시점에서 한국교회의 사명은 더욱 중요한 시점에서 교회가 나아갈바를 재정립시켜야 하는 중요한 의미를 던져주고있는 것이다.
그에대한 첫째의미는 과거 선교1세기동안의 한국교회성장보다도 이제 더욱 성장하여야한다는 역사적인 사명이요.
둘째로는 기독교불모지인 한국에도 지난 한세기동안 우리의 신앙선배들의 희생적인 노력으로 인구의 25%를 복음화하여 놓았으니(한국교회 100년 종합조사연구보고서 : 한국 기독교 사회문제 연구원 1982년) 앞으로 더 좋은 토양과 기반위에서 40%∼60%를 민족복음화하는 우리의 기대와 숙제를 이룩해야 한다는 것이요.
그리고 남북한이 통일을 향하는 선교준비를 하라는 민족적인 기대와 신앙적인 요청이 그의미로 생각할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하려면 한국 교회를 인도하고 있는 모든 교역자들은 반드시 깊이 자기성찰을 하고 우리 목회자의 본분인 기도와 말씀에 충실하여야 할것이다(행 6 : 4).
즉 기도하는 것과 말씀전하는것이 우리 목회자들의 근본적인 본분임은 신약성경 사도행전 6:4의 말씀이 아니라도 자타가 공인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가 비대하여 지면서 현시점의 목회자들의 실상은 기도하는것과 말씀전하는 것 외에도 심방 상담 교회행정 지역사회 유대관계 노회 총회의 업무 교단각종사업 교육 의료 자선 선교 기타 많은 사업이 셀수없이 바쁘게 숨차게 달려야 하는 실상이다.
이와같은 현실속에서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이 도시교회와 대교회를 위한것에 전력하다보니 자칫 농어촌교회에 소홀히 하여 농어촌교회가 소외되면서 쇠퇴하고있다. 농어촌 교회는 신앙의 기초를 닦는것과같으며 도시교회의 모종과 같은 일을 지난 한세기동안 감당하여온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을 통하여 농촌교회가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등대역활을 하고 교회가 없는 지역에 교회를 세우고 지역주민의 복음화를 위하여 무엇보다 먼저 기도에 힘써야 한다는 것을 세삼 느끼게 되었다.
교회성장과 지역사회의 복음화률을 높이게 하기 위하여 방법이야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방법이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교회성장의 주체이며 하나님께서 교회를 성장시키시며 하나님의 뜻이기도하기 때문이다. 어떻게하면 교회가 성장되고 지역사회가 변화될까? 이에대한 해답은 하나님을 기쁘시게하고 하나님의 뜻에따라 복음을 전파하여야한다.
부흥회, 철야기도, 새벽기도, 전도훈련, 구역예배, 제자교육, 평신도훈련, 심방, 전도, 설교 등 각각의 환경에따라서 강조점이 달라질 수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전교인들이 믿음이 있어야하고 교인들을 믿음있는 교인으로 변화되게하기 위하여 기도에 힘써야된다. 믿음은 순종에서 부터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은 "항상 기도하라"(살전5:17)는 명령도 있지만 예수님과 같이, 다니엘과 같이, 사도들과같이 새벽이나 저녁이나 시간을 정하고 기도할때가 많이 있다. 기도할때 하나님의 역사가 있기때문이다. 믿음의 선배들은 기도를 통하여 많은 역사를 보고 증거를 보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도에 힘써야 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전교인이 "매일 30분씩 기도 하자"는 운동을 전개하여 기도운동을 통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교회가 성장되어지는 과정을 연구분석하기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

어떻게하면 교회를 성장시킬것인까? 하는것은 모든 목회자들의 질문이며 고민이기도 하다. 교회를 성장시키야 한다는 목회자들의 노력은 여러가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방법을 가지고 교회성장을 이룬 교회들은 많다.
예를 들면 제자훈련, 평신도 성경공부, 전도훈련, 팀목회사역등 그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있다. 그러나 그본질은 오직하나이다. 하나님의 방법은 하나님께서 주체가되시고 교회를 성장시켜야한다는 것이다. 교회성장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속에서 목회자와 교인들이 함께 힘써야 되는 부분이다.
목회자가 아무리 혼자서 노력하여도 교인들의 함께돕는 역사가 없으면 안되고 교회가 내부적으로 분쟁을 가지거나 불화를 가지고는 어떤 좋다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교회성장이나 지역사회의 변화를 기대할수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은 목회자와 교인들이 하나가되어서 기도에 힘쓰므로 교회성장을 이루게될것을 증명하여 보이고 그 과정을 분석하며 지역사회를 복음화시키므로 한국교회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다.

문제의 진술

지난 한세기동안 한국교회가 성장하였다는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 성장속에는 대교회중심, 도시교회중심, 물양주의적인 교회, 알맹이가 부족한 교회로서 대형화속에 진실된 성도의 모습이 빈약하고 소도시로 갈수록 농어촌교회로 갈수록 교회가 침체되고 교회운영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부작용도 나타난다.
목회가 교회성장이라는 양적인 면에 치우쳐 농어촌교회의 소홀히 여기는 현상이나타나서 농어촌 소규모의 교회는 신학생들의 목회연습 장소로 임시 거처가는 목회지가 되고 있는 것이다.
또 양적성장에 주력하면서 질적으로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교회를 위하여 복음을 위하여 희생하고져 하는 교인들이 줄어들고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을 통하여 비록 소규모의 교회이지만 하나님의 복음역사가 지역사회의 변화와 교회의 성장과 동시에 도시교회의 기초를 쌓는 농촌교회를 만들고져 노력 할 것이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

기도와 교회성장의 상관관계에 대한 문서는 이미 많이 출간되어 있으며 그내용이나 범위도 넓고 광활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다니엘과 같이 뜻을 정하여 장기간 매일 기도하는 것을 교회적으로 실천하는 교회가 그리많지 않다. 기도에 대하여 40일 새벽기도회, 철야기도회, 금요철야기도회 등은 많이 있으며 목회자의 기도생활은 더욱 다양한 종류로서 철야기도 산기도 40일 금식기도 등으로서 단기간의 기도와 목회자의 개인기도이지만 모든 성도와 함께 기도하며 장기간 계속적인 기도로서 교회의 성장 또한 장기적으로 계속되어야한다는 것이다. 그것을 교회성장과 상관관계를 논문으로 발표된것은 그리 많지않는 것이다.
본인은 여러가지면을 취급하지않고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매일 30분씩 기도하는 것을 새벽이나 저녁시간에 뜻을 정한 기도생활에 그 촛점을 두고 다루었다. 먼저 전교인들이 매일 30분 기도를 통하여 전교인들의 영적각성과 신앙의 성장을 추구하고져하며 전체교인의 30%의 성장과 교회가 있는 지역의 주민 70%이상의 복음화를 목적으로 하면서 지역의 복음을 비추는 등대의 사명과 교회가 지역사회에 사랑의 실천을 하면서 장기적으로 지역사회를 전체적으로 복음화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가설하에서 본 논문은 단기적으로는 6개월 장기적으로는 1년내지 2년간을 기도회를 통하여 신앙의 성장과 교회의 부흥과 지역사회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연구를 하고 그결과를 제시하기로 한다. 자료수집에 대하여 여러출판사에서 발간된 기도에 관한 도서와 교회성장에 관한문서와 여러논문들과 목회실천분야에서 서부교회의 백영희 목사의 기도운동에 대한 목회 설교록을 참조하였고 여러가지 자료들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로서 그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도를 통하여 교인들의 신앙향상과 교회성장과 지역사회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조사 하였다.
그리고 이 논문의 구성은 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문제의 진술 과 연구의 방법자료 범위등을 서론으로 기술하고 제2장에서 기도에 관련된 문헌을 성경과 문서또한 여러논문에서 참조하고 제3장에서 연구의 방법과 그 진행과정을 기술하였고 제4장에서 여러가지 가설들을 가지고 그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한국교회가 성장하여야 한다는 조건하에서 한국교회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농어촌 교회에도 관심을 가지고 기도하면서 모든 교회가 목회자와 교인들이 하나되어 기도에 힘써 주기를 바라며 도시교회들과 목회자들이 농촌선교에 더많은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리면서 한국교회가 많은 성장을 가져오기를 간절히 바라는것이다. 또한 북한선교에도 기도로서 한민족 복음화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제 2 장

관련 문헌 연구

제 1 절 기도의 개념

기도란 인간과 하나님과의 계약적 조건에서 믿음에 의하여 하나님의 현존에 자신을 나타내는 인간의 반응이며 교통이다. 인간은 믿음으로 기도하게 되고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경험하여 믿음이 성숙하여져서 계약의 관계를 더욱 더 견고히 하게 된다. 기도란 하나님과의 계약의 통로이며, 표시이며, 확증이다. 그리고 기도란 하나님께 대한 인간의 순종이며 하나님의 축복에 대한 간구인 것이다. 기도란 인간 영혼의 호흡이며 문제해결의 열쇠이다. 기도란 하나님의 능력을 우리 심령속에 끌어들이는 신령한 스위치와 같다.

구약성경의 고찰

우리는 구약성경에서 많은 사람들의 기도를 찾아보게 된다. 우선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소돔성 보존을 위한 기도(창 18:22-23)를 위시하여, 하갈의 기도(창 21:14-16), 이삭의 기도(창 25:19-26), 야곱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도(창 32:10-13), 라헬이 득남을 위한 기도(창 30:6, 22), 레아의 계속 출산을 위한 기도(창 30:17), 모세의 중보적 기도(출 32:11-14, 31-32), 그리고 사사시대에 와서 하나님의 임재를 확인하는 기드온의 기도(삿 6:36-40), 이스라엘의 승리를 위한 입다의 기도(삿 11:30-31), 마노아의 기도(삿 13:8), 삼손의 기도(삿 15:18, 16:28), 한나의 기도(삼상 1:10-11), 사무엘의 기도(삼상 7:3-6, 8:1-9, 12:19-23), 그리고 아합시대때의 엘리야의 기도(황상 18:36-37, 41-45, 19:1-4) 등을 엿볼 수가 있다.
"이 엘리야는 험악한 시대에 선지자로 부름 받아 놀라운 기도의 힘으로 바알의 종교를 타도하고 여호와 하나님의 종교를 재확립한 위대한 인물이다"(Kittel, Vol 2,p.796).
그 외에도 엘리사의 기도(왕하 2:9, 4:34, 6:17, 20), 히스기야왕의 기도(왕하 19:14-19, 20:1-6), 아사왕의 기도(대하 14:9-12), 여호사밧왕의 기도(대하 20:3-12), 다니엘의 기도(단 2:18, 6:1-10, 9:3-20) 등을 찾아 볼 수가 있다.

1) 용어(단어 연구)

① 팔랄( ) : 이 동사는 구약에서 84번 나타나는데 주로 힛파엘형으로 사용되고 그 뜻은 "중재하다" "끼어들다" "기도하다" "판단하다"로 나타난다. 그런데 성경에서 이 동사가 피엘형으로 쓰일 때는 주로 "판단하다"로 나타나며 힛파엘형으로 쓰일 때는 "기도하다"로 쓰인다.
이 동사의 어원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들이 있다. 그 첫째는 벨하우젠(Wellhausen)에 의한 것으로써 "자신을 자르다" "자신을 상처내다"는 뜻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는 율법에 금기 사항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써 예배시 황홀경 속에서 자신의 몸을 상처내는 고대 이방 풍속을 나타낸다(왕상 18:28, 호 7:14, 신 14:1). 둘째는 "심판을 통과하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고 셋째는 "엎드리다"의 의미에서, 넷째는 "평가하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 동사는 구약에서 기도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용어이다. 그리고 이 동사의 명사형은 (테필라)로서 구약에서 76번이나 나타나는데 시편에만 32번 나타난다. 그리고 특히 이 명사형은 유대인들에 의해 시편 전체의 제목으로 표현되어 왔다(R. Laird Harris 1980, 725).

② 카라( ) : 이 동사의 원뜻은 특정한 낱말이나 소식의 공표를 나타낸다. 그래서 특정한 이름을 부르거나 주어진 이름이 명명된 것의 원초적 특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그리고 이 동사는 한 대상을 어떤 특정한 일에로 부르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특히 이 동사는 하나님의 이름을 부를 때 많이 사용된다. 이때 이것은 기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그를 부르는 모든 사람에게 응답하신다(시 145:18)(R. Laird Harris 1980, 810).

③ 샤알( ) : 이 동사는 구약에서 176번 나오는데 항상 칼형으로 쓰인다. 또한 이 동사는 어떤 것을 어떤 사람에게 요구할 때 사용한다. 이 요구는 제한이 없다. 또한 이 동사는 일시적인 사용을 위해 호의를 구하거나 "찾는다" "바란다"와 같이 약한 의미의 요구를 뜻한다. 특별히 이 동사는 구약에서 무언가를 물어볼 때 사용된다. 또한 하나님에게 무엇을 요구할 때도 사용된다. 즉 이 동사는 하나님께 안내를 요구하거나 선지자를 통하여 하나님께 삶의 필요와 문제를 탄원할 때 사용된다(R. Laird Harris 1980, 891).

④ 할라( ) : 이 동사는 피엘 형태로 구약에 16번 나타난다. 그런데 이 동사는 얼굴이라는 명사와 함께 나타나서 "간청하다" "호의를 구하다"의 뜻을 가진다. 이 때 호의는 하나님에게서 찾아지는 것이다. 보통 이 동사는 자비나 위험에서 도움을 구하는 기도를 포함한다(R. Laird Harris 1980, 715).

⑤ 파가( ) : 이 동사는 구약에서 44번 등장하는데, 힢일형의 기본적 의미는 "중재하다" "놓다" "짐지우다"이고, 칼형의 뜻은 "만나다"이다. 그리고 다른 의미로는 "어떤 특정한 장소에 도달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R. Laird Harris 1980, 287).

⑥ 자악( ) : 이 동사의 기본 의미는 환난 때에 도움을 부르짖다와 같은 뜻이다. 이는 주로 칼형으로 쓰이며 닢알형과 힢일형으로 조금 나타나기도 한다. 곤경을 당해서 소리친다는 이 동사의 대상은 거의 하나님이다. 그러나 어떤 때는 놀람의 표현이기도 하다(삼상 4:13, 사 15:5, 욥 31:7-8, 렘 47:2). 그리고 닢알형은 사람을 모우는 뜻으로, 힢일형은 그 뜻이 다양하게 나타난다(R. Laird Harris 1980, 248).

⑦ 라난( ) : 이 동사는 히브리어에만 나타나는데 구약에는 50번 이상 나타난다. 이는 주로 이사야서나 시편에서 시어로 등장한다. 이 뜻은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이스라엘의 기쁨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이 단어는 항상 기쁨, 즐거움, 찬양 등의 단어와 함께 나타난다 그리고 때때로 "노래"와 함께 쓰이는데 이는 이스라엘의 축제 상황에서 보여지는 단어들이다(R. Laird Harris 1980, 851).

⑧ 쌰와( ) : 이 동사는 주로 피엘형으로 나타나고 매우 강한 의미의 탄원이다. 구약에는 22번 나타나는데 주로 시편(10번)과 욥기(8번)에 나타난다. 그리고 이 동사는 13번이 내가 부르짖다로 일인칭 단수로 표현되는데 이는 강력한 탄원이고 자서전적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이 애가나 감사의 찬양 속에서 나타난다. 그리고 도움을 부르짖는 대상은 하나님으로 나타난다(R. Laird Harris 1980, 911).

2) 구약에 나타난 기도
구약에서 나타나는 기도는 대상인 하나님과 기도자와의 인격적인 관계에 기한다. 이는 고대의 기도형태와 완전히 다르다. 고대의 원시적인 형태에서는 기도는 마술과 주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배자들은 그들의 마술적인 신성한 이름을 부름으로써 초월적인 힘의 도움을 구하거나 강요하여 그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런 흔적은 구약에서도 나타난다. 구약에서도 하나님의 이름을 불렀다는 것에 중요성을 두는 곳도 있다(창 4:26, 12:8, 13:4, 왕하 5:11). 그러나 이는 주술적인 것과 다르다. 구약에서도 기도는 마술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인격적인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를 말한다(Alan Richardson 1957,169). 인격적인 하나님의 현존에서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믿음으로 나타나는 전인격적인 인간의 반응이 구약에서 보여지는 기도이다. 그리고 이 인격적인 기도에서 구원을 얻었으며 또한 하나님의 구원의 행위에 감사하는 기도를 한 것이다.

① 이스라엘 초기 역사에서
이 시기에 있어서 기도의 근본은 하나님과의 만남에서 대화로 나타난다. 이 기도는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과 밀접히 연결된다. 하나님은 택하신 사람에게 나타난다. 그리고 하나님을 만난 사람은 하나님께 대화하는 형태로 반응한다. 이 대화의 형태는 제단을 쌓거나(창 12:7, 13:18), 복종하거나(창 12:1-4, 13:14-15), 신앙하거나(창 15:1-6), 질문하거나, 요청하므로(창 15:2,8, 18:23) 나타난다. 그리고 하나님은 이 기도를 통해서 구원의 일을 행하신다. 그러므로 족장들에게 있어서 기도는 주로 중보의 기도로 나타난다(IDB 1962, s.v."prayer"). 하나님은 계약의 관계에 있는 이 사람의 기도를 들어주신다. 그래서 이 계약 밖의 사람들은 기도를 부탁하기도 한다(창 20:7). 그리고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성에 대해 하나님을 설득하기도 하며(창 18:22-23) 야곱은 자신의 일에 하나님과 흥정하기도 한다(창 28:20-22). 이런 기도에 하나님은 또한 꿈이나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사람이 하나님 자신을 보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나 대화는 가능했다. 모세는 특별히 이스라엘 구원을 위해 하나님과 많은 대화를 나눈다. 그리고 특별히 이스라엘을 위해 많은 중보의 기도를 한다. 그리고 하나님은 개인적인 관계에서 나타나시고 응답하신다.

② 예언자에게서
이 시대에서 기도는 행위가 요구된다. 예언자들에게서 하나님은 우주적이고 공의의 하나님으로 정의된다. 의식적인 기도가 아니라 적극적인 반응의 기도가 요구된다. "돌아오라", "회개하라", "돌이키라"라는 말이 기도의 진정한 의미로 등장한다. 그리고 예언자들은 중보자였다. 그들은 하나님의 영에 사로잡힌 사람이었고 기도의 사람이었다. 그들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를, 또는 국가사이를 중재하며 하나의 통로로써 하나님의 뜻을 전하고, 또는 백성의 구원을 강구하거나 저주한다(Leon Dufour 1977, 445). 이런 중보의 기능으로 인해 아브라함이 예언자로 간주되기도 한다(창 20:7). 하나님의 현존 앞에서는 기도는 전인적인 것이어야 하며 하나님의 뜻을 따라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예언자들이 밝힌 기도였다.

③ 포로기와 그 이후
성전의 희생제사가 불가능해진 이 시대는 기도가 예배의 유일한 수단이 되었고, 나아가서 개인적인 차원으로 발전했다. 유대인들은 이방인에게서 기도의 사람으로 보였고(단 6장), 귀환했을 때는 이미 기도가 모든 종교의식에서 핵심이 되었다. 시편은 기도의 극치로써 공동예배와 또한 개인의 경건기도에 대해 잘 증거하고 있다. 포로에서 돌아온 후 회당이 발달되었다. 회당은 개인기도를 성숙시키는 중요한 역활을 했다. 율법의 가르침과 더불어 기도는 예배를 형성하며 희생제사를 대체했다. 기도는 사람의 매일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경건한 유대인은 하루에 세번 기도했다.(시 55:17). 그리고 가정에서 안식일 시작과 끝에 하는 기도와 식사 전후의 기도, 절기 만찬때 하는 기도, 특별한 일이나 경사에 앞서 행하는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일반적인 관습 등이 일상생활에 보편화 됐다. 예수 시대에, 사람들의 모든 삶은 기도의 분위기로 편만해 있었다(Richardson 1957, 170).

신약성경의 고찰
우리가 신약성경에서 기도의 근거를 찾아보면 제사장 사가랴의 기도(눅 1:5-13)를 위시하여, 마리아의 기도(눅 1:38, 46-55), 시므온과 안나의 기도(눅 2:25-38), 요한의 기도(눅 11:1),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눅 18:10-14), 예수님의 기도(마 6:9-13, 눅 6:12, 마 26:36-44)를 찾아 볼 수 있으며 또 사도바울의 목회기도들(롬 1:9, 엡 1:16, 3:15-19, 빌 1:4, 골 1:3, 9-12, 살전 1:2, 살후 1:11, 고전 1:4-8, 행 14:20-23, 20:17, 36)을 찾아보게 된다. 한마디로 표현해서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도들의 기도로 구성된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과 성도들의 기도, 이것들은 사도 베드로가(행 6:4) 주장한대로 목회자들의 전무(專務)해야 할 분야인 동시에 조금도 게을리 해서는 안될 거룩한 과업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지으신 모든 것은 사도 바울의 말대로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 지기 때문이다(딤전 4:4-5).

1) 단어연구
① 프로슈코마이( ) : 이 단어는 기도한다는 뜻으로써 가장 포괄적으로 쓰인다. 어떤 조건 없이, 일반적인 기도를 뜻할 때 이 단어를 쓰는데 (향하여)와 (하나님을 부르다)의 합성어이다. 이는 구약의 팔랄과 같은 뜻으로서 신약에는 이 동사형이 87번, 명사형인 (프로슈케)가 37번 나온다. 이는 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많이 나타나고 그 대상은 하나님이나 예수 그리스도인데 예수는 주님으로 불리워 진다. 이 기도는 주로 대화로 나타나며 주님의 말씀과 명령을 듣기 위해 침묵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리고 개인적이고도 친근하게 기도를 시작한다(Colin Brown 1977, 807).

② 데오마이( ) : 이 단어의 원 뜻은 "부족하다", "결핍되다" 이고 여기서부터 "간구하다", "요청하다"라는 기도의 의미가 생겨났다. 이 단어는 구약의 "하난"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데 어떤 특정한 대상이 없이도 관용적 문구로 일반적 의미에서 사용된다. 이 단어의 명사형인 (데에시스)도 간청, 간구의 뜻으로 쓰인다. 이 동사는 주로 누가복음, 사도행전에 나타난다. 그리고 중보의 뜻도 가지고 있으나 주로 일반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기도로 쓰인다(Colin Brown 1977, 860).

③ 아이테오( ) : 이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는 어떤 것을 원하거나 어떤 것을 자신의 몫으로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는 구약의 "샤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주로 복음서에서 개인적인 간구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런 간구는 하나님이 들으신다고 강조된다(Colin Brown 1977, 856).

④ 고뉘페테오( ) : 이 말은 "무릎을 꿇다"라는 뜻으로 동방으로 부터 유래된 풍습에서 나온 단어이다. 이는 주인 앞에서 종이 행하는 자세이고 신들 앞에서 간구하는 모습이다. 신학에서 이 단어는 하나님께 경배할 때 쓰며 만주의 주, 만왕의 왕으로 예수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롬 14:11, 빌 2:10). 또는 회개를 뜻하거나 기도의 자세를 뜻하기도 한다(눅 22:41, 행 7:60, 9:40). 그리고 강력한 간구를 뜻하기도 한다(마 17:14, 막 1:40)(Colin Brown 1977, 859).

⑤ 프로스퀴네오( ) : 이 말의 근본 뜻은 입맞춤이다. 그래서 접두어가 붙어서 무릎을 꿇고 경배한다는 뜻이 된다. 신약에는 59번 나오며 하나님이나 예수 그리스도에게 드려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복종의 표시로써 사용되기도 하고, 믿음의 표현이며 하나님과 관계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Colin Brown 1977, 876).

⑥ 엔팅카노( ) : 이 단어는 주로 바울에 의해 사용되는데 중보를 뜻한다.(롬 8:27,34, 히 7:25). 그리고 일반적인 뜻으로는 황제에게 바울이 호소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Colin Brown 1977, 882).

2) 신약에서 나타난 기도

① 예수에게서
복음서에서 나타난 기도에 대한 예수의 교훈은 하나님께서 믿음의 기도 가운데 표현된 요구에 대해, 특히 간구자가 우선적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구할때 응답하시리라는 것이다. 필요한 모든 것들은 주어질 것이다. 어린아이가 아버지께 요구하고 응답되는 것처럼 하나님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어린아이와 같이 구하는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다(IDB 1962, s.v. "prayer"). 그리고 누가복음에서 기도는 특히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의 기본 표현으로 나타나고, 예수는 그 기도의 표본으로 제시된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삶 전체가 기도임을 증거한다. 예수는 하나님과 늘 끊임없는 교제를 갖고 있으며 기도하기 위한 특별한 위치나 동작이 필요치 않음을 나타낸다. 기도는 요한복음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영적인 교제이다(Colin Brown 1977, 873).

② 사도 바울에게서
바울에게서 기도는 성령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롬 8:15,26, 갈 4:5). 기도는 성령의 내주이다. 이를 위해 특별한 작정이나 말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성령이 충만하고 성령에 의해 기도는 행하여진다는 것이 사도 바울이 보는 기도이다. 그리고 그의 기도는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친밀한 관계에서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해지며 대부분이 중보기도이다. 그리고 또한 사도 바울은 기도에서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는 삶을 의식한다. 바울에게 있어서 기도는 찬양, 간구, 감사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Colin Brown 1977, 873).

③ 초대 교회
사도행전은 성령과 기도라는 두 축으로 움직여 가고 있다. 기도할 때 성령은 나타나 역사하고 감사의 기도로 마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초대 교회의 삶은 기도의 삶임을 알 수가 있다. 기도를 통해서 성령의 역사를 보고 믿음을 얻게 된다. 기도를 통해서 교회는 안정되고 부흥된다.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이 기도에는 죄의 고백이 포함되며 믿음으로 해야 한다(약 5:13-16). 기도란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접근하는 것이다 (히 4:16, 7:25). 기도란 예수를 바로 보는 것이다(IDB 1962,s.v. "prayer").

④ 칼빈에게서
칼빈에게 있어서 기도란 믿음의 가장 중요한 실천이다(fidei praecipuum exercitium). 그에게 있어서 기도란 하나님과의 교제로 나타난다. 이 교제안에서 사람은 하나님이 이미 말씀에서 약속하신 모든 것들을 하나님께 구한다. 그리고 기도에 의해 매일 하나님의 은혜를 얻는다. 그리고 그 기도안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믿음은 온전해져 간다. 그래서 이 때의 기도는 주로 간구에 가깝다. 칼빈은 그의 기독교 강요 3권 20장에서 기도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Calvin Institutes. III 20). 칼빈은 1권과 2권에서 인간과 관계없이 이루어 놓은 하나님의 일을 다루고 3권에서 인간 안에서 행하시는 하나님의 일을 다룬다. 하나님이 우리와 관계없이 이루어 놓으신 구원이 우리 인간에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믿음이 필요하다. 그 믿음은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자비를 믿는 것이고 그 믿음을 통해서 인간은 구원을 얻는다. 그런데 이 믿음은 성령의 역사에 의해서 생겨나는데, 이 성령의 역사에 의해 믿음을 갖고 중생과 칭의와 성화의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와 연합되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혜택을 누리게 된다. 이 혜택은 기도를 통해서 매일 매일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다. 기도에 의해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전적으로 우리와 함께 계시는 분으로서 자신을 계시하시도록 기도하고 그래서 세상이 주지 못하는 평화를 맛보며 양심에 안식을 갖게 된다. 그의 섭리와 지탱하시는 힘과 자비로우심을 기원하고 맛보게 된다. 사람은 믿음을 갖고 있기에 기도할 수 있고 그 기도를 통해서 믿음은 성장한다. 칼빈에게 있어서 기도의 기초는 인간의 무력이다. 그리고 믿음은 사람에게 필요하고 부족한 것이 무엇이든지, 그것은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음을 가르쳐 준다. 그래서 하나님 안에 있는 것을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께 구해야 하는데 믿음이 이것을 하게 한다. 믿음이 복음에서 생겨난 것처럼 바로 그렇게 철저히 우리의 마음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에 훈련되어진다. 기도에 의해 하나님께 나아가고 또한 하나님의 은혜를 맛보고 참 마음으로 감사하게 된다. 그리고 구한 것을 얻을 때 하나님이 기도를 들으신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고 더욱 열심히 하나님의 나라를 명상하게 된다. 그리고 마음속에 하나님께 대한 견고한 믿음이 쌓이게 된다. 기도는 믿음의 중요한 훈련이고 믿음의 가장 중요한 실천인 것이다. 기도를 통해서 믿음은 견고해져 간다. 믿음이 기도하게 하고 기도를 통해서 믿음은 성숙한다(Arthur Weiser 1962, 5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