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인공생명체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과학] 인공생명체


"인공 생명체 탄생" 뜨거운 논란 속으로
美연구팀, 인공 유전자 주입해 만들어
"아인슈타인의 발견 같은 인류사의 대단한 성과"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바이오테러 부를 것"… 오바마, 포괄적 검토 지시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다윈, 아인슈타인의 발견처럼 인간의 존재에 대한 시각을 바꿀 만한 성과."(펜실베이니아대 생명윤리학과 아서 캐플랜 교수) "인공유전자 및 인공생명체를 강력히 통제하지 않으면 생태계가 교란돼 지구상에 생명체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옥스퍼드대 유하이로 실용윤리센터 줄리언 살버레스쿠 교수)

미국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만든 유전자를 주입한 첫 인공생명체를 탄생시켰다고 발표한 후 세계 주요언론의 톱뉴스를 장식하면서 과학·윤리·정치계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21일자에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가 관련 논문을 게재하자 미 연방의회 에너지상무위원회는 벤터(Venter) 소장 등 관련자들을 출석시켜 새 기술이 끼칠 영향을 조사하는 청문회를 27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연구 내용을 사전 보고받은 버락 오바마(Obama) 미 대통령도 백악관 생명윤리위원회에 인공유전자에 대한 포괄적 검토를 지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위원회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박테리아가 의학·환경·보안에 불러올 잠재적 혜택과 위험을 분석하고 정부가 취할 조치 및 윤리적 지침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인공생명체는 염소에 피부병을 일으키는 "마이코플래즈마 마이코이즈"라는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만들어 다른 박테리아에 주입해 탄생했다. 이 생명체는 인공 유전자의 명령을 받아 움직이며 "몸"을 내준 박테리아의 성질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앞으로 공해를 제거하거나 나쁜 콜레스테롤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같이 인간에게 유익한 생물을 대량 생산하고 생명의 비밀을 밝힐 초석(礎石)이 되리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이 새로운 생명체에 대한 규제나 지침이 현재 전혀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생명공학관련 비영리기구인 영국 진워치(Genewatch) 헬렌 월리스(Wallace) 박사는 BBC에 "공해를 퇴치하기 위한 인공 박테리아가 더 고약한 공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벤터 소장은 연구비에 눈이 멀어 연구의 위험성을 숨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Church) 교수는 사이언스의 경쟁지인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인공 박테리아가 불러올 바이오에러(bioerror·생명공학의 실책으로 인한 피해)와 바이오테러(bioterror)의 위협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대의 환경보호단체 "지구의 친구들(Friends of the Earth)"은 20일 성명을 통해 "정부는 인공생명체가 자연을 훼손하지 않도록, 관련 연구를 강력하게 통제할 수 있는 지침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성경적 논단>

인간게놈 프로젝트에 의한 유전자해독은 가히 "신의 장막"을 또 하나 걷고 창조의 비밀을 알아낸 것과 같다.

갈릴레오는 자유낙하법칙과 지동설을, 코페르니쿠스는 천문학과 수학의 발전을,

다윈은 진화론으로,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과 우주의 비밀을 발견했다.

그러나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이 모든 인간들을 멸망시키기에 충분한 발견이다.

이러한 지식은 군사적으로, 살상용으로, 인간통제용(베리칩666)으로 사용할것이며 이미 사용되고

있다. 같은 인간이지만 지금도 어느 연구실에서 가공할 만하며 위협적이며 무시무시한 무엇인가를 만들어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계시록에 나오는 이상한 생물들은 도저히 상상이 안가는 괴물이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사가 계속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출처] 인공 생명체 탄생의 시작|작성자 시커린
---------------------------------------------------------------------------------





인공 생명체 탄생 앞당기나 [중앙일보] 기사
나도 한마디 (1)

인공 유전자 이식한 박테리아 첫 번식 성공

인공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이식된 박테리아(위)와 그 유전자가 정상으로 작동해 수십 개로 번식한 박테리아의 전자현미경 사진. [사이언스 제공]


태어날 때 가지고 나온 유전자를 인공 유전자로 통째로 바꾼 박테리아가 번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한 기술개발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게 됐다.

인간 지놈 지도 완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미국 크레이그 벤터연구소 크레이그 벤터 박사팀은 ‘M. 마이코이즈(M. mycoides)’라는 박테리아의 유전자와 동일한 인공 유전자를 만든 뒤 ‘M. 카프리콜룸(M. capricolum)’이라는 박테리아에 이식해 정상적으로 생명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의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20일자에 발표됐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인공 유전자를 이식받은 카프리콜룸 박테리아들은 정상적으로 단백질을 생산하고 번식까지 했다. 인공 유전자를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은 얼마만큼 정확한 순서대로 DNA 조각(염기)들을 잘 꿰맞추느냐에 달려 있었다. 마이코이즈의 DNA 염기는 약 100만 쌍에 달한다. 유전자를 건축물로 비유하면 염기는 벽돌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먼저 마이코이즈의 DNA 조각들의 순서를 완벽하게 밝혀냈다. 그래야 제대로 복제할 수 있어서다. 유전자 합성에 사용할 DNA 조각들은 다른 회사에서 대량으로 구입했다. 이어 마이코이즈의 유전자와 동일하게 복제하기 위해 퍼즐처럼 DNA 조각들을 맞춰나가 완성했다. 한 부분에서 순서를 잘못 꿰맞추는 바람에 연구결과가 3개월이나 늦게 나왔다.

벤터 박사팀은 이 유전자를 마이코이즈의 사촌 격이며 살아 있는 카프리콜룸에 이식했다. 그 결과 카프리콜룸은 원래 가지고 있던 유전자가 인공 유전자로 대체됐지만 정상적으로 생명을 유지했다. 지금까지 미생물 공학자들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일부 조작해 새로운 단백질을 생산하거나, 각종 유용한 물질의 생산능력을 배가시킨 적은 많았다. 그러나 이처럼 유전자를 통째로 바꿔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