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 메시아인 신권론 1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리] 메시아인 신권론 1


*일반자료실의 내용은 본 홈페이지 입장과는 무관한 방문객의 글입니다. 내용이 많은 경우는 '견본'과 나머지는 '압축파일제공'으로 관리함을 양해바랍니다.
==========================================================================




메시아인 신권론
대개 모든 이름 은 그 안에 깊은 뜻 이 숨어 있습니다. 이것 은 하나님 에 대하여서 도 그
러한데 하나님 을 알수 없다 는 이야기 가 옳은지 ? 로마서 1장 에 하나님 을 알만한 것
즉, 종교성, 종교 의 씨(하나님 을 아는 지식)- 롬 1장 19절 , 행 17장 22절 바울이 아레오
바고 가운데 서서 말하되 아덴 사람 들 아 너희를 보니 범사 에 종교성(δεισιδαιμ
ονεστερουσ)이 많도다 한 사실을 보게된다. 사람 은 하나님을 더듬어 찾아 올라
가려 하지만 , 그러나 사람 이 가진 지식 은 범죄 전 과 범죄 후 의 지식 은 근본적 인 차
이를 지닌다. 즉 하나님 의 형상 으로 (영적 인격적 존재 로 종교성을 지닌 본능을 가졌으
나 범죄 후 참다운 거룩 , 의 가 질적 인 면에서 전적 부패하여 , 타락한 사람 이 보는 눈은
구리 거울을 통해서 보는 듯 하나님을 바로 알아서 죄인 임을 깨닿고 스스로 가 하나님 이
보여 주시는 대로 우리 도 알수 없다.( 고전 1장 21절, 시 14편 2, 3절, 롬 3장 11절 참조, 전
혀 가 아니라 바로 알수 없다는 것)
우리를 초월하신 하나님을 완전히 아는 것은 불가능 하며 안경 역할 의 특별 계시 가 필요
하다. 하나님 의 존재 문제는 부분적 으로 만 알수있을 뿐이다. 존재(being) 이란 말 로 표
현할 수 없는 근원적 인 것을 지칭하며, 실체(substaintive) 는 존재를 존재 하게끔 해주는
무엇을 가리키는데 하나님 의 본체 는 완전히 는 알수 없으니 그 의 신성 은 사람 의 이해
력을 훨씬 초월 하기에 이다.(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vol. 1.
chapter 5, v 1. ) 신지식 은 완전히 알수 없다.(욥 11장 7절, 사 40장 18절) 신지식 은 계시
범위 안에서 알수 있다.( 신 29장 29절 ) 신지식 은 부분적 이나마 참 지식 이기에 성경을
영구 불변한 진리 로 인정 한다.
성경 은 현상 역사 세계(Geschichte) 와 원 역사 세계(Urgeschichte) 로 구분 하지 않으
며 , 하나님 은 현상 세계 안에도 계시고, 초월 해서도 계신다. 하나님 은 ... 그가 자신을
계시하신 바 에 의하여 우리가 믿는 사실 그대로 이시다. ... 그는 무한 하시기 때문에 알 수
없는 하나님 이 되는 것이 아니다. 계시 안에 있는 지식 은 그 의 전지 때문에 지식 됨을
중단하지 않음은 마치 공간 이 무한 하기 때문에 공간 됨을 중단하지 않음 과 같다. (
Charles Hodge, Systematic Theology. Eerdmans, 1977. p 338 )
그러면 하나님 의 존재를 어찌 이해 할 수 있는가 ? 완전히 이해할 수 없으나 존재 가 가
지고 있는 특성들 은 알수 있다. 속성 이란 어떤 본체 가 본체 이게끔 나타내 보여주는 관
념 상 의 불가분 적인 자신을 다양하게 나타내시는 기초요, 근원이 되는 신적 성질 의 구분
된 특성을 의미 하며, 속성 과 본체 는 뗄 수 없는 관계 이나 주체 는 본체 요 여러 속성
은 본체에 속한다. 방법 에 있어서 연역적 속성 결정법 인 합리적 방법 과 귀납적 체험을
바탕한 경험적 방법 과 우월 에 의한 인과 의 방법 이 있겠으나, 성경적 방법 으로는 하나
님 스스로 지니신 무한, 단순, 영원 한 절대적 속성, 피조물 과 대비해서 전능, 자비, 공의
로움 의 상대적 속성, 의지 와 상관 없이 자존 , 단순, 무한 하신 자연적 속성, 의지 가 포
함되어 진실, 선, 공의, 긍휼 의 도덕적 속성, 편재 , 전능 의 긍정적 속성, 불변, 무한, 불
가견 의 부정적 속성 등 공유적 인 상대적 속성 과 비 공유적 속성 의 절대적 속성을 방편
으로 생각할수 있다.
실제론자( Realistics )들은 사람 이 무엇 인가를 생각 하는 것은 그 생각 의 주체가 있기
때문 이라한다. 아름다움 이나 사랑 등 .... 실제론( Realism )은 중세에 일어났던 사상으
로 안셈 도 온건한 실제론자 이며 하나님 에 있어서 하나님 안에도 여러 가지 속성 이 있을
것인데 그 각각 의 속성이 구체적 존재 로서 실재한다 생각하여 하나님 의 단일성을 파괴하
는 이론을 낳았다. 즉 속성 은 본체에 예속된다. 속성 은 본체를 설명, 나타내주는 역할 이
다 함이다. 이같이 단일신론(Monarchianism) 에 빠질 경향을 지닌 실체론 자 와 정 반대
입장 의 것 은 유명론( Nominalism ) 으로 주장하는 자 들 중 대표적 으로 둔스 스코투스,
옥캄 의 윌리함 으로 사물 이 가지고 있는 것은 이름 뿐이지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는 주
장을 하나님 께 적용해, 하나님 의 속성들 은 하나님 에 대한 사람 의 유한한 정신 에 불
완전한 기초 가 될 뿐인 관념을 위한 이름 뿐으로 여겨, 하나님 의 여러 속성을 인정함 은
하나님 의 단순성을 깨뜨릴 줄 알아 하나님 은 절대적 으로 단순 하시어서 그 안에 품질이
나 능력들 의 내면적 구별이 없다 는 주장을 하여 범신론 에 빠지는 오해를 낳았다. 이는
하나님 의 단순성 에 대한 오해 로 하나님 은 속성에서 하나 가 아니라 본체에서 하나 이시
다.

* 하나님 은 어떤 분 이신가 ?
하나님이 가질수 있으신 여러 속성을 예로 한 실제적 정의 와 하나님 이 지니신 이름, 뜻을
통한 명목적 정의가 있으나 둘 다 양극에 치우칠 소지 가 있다. 통상 정의(定義)는 류(類)
개념 에다 종차(種差) 개념을 더하면 정의할수 있다 는 공식이 있다. 이때 포섭하는 축을 류
개념, 포섭 당하는 축을 종 개념 으로 여긴다. 여기 서 최상 의 류 개념 과 최하 의 종 개념
사이 의 종차(種差)등으로 등위 개념을 구별 지을수 있다. 이같은 방식으로 정의하는 예로
사람 은 동물 인데 이성적 인 동물이다. 또 청년 이란 사람 은 사람 인데 나이 가 젊은 사
람이다. 이같이 정의는 취근 류 개념을 알아야 올바른 정의를 내릴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
은 류(類) 개념 이 있을수 없고, 종차(種差) 개념 이 있을수 없다. 그러므로 하나님 에 대한
올바른 정의 는 내릴수 없으니 , 그 이상 의 추구 는 주관 에 의한 판단 일 뿐이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 주후 1640년 경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100여명 이 넘
는 신학자 들 이 칼빈 의 개혁주의를 중심 사상으로 신학 노선 으로 하여 조직제 면은 스코
틀랜드 장로교를 따르고 , 실체 면에는 영국 청교도를 지향하여 인도 신조를 작성한 것을
수정하여 대한 예수교 장로회 12신조를 작성 하였는바,
1. 하나님 은 영 이시다. (요 4장24절)
하나님 은 자아 의지, 자아 결정 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할수 있는데, 영(Spirit) 은 눈에 안
보이는 파장( 에텔 )에 불과 하다는 것 은 잘못이요, 영지주의 나 신비주의 같이 영적 인 기
운으로 보는 것 도 문제 이다.
2. 하나님 은 인격적 이다.(요 14장9절)
하나님 이 만드신 영적 인 존재 는 선, 악 간의 천사 와 사람을 들수 있는데 다른 피조물
과 다른 것은 인격적, 종교적, 윤리적 존재라는 것이다. 하나님 은 이성(理性)을 지니셨다.
대다수 의 철학자 들 의 경우 편협적 인 신 개념을 주장한다. 변증법 적 사관 의 경우 정
과 반 이 합 인데 이를 계속적 으로 이루게 하는 이치 가 하나님 이라는 진실 일듯한 거짓
말을 헤겔은 주장했고, 많은 추종자 가 있다. 아리스토 텔레스 가 생각한 신(神) 개념 은 인
격적 이 아닌 제일 원리 로 보아 거짓말 이다.
3. 하나님 은 무한, 시간적 으로 영원, 변화 면에서 불변, 장소 면에서 편재 하시다.
4. 하나님 은 한분 이시다.
질(質)적 ,내재적 의미 에서(출 3장14절) 단순성(Simplicity)을 지니셨고 , 양(量)적, 외재적
의미에서(딤전 6장15절) 단수성(Singularity)을 지니셨다.
" 하나님 은 그의 존재, 지혜, 권능, 거룩, 의, 선, 진실에서 무한, 영원, 불변하신 유일한 영
이시다." (Westminster Catechism, ch. 2, v. 1 )
* 명목적 정의 에 의하면 이름 은 그 존재 와 성질을 나타내기에 하나님 자신 이 계시
하여 주신 이름 이라면 하나님을 잘 나타내 주시지 않으셨겠는가 ! 하는 정의 이다.
여기서 하나님 의 이름 이 지닌 특징 은 ,
1. 신적 기원을 가진다.
2. 인간(人間)적 용어 로 채택됨 이다.
3. 의인적(anthropo morphical) 표현 이기에 사람 식으로 표현될 수 밖에 없다.
4. 하나님 의 자비를 나타내고 있다.
전능하신 능력 과 함께, GOD 은 Good 즉, 좋다, 선하다 에서 왔다고 풀이되고 있다. 페르
시아 어 로서 는 소유자 라는 의미 의 Choda 요 이는 곧, 모든 만물을 주인 처럼 가진분 이
라는 뜻 의 의미 이다.
라틴어 의 Deus 와 헬라어 의 Θεοσ 는 div 즉 빛을 비추어 준다 는 어근에서 나왔다.
신(神), 상제(上帝) 는 최고 의 신을 나타내는 명사 요, 하나님 은 숫자 로는 하나, 양 으로
는 큰 것 이라는 의미 의 �님 과 하늘에 계신 분 이라는  님 의 합성적 개념을 띄었
다.
* 하나님 의 이름
< 구약 >
1. 하나님(Θεοσ) 이라는 일상 용어 로는 '엘'
그 어원 은 '울'(강한 힘)에서 나온 것 으로, 능력 있는 분, 주(best), 강력, 유력(Strong One)
등 위엄 과 권위를 드러냄 이다. 단어 어미 에 '엘' 이 붙은 것은 대개 하나님 의 뜻을 지니
고 있다.
2. 복수(pl) 의 뜻을 지닌 하나님 (창 1장 26절) 이라는 ' 엘로힘 '
어원 은 '알라흐'(경외)에서 나왔고, 경외 의 대상 이라는 뜻을 지니며, '임' 이란 복수 명사
어미 이다. 경외(敬畏) 곧, 공의 와 사랑 이 함께 내포된 단어 로 전능하신 분, 창조 하시는
주님(창 2장4절) 의 삼위 일체성을 암시하고 있다.
3.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창 14장22절) 이라는 ' 엘리욘 '
어원 은 ' 알라 '(올라가다) 요, 숭고, 존귀, 지극히 높으신 분 임을 지칭, 소유 하시는 주님
(창 14장 22절) 이방신 에게도(시 95편3절, 96편5절) 사람들 에게(창 33장10절, 출 7장1절)
관장 들에게( 사 5장8절, 출 26장6절, 22장 8-10절, 시 82편1절) 등 주로 시 형태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축복 하시는 하나님(시 17편 1절)
4. 우주 의 모든 권세를 소유하신 전능하신 하나님(창 17장1절) ' 엘 샤댜이 '
어원 은 ' 사다드 '( 권세있음) 그 의 백성에게 은혜와 축복 과 안위 의 근원 되신분, 자연
의 모든 세력을 굴복 시켜 은혜 의 사역에 이용케 하시는 자.
5. 주 ' 아도나이 '
어원 은 ' 둔 ' (재판하다. 통치하다) 부른 사람 입장에서 나는 당신에게 순종합니다. 굴복합
니다 의미를 함축. 사람을 종으로 가지시는 전능하신 통치자, 다스리는 분, 만물 의 소유자,
우리 의 주인되신 하나님(창 15장2절, 출 6장2절, 시 83편18절)
6. 여호와 하나님
어원 은 ' 하야 ' (존재하다) 하나님 께만 오로지 적용 시켰던 독특한 고유 명사
출 3장 14절에서 ' 스스로 있는자 '라고 하나님 이 밝히셨다. 불변성을 말 3장 6절, 레 24장
16절 등에서 알리는 바 이 명칭은 특별히 은혜 언약을 맺고 약속하신 바를 신실히 이루시는
하나님, 오직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이스라엘 백성이 가장 신성(神聖)시(視)하던 삼위일체
로 유일하신 자존 주 하나님을 계시한다.
7. 영광을 받으시는 하나님 " 여호와 체바오트 "
어원 은 ' 츠브 '(많은 무리) 여기서 만군이 의미함 은 천사로 봄이 바름. 즉, 늘 천사들
에 둘러쌓여 존귀 와 영광을 받으시는 분으로 그 의 백성을 위하여 천지를 통치 하시며 그
의 모든 피조물 에게서 영광을 받으시는 왕 , 그 의 전능 으로 언약을 이행 하시되 그 언약
에 따라 꺽을 자를 꺽으시고 도울자를 도우시는 여호와 의 엄위 하심을 표현하는 성호
* 엘 과 합성된 명칭
전능하신, 지극히 높으신, 창조 와 섭리 의, 영원 자존하신 하나님 의 뜻을 가짐
* 여호와 와 합성된 명칭
주, 하나님, 여호와, 영원 자존자, 불변자, 영원하신 하나님, 계약 이행에 신실하신 하나님 의
뜻을 가짐

< 신약 >
1. 하나님( 데오스)
어원 은 ' 디스 ' 빛 의 근원인 자. 구속(救贖) 진리가 명확해 짐으로 여호와 만을 지칭하
는 것으로 변화됨 신정국가 적 하나님 관념이 개인적 인 하나님 의 관념 으로 표현되는
양상이 나타남.
2. 주 ( 큐리오스 )
어원 은 큐로스( 권세, 힘 ) 하나님 의 백성 의 소유자, 통치자(계 1장8절, 요 20장28절)
도 (로고스) 의 권세 와 권위를 가지신 하나님
3. 아버지 ( 파텔 )
사람 의 창조주 로서, 특별히 삼위일체 제 일위 하나님 영적 양자된 하나님 아버지 의 자
식으로서 간구 때 하나님 에 대해서 (고전 8장 6절, 엡 3장 15절, 히 12장 9절, 약 1장 17,
18절, 시 100편 3절, 마 5장16절, 요 17장, 롬 8장15절, 갈 4장6절)

* 하나님 의 속성 *
속성 ( attribute , propertics, perfections, virtues ) 이란 어떤 본체가 본체 이게끔 나타내
보여주는 무엇으로 하나님 의 관념 상 불가분 적인 , 그리고 그의 피조물 들에게 자신을 다
양하게 나타내시는 기초요 근원이 되는 신적 성질의 구분된 특성으로, 본체 와 속성은 같은
것이 아닌데 , 본체 그 자체가 나타내어져 있는 것이 속성이다. 사람 은 가변 속성을 지니나
하나님 은 불변 속성을 지녔다. 하나님 자신 과 판이한 것 또는 본체 의 일부 조각들 이
아니라 오직 그의 존재 와 성질 의 결정으로 우주 와 사람을 향한 그의 관계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사람 의 관념으로 반드시 구분 되어야 하나 그 속성들 은 하나님 으로부터 나 그 상
호 간에 분리 될수 없는 것이다. ( James orr, sidelights on Christian Doctrine p24 )
예) 홍길동 (본체) 과 홍길동 이 지니고 있는 요소 (속성)
* 하나님 의 속성 결정 방법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 의 자기 계시를 연구하는 길이다. 우리는 마땅히 하나님 의 속성에
관하여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있는 성경을 살펴야 할 것이다. ( August H. Strong,
Systematic Theology, Judson 1976, p247 )
* 하나님 의 비 공유적 속성
1. 자존성 - 독립성 이라고 도 부른다.
스스로 계신다. 스스로 계시려면 다른 것에 의지함 없이 원인을 갖지 않으며, 다른 어떤 존
재로부터 나오지 않았다. 필연적 존재 다. 하나님 은 누구 에게서 의존되어 나온 존재가
아니기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출 3장14절, 요 5장26절) 사
상에서 (롬 11장 33-34절), 의지에서 (단 4장 35절, 롬 9장 18절, 엡 1장 5절), 능력에서 (시
115편3절), 계획에서(시 33편11절)
2. 불변성 - 하나님 은 그의 사상, 의지, 목적, 작정에서 와 같이 그의 존재, 본체에서 불변
하시다. 존재 와 속성 의 불변, 작정, 사상, 의지, 목적, 언약 의 불변. 활동이 없다 는
뜻이 아님. 후회 한탄 하신다 는 표현. 이것은 범죄한 사람 을 표시 하시는 하나님 의 아픔
을 사람적 말로 표현, 두 가지 입장에서 사용함( 삼상 15장11,35절, 창 6장6절, 사 53장 1절,
시 37편 24절 ) ㄱ. 사람이 가진 성격을 통해 사람 편이 보기에 ㄴ. 모든 과정이 하나님
의 계획 속에서 이루어짐 하나님 의 계획은 전체 구속사 속에서 이해 해야 한다. 여호와
는 변역하지 아니 하시니 (말 3장 6절, 약 1장17절, 시편 102편27절, 민 23장 19절, 히 1장
11, 12절 )
3. 무한성 - 한정이 없다. 한계가 없다 는 말은 본체를 놓고 사용하면 하나님 은 완전하신
분 이시라는 것. 본체적 , 물질적, 무한성 은 질적 으로 모든 제한 과 결함에서 자유하신
분을 의미함 이요, 시간 적 무한성 이란 질적 으로 모든 제한 과 결함에서 자유 하신 분임
을 의미함 이다. 영원 은 상대적 의미 의 영생(αθανασια) 과 절대적 의미 의 영생
(αιωναισ ζωη) 이 있는데, 상대적 인 경우 는 죽지 않고 계속 되어 가는 것으로 ,
넓은 의미에서 의 불사(不死, Immortality )를 지칭하며, 좁은 의미 의 영생 은 영원히 복된
상태 ( Eternal Life ) 요, 이는 하나님 께 적용되는 영원 이라는 절대적 의미를 지칭한다.
피조물 의 영생 은 끝은 없을지 몰라도 시작 이 있으니 엄밀한 의미 로 영생 이라 할수
없다. 그러므로 영생 은 하나님 외에 가진자 가 없다. 절대적 의미 의 영생은 첫째, 시간
의 지속성을 의미, 둘째 , 시간을 초월 한다는 의미 로서 하나님 께는 어제 나 오늘이나 내
일 이 있는 분 이 아닌 변함없는 분이다.
하나님 은 공간적 으로는 무한성, 무변성, 편재성을 가지 셨으니 능력 면에서 한이 없으시
고, 장소적 의미에서 양적 으로 끝이 없으시며 아니 계신 곳이 없이 어느 곳이든 내재 하시
나, 이 세상 에 조금 도 매임없이 초월 하신다. ( 열상 8장27절, 렘 23장 24절, 행 17장 27절,
시 139편 8절 )
4. 유일성
유일성 은 질적 인 표현으로 내적 스스로 의 유일 이니, 질적 인 요소 의 총합, 단순성을 가
리킨다. 또한 다른 사물 들 과 구분되는 양적 인 표현 으로서 의 외적 관계 에 연관된 유
일성 인 단수성을 가지시니 이는 온 천하를 보아서 한분 이신 분으로 하나님 은 분해되지
않으시니, 하나님 은 단순 하기에 단순성 과 단수성을 하나 로 지칭하여 유일성 이라 본다.
더불어 독특성을 지니시니, 하나님 은 어떤 것 과도 비교되지 않으시는데, 이는 다신론
과 (사 46장 5절, 사 40장 18절, 신 6장4절 )명확한 차이이며, 하나님 은 질적 으로 봐서 유
일 단순 하시기에 스스로 있을 수밖에 없으신 하나님 의 자주성 과 자존성 속성이 있음을
알게된다.

* 하나님 의 공유적 속성
Ⅰ. 불 가견성
ㄱ. 영성( SPIRITUALITY )
하나님을 영적 인 기운으로 풀이하는 영지주의, 범신론 의 잘못된 이해를 알리고자 하나님
의 영성을 밝힌다.
영 이란 말에 들어있는 함축 의미
- 불 가견 ( 안보인다) ( 딤전 6장 15,16절, 용일 4장 12절, 골 1장15절, 딤전 1장 17절, 히
11장 24, 27절, 출 24장 9, 10절, 신 4장 12, 15절, 창 18장, 창 32장24-30절 )
사람 으로 나타나신 예수님 이전 의 하나님 은 사람 의 형체를 취하여 유형적 으로 계시하
신 것 뿐이지, 그 본체를 나타내신 것은 아니라 보아야 한다. 예수님 만이 근본 하나님
의 본체 이시다.
- 무사 (안죽음 )( 고후 3장3절, 딤전 3장15절, 4장 10절, 히 3장12절, 12장 22절, 계 7장2절
, 요 5장 26절, ) 영 이란 죽는 법 이 없다. 그러기에 영적 인 존재 즉, 천사 , 사람 들도
영 자체는 소멸이 되지 않는다.
- 인격지님
지, 정, 의를 소유, 아는 능력을 가짐
Ⅱ. 지성적 속성
하나님 만이 의식(意識)적 이며 지적 인 존재 로서 모든 것을 참으로 아시는 분 이라는 것
을 의미한다.
1. 지식( Knowledge )
본능, 성질 과 같이 객관적 으로 있는 사물 들을 구체적 으로 아는 것. 그러나, 하나님 이
가지신 지식 은 피조물 이 가지고 있는 지식 과 는 엄격히 다르다. ( 왕상 8장 39절, 시 139
편 1-4절, 롬 11장 33절 )
하나님 의 지식 은 원초적( a Priori ) 인 것으로 시공 무제한 이며, 직관 지식 이고, 사람
들은 그 지식 이 후천적 ( a Posteriori ) 으로 배움 과 실험 과 체험 으로 알게되는 추론
지식 에 속한다. 하나님 은 무엇을 아시되 원형적, 직각적, 독립적, 동시적, 개별적, 불변
적 으로 명확하고 완전하게 아신다. 이같은 독립적 이고 절대적 인 하나님 의 지식 은 하
나 하나를 구체적 으로 아신다. 하지만 사람 의 지식 은 지극히 상대적 이며, 의존적 이기에
애매하기 그지없다. 하나님 의 지식 은 영원하며 시간을 초월하여 계시기에 항시 동시적
이나, 사람 의 지식은 점진적 성격이 있다.
하나님 의 지식 은 참뜻 곧, 진리를 가지고 계시기에 불변하며, 피조물 은 지극히 가변적이
니 , 지동설을 주장함 등 컴퓨터 다루기 의 이전 과 이후 의 지식 이 차이가 남과 같이 가
변적 이다. 이같은 가변성을 지니기에 공부 나 생활 이나 목회를 할 때 자신 이 아는 지식
이 절대적 인 양 나를 따라 오라 며 자기중심 으로 독단 아집을 부림 은 다시 생각 할 여지
가 있다. 이같은 지식은 반드시 무엇 이라는 대상 이 있는데, 하나님 의 경우 는 자기 자
신을 아시되 자신 의 의지 와는 관련이 없는 본래 의 필연성을 띠고 있다. 이것은 가지고
있는 지식 과는 다른 것이다. 이는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 있는 시간적 문제 뿐 아니라 과
거 , 현재, 미래 에 되어지는 크고 작은 역사적 인 것 도 아닌 ( 왕상 8장 39절, 시 139편
1-4절, 롬 11장 33절 ) 자유적 인 지식이기에 이다. 반면에 우리들 은 앙왕 앞일을 예견
해 볼수 는 있어도 필연적 은 아니다. 또 하나님 은 아시되 아시는 일을 기계적 으로 처리
하지 않고 인격 적으로 하신다.
2. 지혜 ( Wisdom )
지식 과 지혜 의 차이 는 지식 은 본질에 관한 반면, 지혜 는 적용 에 관계하는 것이니, 예
로서, 목수 가 작품을 만들 때 짜르고 못을 박으면 작품 이 될 것을 아는 것은 지식 이요,
실지 로 만들어 실천, 실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은 지혜 이다.
" 하나님 이 자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자기 지식을 응용 하시되 자기를 가장 영화롭게
하는 방식으로 하시는 속성 이다. " (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Eerdmans,
1974, p. 69 )
3. 진실 ( Truth )
신실하다. 진정하다.
만물 의 속성 의 진실한 지식을 알고 계시니 곧, 진정 하시다. 더불어 하나님 은 약속을 잘
지키시는 분 이시니 신실하시다. 이처럼 하나님 은 존재 자체 가 진정하며, 모든 사물을 혼
란 없이 잘 알고 계시는 의미 에 있어서 분별 과 계시에 진실하시다.
Ⅲ. 도덕적 속성
1. 하나님 의 거룩
거룩( 콰다쉬 ) - 자르다, 분리하다
본래 하나님 의 거룩은 피조물 과 초월되신 분 ( 출 15장 11절, 삼상 2장2절, 시 22편 3절,
사 57장 15절 )을 의미한다. 또 하나님 의 거룩 은 죄 와 분리된 윤리적 인 거룩 이시다. (
암 2장 7절, 사 5장 16절, 혹 죄 사함 받은 어떤 사람 에게 거룩 , 성자( Saint )라고 말 할
수 있다 면 이는 지극히 윤리적 인 면에서 말하는 것일 뿐으로, 성자 칭송을 받은 자를 존
경함 은 마땅하나 그 들에게 기도하고 숭배하고 맹세 하면 이는 잘못이다. 사람 들 은 아무
리 성자 칭호를 받을 만 해도 이는 사람 으로서 의 상대적 윤리적 인 거룩에 불과하지 , 절
대적 인 윤리에서 는 역시 더럽고 깨끝함 이 없으니 , 하여 예수님 께서 동정녀 마리아 에
게서 강탄 하심 이 근본적 태생학 적 차이를 지녀야 했음을 알수 있다.
통상 사람 이 하나님 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 고 할 때 이는 사람 이 도덕적 속성으로 지
음 받았음을 말함이다. 그러나 이같은 좁은 의미 의 속성은 원 범죄 후 파괴되어 지성 감상
의지 라는 바탕은 남아 있을 찌라도 진지(眞知), 의(義), 성(聖) 이 없어졌다가 예수님 의 대
속 의 공로 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 되었다.
하나님 의 본래적 , 윤리적 이심을 알리심 은 하나님 의 거룩 의 현현(顯現) 방법 이기
도 한데, 이는 도덕율 이라는 양심을 통해서, 특별 계시 인 율법을 통해서 와, 그리스도 우
리 예수님 곧, 메시아 안에서 알리셨다.
2. 하나님 의 옳음 (義)
옳음 (챠디크, δικαιοσ) 옳음 이란 기준 에 잘 부합한다 는 것이다. 그 기준은 특별
계시 인 율법 이다. 옳음 은 피조물 과 관계하여 나타낸 속성으로, 하나님을 으로우심 이
라함 은 하나님 은 스스로 척도 곧 법 이기에 의 가 없을수 없는 의(義) 자체 요, 하나님 중
심 의 연속 은 계선(繼善) 즉, 옳음 이다. " 하나님 의 의(義), 이는 상대적 또는 타동적
속성 이니 왜냐하면 이 의는 하나님 의 성(聖) 이라는 내재적 속성를 나타내어 표현하는 성
질 의 것 이기 때문이다. "( A.H. Strong, Systematic Theology, Judson, 1976. p. 269 )
하나님 의 옳음 에 대해서 또 하나 로 정치적 의(義)를 들수 있는데, 이는 피조물을 다스
리는 하나님 의 통치 이치 로서 공평히 다스림을 말한다. ( 시 99편4절, 사 32장1절 )
하나님 의 옳음 에 대한 또 다른 하나 로 분배적 의(義)를 들수 있는데, 이는 상 받을자
에게 상선(償善)을, 벌 받을자 에게 형벌(刑罰)을 주는 공의를 의미( 신 7장9절, 시 58편 11
절, 롬 1장 32절, 2장 6-7절, 12장 19절, 살후 1장8절 )한다.
3. 하나님 의 착함 (善)
착함( 토브, αγαθοσ) , 이는 악 과 관련 시켜서 하는 말 로서 하나님 중심 이 곧 착함
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 자신 이 절대적 의미에서 선(善) 이시기에 이다.( 막 10장
18절) 곧, 하나님 중심 자체 는 최고 선 ( Sunmum bonum )이다.
하나님 의 착함 은 피조물 과 관련시켜서 자선, 사랑, 은혜, 긍휼, 오래 참으심 으로 표현
되었다.
자선 ( Benevolence ) 이는 모든 피조물 과 관련 시켜서( 시 145편 9, 15, 16절 ) 모든 피조
물 의 살길을 주시고 의식주를 해결해 주심을 일 는다.
사랑 ( Love , Charity ) 이는 인격적 대상을 가리켜 하나님 의 착함 이 나타날 때 보이는
것이요, 이성 적 피조물을 향하신 하나님 의 선 이시다.( 마 10장 31절, 12장12절, 요 3장 16
절, 14장 23절, 롬 5장 8절 )
은혜 ( Grace ) 이는 구원 과 관련 시켜서 말할수 있는 것으로, 특히 어거스틴 이후 크게
강조 되었으니, 영원히 죽을 수밖에 없는 죄인 에게 구원 의 길을 열어 주신 것을 지칭한다.
( 요 1장 16절, 롬 3장 24절, 4장 16절, 고후 8장9절, 살후 2장 16절, 엡 2장 8절, 딛 2장11절,
3장 7절 ) " 하나님 의 은혜는 죄책(罪責)있는 죄인들을 향한 그의 자원적 이고도 조건 없
는 총애(寵愛) 이다. "( Herman Bavinck, The Doctrine of God , trans. by Hendriksen.
Baker 1977. p. 208 )
긍휼 ( Mercy ) 이는 죄책 과 관련 시켜서 일컬어 지는 것으로 , 죄 로 말미암아 얻어진
결과 들에서 모면할 길을 열어주심 ( 삼하 24장 14절, 시 79편 8절, 시 119편 77절, 애 3장
22절 )을 의미한다.
오래 참으심 ( Long suffering )이는 회개 와 관련 시켜서 일컬어 진다. (렘 15장 15절, 롬
9장 22절, 벧전 3장 20절, 출 34장 6절 ) " 죄인 들 이 회개하고 돌아올 기회를 주고 오래
도록 심판을 행하지 아니 하신다. 이것 이 오래 참으심 이다. " ( 기초 교의학 하문호 저, 한
국 로고스 연구원 1989 , 87쪽 )
Ⅳ. 주권적 속성 ( Sovereignity )
주권 이란 ' 가장 높고 중요한 권리 ' 라고 풀이 되었다.
모든 만물 보다 높이 계시면서 자신 의 뜻대로 이루어 가시는 권리 면에서 ....
그 예로서 사람 도 공유적 속성 으로서 의 주권을 가지고 있기에 자신 의 뜻대로 일을 행하
고 적절한 책임을 진다. 물론 이것 은 하나님 께서 하나님 의 모양 과 형상 인 사람 에게
위임해 주신 한도 내에서 의 주권이다.
그러면 하나님 은 어떻게 다스리시는가 하면, 만물 가운데 , 그러면서 도 초월하여 계시
기에 , 또한 만드신 분 이시기에 주권을 지니심 이다. ( 창14장 19절, 출 18장 11절, 대상 29
장 11절, 딤전 6장 15절, 신 10장 14절, 대하 20장 6절, 시 22편 28절, 47장 2, 3, 7, 8절, 50
편 10, 11절, 95편 3-5절, 115편 7절, 135편 5, 6절 ) 하나님 의 주권은 그 자체 가 속성
이라기 보다 다른 모든 속성들을 기초 로 하여 발생되는 특권 이랄 것이다.
하나님 의 주권적 의지 성격 이란 하나님 께서 모든 일을 처리하여 가심 에 있어서 자신 의
행동 방향을 결정 하거나 계획을 세우시는 능력 인 자아 결정을 스스로 하시는 의미를 말한
다. " 성경 에 의하면 하나님 의 의지 는 모든 존재 와 발생 되는 모든 일들 의 궁극
근거 이다. ... 하나님 의 의지는 차의(次意)적 인 것이 아니고 그의 거룩 과 옳음 , 착함 등
다른 속성들 과 완전한 조화를 이룬다. " ( Herman barvinck, The Doctrine of God , trans.
by W. Hendrikson , Baker 1977. p.223 )
하나님 의 주권 적 능력을 전능 이라 일 는데 이는 주권적 의지 에 따라 모든 일을 해 가
실 때 아무 의 도움 도 받지않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하실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 시 115편
3절, 롬 9장 18절, 11장 33절, 엡 1장 5절, 11절, 마 7장21절, 마 12장 50절, 요 4장 34절, 롬
12장 2절,. 딤후 2장 13절, 히 6장 18절, 벧전 2장 22절,. 롬 1장 20절, 마 19장 26절, 렘
32장 17절 )
하나님 의 주권 적 의지 는 필연적 의지 이시니, 하나님 자신 이 하나님 자신 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자기 자신을 향한 본질 로서 의 의지요, 하나님 은 필연적 의지 의 대상 으로
서 하나님 의 거룩한 성질, 신격 안에 삼위 의 구별 등을 의지 하신다.
이같은 필연적 의지는 하나님을 본질상 하나님 되게 한 의지 라 할수 있다. 예로서 는 성령
의 성부 와 성자 에게서 나오심등을 들 수 있다.
하나님 의 주권적 의지 는 자유적 의지 로서 이는 피조물을 향하신 의지 로 창조(創造), 구
속(救贖), 보존(保存), 섭리(攝理) 등을 하나님 의 자유롭고 기쁘신 뜻을 따라 결정하여 하시
기에 이다.( 욥 33장 13절, 욥 10장 9절, 사 30장14절, 롬 9장 21절 )
Ⅴ. 유복(有福, Blessedness )적 속성
이느 하나님 의 복(福) 있으심 , 복 있으신 분 이라는 것으로 대내적 으로는 유복성, 대외적
으로 는 영광 으로 구분된다.
유복( blessedness )성 ( 시 32편 1절, 롬 4장 8절, 딤전 1장 11절, 딤전 6장 15절 ) 은 여러
모습으로 보이는데, 즉, 절대적 완전 으로도..., 신적 자각 과 사랑 의 대상 으로도..., 전적 자
충족 의 안식 과 평화 의 영원성을 가지심 으로..., 이다.
또한 하나님 의 영광 ( Glory , 시 96편 6절, 104편 1절, 113편 4절, 사 6장 3절, 신 5장 24
절) 으로 하나님 의 유복성을 보이시는데 이때 그 영광은 피조물 의 숭앙(崇仰) 의 대상 으
로서 위대하심에 영광 돌리며, 피조물 의 감사 와 찬송 의 대상 으로서 영광 돌리며 , 피조
물 의 경외(敬畏) 의 대상 으로서 장엄 하심 에 영광 돌린다. 이는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이는 온 우주 와 은혜 의 영역 에 광채 와 찬란함 으로 계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