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 (사설) 시련 대에 선 고신 [고신]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단] (사설) 시련 대에 선 고신 [고신]


분류: 교단- 고신

===============================================


후일 고신 역사를 쓰는 사람은 2003년 4월 1일을 고신 교단의 수치의 날로 기록할 것이다.
무려 20년 이상 갈등과 말썽으로 진행되던 병원 문제가 결국 관선이사 파송으로 귀결되고
말았다. 이제 누구를 원망하고 책임을 추궁한 들 무슨 소용이 있나. 그러나 이 판에도 자신
은 잘했는데 상대가 협조하지 않아 이렇게 되었다는 강변과 비난하는 이가 있다고 한다. 그
러나 지금 우리는 누구를 탓하거나 원망할 상황이 아니다. 전쟁에서도 적 앞에서는 서로가
힘을 합치는 법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감사를 제외한 우리 이사 전원을 승인 취소한 것은 한마디로 과도한 부채
를 정리하지 못했다는 것이며 이사들이 서로 분쟁했다는 이유에서이다. 이제 우리는 부실
경영이나 이사들의 분규를 직접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고신 신앙이념
의 부재로 인한 것임을 직시하고 신앙공동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 신앙 공동체의 신앙과 경건은 사랑과 일체감으로 증명되어야 함에도 우리는 개인적으로
는 거룩하다고 자부하였으나 집단적으로는 정의와 화합과 사랑을 보여주지 못했다. 병원은
결과적으로 교단 분열의 요인이 되고 말았다. 복음 없는 복음병원의 결과에 대하여 교단 사
람들은 항상 우려해 왔다. 그것은 은급제 돈이 병원에 들어갈 때부터 나타났다. 미안한 말
이지만 병원이 잘 된다고 지지하는 사람들도 은급제 돈에 대하여는 이구동성으로 우려를 표
시하여 왔다. 병원의 불안요인은 이미 예고된 것이었다.

관선 ‘노래’는 작년 여름부터 불러왔기에 동네 늑대 나타났다는 소문으로 무시하였는데
급기야 현실이 되고 말았다. 더 한심한 것은 관선 이사 파송에 대하여도 교단 일각에서는
의혹의 눈을 가지는 것도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분열의 요인이다.
하지만 지난 4일 열린 비상총회운영위원회는 원칙적으로 관선 파송을 거부하기로 하고, 교
단이 힘을 결집하기로 결정했다. 책임은 우리에게 있지만 교육부의 관선 이사 파견 과정에
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관선 파송의 요인은 오래 전부터 잠재해 있었다. 정부는 의학부 학생들과 교수들의 관선 파
송요청을 호기로 잡은 것 같은 인상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고신대학 전체가 관선을 요구
하지 않았음을 직시해야 한다. 관선을 요구한 주체들도 복음정신에 입각하여 병원이나 의학
부를 운영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교단은 일단 부도를 막
는데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자생적으로 부채청산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관선거부 서명에
도 동참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