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 이스라엘의 왕정제도를 하나님이 허락하신 이유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리] 이스라엘의 왕정제도를 하나님이 허락하신 이유


No, 63 이름:궁금이 2003/5/20(화) 조회:13
-----------------------------------------------------------



(질문)

사무엘상 8장에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기들을 위하여 왕을 요구했을 때, 하나님은 그것이 하나님을
버리는 것이라고 하면서 기뻐하지 않았지만 그들의 원하는대로 왕정제도를 허락하셨습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지 않으시면 허락하지 않으면 될 터인데 왜 허락하셨을 까요? 이것을 볼 때 우리도 자기 밑에 사람이 만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않는 일을 할려고 할 때 허락해야 되는 경우도 있는지요?

좋은 답변을 부탁합니다.
======================================================================================
No, 62 이름:운영자 2003/6/7(토) 조회:12
----------------------------------------------------------



Re..이스라엘의 왕정제도에 허락에 관하여

이스라엘의 왕정 허락에 관하여

사무엘상8장 전장을 읽어 보면, 사무엘에게 이스라엘 백성들이 왕정을 요청했을 때, 사무엘은 그것을 기뻐하지 아니하여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왕정제도의 어떠함을 백성에게 가르치고 그 제도를 취하지 말 것을 종용하도록 하셨다.
그러나 백성들이 사무엘의 엄격한 왕정제도에 대한 설명과 왕정을 취하지 말라는 사무엘의 종용을 듣고도 거절하고 여전히 왕정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강제할 수 없는 하나님의 계약상, 그들에게 왕정을 허락한 것이다. 부득이 허락한 것이다.

신앙은 강제할 수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에도 우리가 옳다고 믿는 바를 주장하고, 설득하고, 권면하고, 강권까지 할 수 있으나 강제할 수는 없다. 모든 시시비비를 알려주고, 옳은 것을 권면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유성으로 옳지 않은 길을 가고자 할 때에는, 우리는 부득이 허락하지 아니할 수 없다. 그것이 옳아서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자유의 계약상 다른 길이 없으니까.
단, 그 경우 후일의 돌이킴을 위하여 그 결과를 예측하여 줄 수 있다.

(예)발락에게 가고자 하는 발람의 걸음을 용납하신 하나님에게서도 이러한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