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한글성경 번역 출간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계] 한글성경 번역 출간사


구약젼셔 1911년
성서번역자회 옮김. 대영성서공회 출판

1910년 구약성경의 번역이 완성되고 1911년 구약젼서가 간행됨으로써 한글로 완역된 최초의 성경젼서가 한국인의 손에 들어오게 되었다.




셩경젼셔 1911년
성서번역자회 옮김. 대영성서공회.

1906년에 발행된 신약과 1910년에 번역완료된 구약을 합쳐서, 우리나라 최초의 성경전서가 1911년에 발행되었다.
----------------------------------------------------------------



구역
셩경젼셔

185 x 130 mm.

1910년 구약성경의 번역이 완성되고 1911년 구약젼서가 간행됨으로써 한글로 완역된 최초의 성경젼서가 한국인의 손에 들어오게 되었다. 1911년 발행된 구약젼셔는 일본 요꼬하마의 ‘福音印刷合資會社’에서 인쇄되고 ‘조션 경셩 대영셩서공회’와 ‘죠션 미국셩셔공회’의 영국인 민휴(Miller)와 미국인 방거(Bunker)를 발행자로 하여 각각 10,000부씩 모두 20,000부가 발행되었다. 구약젼셔의 번역은 주로 레널즈와 김정삼, 이승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인쇄는 4호 인쇄활자를 사용하였고 전체 2650면의 방대한 분량이 되었다. 따라서 구약젼셔는 2권으로 나뉘어 발행되었는데 뎨일권(제1권)은 창셰귀에서 력대하까지(1350면), 뎨이권(제2권)은 에스라에서 말라기까지(1300면)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창셰귀에만 ‘모세의 천재경’이라는 부제목을 붙여 놓고 있으며 시편119편에는 히브리어 자음 22자의 음역이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 이 구약젼셔와 1906년에 공인된 신약젼셔를 합쳐 1911년 셩경젼셔가 3권으로 최초로 발행되었고 이것을 일반적으로 舊譯으로 불러 개역성경과 구분하고 있다.





구역
구약젼셔 1911년
성서번역자회 옮김. 대영성서공회 출판

185 x 130 mm.

1910년 구약성경의 번역이 완성되고 1911년 구약젼서가 간행됨으로써 한글로 완역된 최초의 성경젼서가 한국인의 손에 들어오게 되었다. 1911년 발행된 구약젼셔는 일본 요꼬하마의 ‘福音印刷合資會社’에서 인쇄되고 ‘조션 경셩 대영셩서공회’와 ‘죠션 미국셩셔공회’의 영국인 민휴(Miller)와 미국인 방거(Bunker)를 발행자로 하여 각각 10,000부씩 모두 20,000부가 발행되었다. 구약젼셔의 번역은 주로 레널즈와 김정삼, 이승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인쇄는 4호 인쇄활자를 사용하였고 전체 2650면의 방대한 분량이 되었다. 따라서 구약젼셔는 2권으로 나뉘어 발행되었는데 뎨일권(제1권)은 창셰귀에서 력대하까지(1350면), 뎨이권(제2권)은 에스라에서 말라기까지(1300면)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창셰귀에만 ‘모세의 천재경’이라는 부제목을 붙여 놓고 있으며 시편119편에는 히브리어 자음 22자의 음역이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 이 구약젼셔와 1906년에 공인된 신약젼셔를 합쳐 1911년 셩경젼셔가 3권으로 최초로 발행되었고 이것을 일반적으로 舊譯으로 불러 개역성경과 구분하고 있다.




대한성서공회 100년사

1872-1887
로스의 도착에서부터 이응찬, 이수정, 백홍준, 서상륜, 이익채 등이 성경을 번역하기 시작한 시기로 우리말 성경번역의 초창기라고 할수 있다. 로스의 <예수셩교젼셔>가 1887년 2월 출간된다.

1872.8.23.
로스,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중국 선교사로 상해에 도착함.

1874.10.
로스, 첫번째 고려문 여행에서 상인인 백홍준의 부친을 만나 한문 신약전서와 "正道戒命"을 전함.

1875
로스, 매킨타이어와 만나 동역자로 일하게 됨.

1876.4.
로스, 두 번째 고려문 여행에서 이응찬을 만나 한글을 배우기 시작함.

1877.
로스와 이응찬, 한글 성경 번역을 시작함.

1878.
로스, 이응찬과 요한복음과 마가복음을 번역하고, 다시 서상륜을 만나 누가복음을 번역함.

1879.1.3.
매킨타이어, 백홍준 등과 마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일부)를 번역함.

1879.4.
매킨타이어, 이응찬 등과 로마서에서 신약성경 끝까지 번역함. 백홍준, 이응찬 등 4명이 매킨타이어로부터 세례를 받고 한국인으로는 첫 세례교인이 됨.

1880.
백홍준, 기독교 서적 휴대로 투옥되었다가 석방됨.

1880.10.
로스, 스코틀랜드성서공회의 한글성경위원회에 참석하여 누가복음, 요한복음 출간비용 지원을 허락 받음.

1881.10.
로스, "심양 문광셔원"을 창설하고 최초의 한글 기독교문서인 "예수셩교문답"과 "예수셩교요령"을 출간함.

1882.
로스와 한국인 번역자들, 심양 문광서원에서 최초의 한글 성경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를 3월에 "예수셩교요안복음젼서"를 5월에 출간함.

1882.10.6.
서상륜, 영국성서공회의 한국 최초의 권서로 한국으로 파송 받음.

1882.3.
김청송, 만주 서간도의 한인촌에 복음 전파함.

1882.4.
서상륜, 로스로부터 세례를 받음.

1882.9.
영국성서공회, 만주에서 로스와 이응찬 등에 의해 번역된 복음서 인쇄비용을 조달해 줌으로써 한국에 대한 성서사업을 시작함.

1883.4.
이수정, 일본에서 미국 선교사 녹스로부터 세례를 받고 한국에 선교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구함.

1884.6.
나가사카, 스코틀랜드성서공회 일본지부의 촉탁으로 부산에서 한글 성경과 일본어 성경 등을 반포함. 이수정, 현토한한신약성경 번역함

1883.10.
로스, "예수셩교셩셔요안복음", "예수셩교누가복음뎨쟈" 출간함.

1884.3.
로스, "예수셩교셩셔맛ㄷ.ㅣ복음 과"예수셩교셩셔말코복음" 출간함.

1884.4.
이수정, "新約聖書馬太傳", "新約聖書馬可傳", "新約聖書路可傳", "新約聖書約翰傳", "新約聖書使徒行傳" 등 5권의 漢韓聖經을 일본에서 출간함.

1884.11.
로스, 웹스터와 서간도 한인촌을 방문하여 12월 한국인 75명에게 세례를 베풂.

1885.2.
이수정, 일본에서 "신약마가젼복음셔언" 를 출간한 후 성경 번역사업을 중지하고 5월 귀국함

1885.4.5.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한국에 입국함

1885.10.11.
한국 최초의 성찬식이 거행됨

1887.2.
로스와 한국인 번역자들, 최초의 한글 신약전서인 "예수셩교젼셔"를 심양에서 출간함



1887-1900

1887년 외국의 성서공회의 한국지부가 속속 발족하면서 상임성서위원회가 조직되고 이 조직에 소속된 상임성서위원들이 번역성경이 출간되는 시기이다. 공인번역의 낱권시대로 볼수 있다.


1887.1.
서경조,최명오,정공빈, 언더우드로부터 세례를 받음.

1887.2.
상임성서위원회가 조직됨.

1877
상임성서위원회(언더우드, 아펜젤러)의 번역으로 일본 요코하마에서 "마가의 젼ㅎ.ㄴ복음셔연ㅎ.ㅣ"를 출간함.

1887.9.27.
새문안교회, 로스와 한국인 신자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언더우드에 의해 설립됨.

1890.
올린저, 제물포에 성경보급소를 개설하고 성경판매를 시작함. 아펜젤러, 로스역의 개정인 "누가복음젼"을 삼문출판소(후에 미이미교회인쇄소)에서 출간함. 아펜젤러,스크랜튼, 로스역의 개정인 "보라달로마인셔"를 출간함.

1891.2.
펜윅과 서경조, 로스역의 개정이며 국한문 병용성경인 "요한복음젼(約翰福音傳)"을 삼문출판소에서 인쇄,출간함.

1891.6.
로스역의 개정작업이 포기되고, 주한 선교사들에 의한 새 번역이 추진됨.

1892.1.
아펜젤러, 순수 국내역본으로 "마태복음젼"을 출간함. 게일, 순수 국내역본으로 "ㅅ.도ㅎ.ㅣㅇ젼"을 출간함.

1892.9.
로스, 심양에서 "예수셩교셩셔맛복음", "예수셩교셩셔요안복음이비쇼셔신" 출간하고, "예수셩교셩셔맛ㄷ.ㅣ복음" 개정본 발행함. 서상륜, 로스를 방문하여 한국에 70명 이상의 세례 청원자가 있고 서울 서쪽에 설교당이 개설되었음을 보고함.

1893.5.
상임성서위원회가 상임성서실행위원회로 개편 조직됨(1903년까지 존속함). 언더우드, 게일, 스크랜튼, 아펜젤러, 트롤로프 등 5명을 번역자로 하여 일반개정위원회를 조직함. 털리, 영국성서공회 한국지역 부총무의 자격으로 켄뮤어와 함께 한국을 방문함. 펜윅, "요한복음젼"을 번역 수정하여 순한글로 된 "약한의긔록로복음"
을 출간함. 털리, 서울에 영국성서공회 성경보급소를 설치하고 중국인 류치화, 왕영상이 활동함. 로스, "예수셩교셩셔누가복음"과 "예수셩교셩셔뎨쟈" 인쇄를 마쳤으나, 누가복음 인쇄는 런던본부의 불허로 중단됨.

1893.9.
스코틀랜드성서공회 서부위원회는 한국에 지부를 설치하지 않기로 하고, 문리본 신약전서의 번역을 한국상임실행위원회에 제안하기로 함

1893.10.11.
전임번역자회(언더우드, 게일, 스크랜튼, 아펜젤러, 트롤로프, 1895년 레널즈 추가)가 스크랜튼 집에서 열려 회장에 언더우드, 서기에 스크랜튼을 선출함

1894.4.
영국,미국,스코틀랜드 성서공회가 연합하여 한글 성경 번역사업을 지원하기로 함.

1894.6.
아펜젤러, 최병헌을 책임자로 서울 종로에 서점 대동서시(大東書市)를 개설함.

1894.10.
영국성서공회에서 대동서시에 성경보급소를 다시 개설하고 최병헌을 책임자로 활동하게 함. 트롤로프 등, 성공회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전례용 발췌성경인 "조만민광(照萬民光)"을 출간함. 영국성서공회, 제물포와 원산에 존스와 맥길의 책임하에 영국성서공회 지점을 설치함. 펜윅, "요한복음젼"을 번역, 수정하여 순한글로 된 "약한의긔록로복음" 을 출간함. 스코틀랜드성서공회, 상임성서실행위원회가 결성되면서 다시 한국의 성서사업에 참여함.

1895.4.
켄뮤어, 만주,몽고,한국 담당 임시 총무로 한국의 성서사업을 위하여 입국함.

1895.5.
피터즈, 미국성서공회의 한국 최초의 권서 겸 부총무로 활동함.

1895.10.18.
켄뮤어, 만주,한국의 임시 총무로 한국지부 설치를 준비하기 위하여 입국함. 번자회, "마태복음", "사도행전", "마가복음", "요한복음" 등을 출간함.

1895.
가을. 미국 남장로회의 레널즈가 번역자회에 추가로 임명됨.

1896.5.20.
영국성서공회 한국지부 설치가 본부로부터 공인됨.

1897.1.
켄뮤어, 북감리회의 구 시병원 건물을 성경보급소로 사용하기 시작함.

1897.4.
번역자회, 개인역 내지 임시역 단계에서 시험역본 준비에 들어가, 서신서로는 처음으로 "바울이갈나대인의게 편지, 야곱의공번된편지"를 합본 형태로 출간함.

1897.7.
피터즈, 시편 번역에 착수함. 구약 번역이 성서공회나 번역자회와 관련하여 처음 시작됨.

1898.5.
피터즈, 한글 최초의 구약 단행본인 "시편촬요"를 출간함.




1900-1911

1900년 성경번역자회에서 <신약젼셔> 가 출간되고 이것은 1904, 1906년에 고쳐져서 나온다. 1911년에는 성경번역자회에서 구약과 1906년의 신약을 함께 묶은 최초의 <셩경젼서>가 출간된다. ‘구역’이라고도 한다.


1900.7.
두 번째 신약전서인 "신약젼셔" 임시본을 서울의 삼문출판소와 요코하마의 분사인쇄소에서 인쇄하여 출간함.

1900.9.9.
정동제일교회에서 "신약젼셔" 출판 기념 예배를 드림.

1902.12.
번역자회에서 새 철자법을 채용하기로 결정함.

1902.6.
아펜젤러, 목포의 번역자회의 참석차 여행 중 선박충돌사고로 사망함.

1902.9.
노블과 그리어슨이 번역자회에 추가로 임명됨.

1903.9.17.
상임성서실행위원회가 해체되고, 한국성서위원회의 정관이 재한선교회, 3공회의 인준을 받아 한국 성서사업 전반을 관할하게 됨.

1904.2.15.
정동의 성서회관에서 첫 성서위원회 모임을 가짐.

1904.5.17.
1900년판 "신약젼셔"의 개정작업을 완료함.

1904.10.17.
구약 번역에 착수함

1904.11.23.
1900년판 "신약젼셔"의 개정판이 요코하마복음인쇄소에서 출간됨. 한국성서위원회가 조직됨.

1906.
1900년판 "신약젼셔"의 개정이 완료되어 공인본이 동경감리교인쇄소와 서울감리교인쇄소에서 인쇄되어 출간됨.

1906.4.
"新約全書 국한문"을 복음인쇄합자회사에서 2만부 인쇄, 출간하여 고종황제에게 헌정함.

1906.9.
"챵세긔"와 "시편"이 출간됨.

1906.9.
1906년판 공인역 "신약젼셔"가 20,000부 출간됨.

1907.
이창직, 김정삼,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구약 번역위원에 임명됨. ㅈ.ㅁ언", "츌애급긔", "삼무엘젼후", "말라긔" 등이 출간됨.

1910.
레널즈, 이승두 및 김정삼과 함께 전주에서 구약성경 번역을 완료함.

1910.4.
동양선교회, "부표관쥬신약젼셔"를 출간함.

1911.3.
최초의 구약전서인 "구약젼셔"가 요코하마의 복음인쇄합자회사에서 인쇄되어 2만 부가 출간되고, 이와 함께 최초의 성경전서인 "셩경젼셔"가 출간됨.





1911-1945

1911년 성서위원회의 ‘번역자회’가 ‘개역자회’로 개편되고 구역의 개정작업이 진행된다.
1938년 <셩경 개역>이 구역 개정의 결과로 출간된다. 1926년 <鮮漢文 貫珠 聖經全書>가 발행되는 등 여러종류의 국한문 성서가 출간된다.


1911.9.
성서위원회에서 기존의 "번역자회"를 "개역자회"로 개편함(위원:언더우드, 게일, 레널즈).

1912.11.
"신약젼셔관쥬"를 일본복음인쇄합자회사에서 인쇄하여 출간함. 최초의 국한문성경인 "馬可福音 國漢文"을 출간함

1913.
로제타 홀, 최초의 점자성경인 "점자요한복음"을 출간함.

1915.10.
펜윅, 독자적으로 신약전서 번역함.

1919.9.
펜윅, 대한기독교회 독자적으로 원산본 "신약젼셔"를 출간함.

1917.12.4.
개역자회, 회장에 게일, 서기에 케이블, 위원에 레널즈와 스톡스로 조직을 정비함. 성서위원회에서 케이블, 스톡스를 개역위원으로 임명함.

1920.10.
성서위원회에서 엥겔, 어드맨을 개역위원으로 임명하고, 영국성서공회 총무로 하여금 직권상 개역자회 위원을 겸직하도록 정관을 수정함. 개역자회, 회장에 게일, 서기에 케이블, 위원에 레널즈, 엥겔, 어드맨으로 조직을 정비함.

1922.
최초의 영한 병용본인 "英韓對照路可福音"을 출간함.

1922.3.
성서위원회, 베어드, 하디를 개역위원으로 임명함.

1923.9.
많은 부수의 한글 성경을 인쇄해 온 요코하마의 요코하마복음인쇄소가 관동대진재로 전소됨. 이후 서울의 대동인쇄주식회사, 신문관, 조선기독교창문사, 중앙인쇄소, 동양인쇄소, 충현인쇄소 등에서 인쇄함.

1924.
1923년 관동대진재로 요코하마복음인쇄합자회사가 전소되자, 서울에서의 성경 인쇄가 활발해짐.

1925.
최병헌, 최초의 국한문 성경인 "創世記鮮漢文"을 출간함.

1925.12.
게일, 최초의 사역 성경전서인 "新譯新舊約全書"를 출간함.

1926.3.
성서위원회에서 피터즈, 남궁혁, 김인준, 김관식을 개역위원으로 임명함. 정태용,조용규, 최초의 국한문 성경전서인 "鮮漢文貫珠聖經全書"를 출간함.

1926.11.14.
로스, 윈, 컨닝햄이 개역자회에 참여함.

1928.
베어드2세가 개역위원으로 임명됨.

1930.
"관쥬셩경전셔"가 출간됨.

1930.2.
총독부에서 제3차 "언문철자법"을 발표함. 크레인, 개역위원에 임명됨.

1931.
"簡易鮮漢文新約全書"가 홍순탁(洪淳倬)에 의해 출간됨. 장?감 연합공의회, 3개년 전진운동(성경 읽기, 복음전도, 기독교문서 출판과 독서증가운동)을 성서공회와 협조하여 추진함. 남궁혁, 저다인, 개역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저다인은 개역에 참여하지 못함. <요한복음개역>이 개역으로는 최초로 출간됨

1933.10.29.
조선어학회, 한글 반포 487돌을 맞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발표함.

1933.12.20.
조선어학회, 성경이 "신철자법에 의하여 출판되기를 바라는…" 공한을 발송함.

1934.3.
성서위원회, 남궁혁, 김관식, 채필근, 클라크, 밀러 등으로 개정철자위원회를 조직함.

1935.3.
성서위원회, 이원모를 개역위원으로 임명함.

1935.10.
영국성서공회 총무 템플, 한국지부 개설 40주년에 때맞춰 한국을 방문함.

1936.
"셩경젼셔"의 구약 개역이 이루어져 "구약젼셔역"이 출간됨.

1937.9.
변홍규, 한국성서위원회의 최초 한국인 회장으로 선출됨.

1937.
신약 본문의 개역작업을 완료함.

1937.10.
"셩경젼셔"의 신약 개역이 이루어짐.

1938.
성서위원회, 조선성서공회로 변경함을 결정, 12월 6일 해외행정소위원회에서 명칭 변을 허락함.

1938.10.
"셩경젼셔"의 신약 개역인 "신약젼셔"가 발행되고, 신구약을 합쳐서 "성경개역"이 출간됨. 성경 반포사업을 위한 후원자 모집 계획을 채택함. 신약 개역자회가 조직됨(위원:스톡스, 로스, 윈, 컨닝햄). 클라크가 개역자회에 참여함.





1945-현재

해방이후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성경의 개정작업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번역성경인 <신약젼서 새번역> <공동번역 성서> <성경전서 표준새번역>이 발행되고, 기존의 번역을 개정한 <성경전서 개역개정판>,<공동번역 개정판 성서> <성경전서 표준새번역>들이 출간되는 시기이다. 또한 다양한 관주성경과 해설성경 디지털성경도 이 시기에 제작된다.


1946.11.7.
해방 후 최초의 성서위원회(24인) 조직.

1948.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의한 성서 개정작업을 결정함.

1956.
주한 유엔군 총사령관 테일러 장군, 자신의 전용기로 일본에서 성서용지 280연 수송 공급함. 성서회관 준공 기념으로 로스역 <예수셩교젼서> 영인본을 발간함.

1957.3.30.
브레일식 <점자성경전서> 출간함(24권 1질).

1961.7.10.
<성경전서 개역한글판>을 출간함.

1962.
<관주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출간

1967.
<신약전서 새번역> 출간

1977.
부활절 <공동번역 성서> 출간함.

1983.10.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번역 착수함.

1993.1.30.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출간함.

1993.4.13.
<성경전서 표준새번역>봉헌예배 (장소 : 새문안교회) 거행함.

1993.8.16.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개정감수위원회" 조직함(위원장 : 이상훈 목사).

1993.11.13.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개정위원회" 조직함(위원장 : 오병세 목사).

1997.9.30.
<독일성서공회판 해설,관주 성경전서> 출간.

1998.8.31.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출간.

1999.12.20.
<공동번역 성서 개정판> 출간

2001.1.30.
대한성서공회 <굿뉴스 스터디바이블> 출간

2001.1.19.
주요 교단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사용하기로 결정

2001.11.11.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개정판> 출간

2002.9.10.
<개정관주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