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고무신 유래 - 공회 모습
2289 고무신은 오로지 한국에만 있는 신발
신재동 신재동 님의 블로그 더보기
입력 : 2009.11.13 15:18 Url 복사하기
블로그담기
추천하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나 플랑크의 양자물리이론 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순수 과학이 인류문명을
완전히 바꿔 놓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우리 피부에 직접 와 닿는 작은 생활속의 혁명이 우리에게는 더 실감이 난다.
인류가 신발을 신기 시작한 것은 약 4만년 전이라고 학자들은 측정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신발은 1938년 미국 오레건주에서 출토된 식물 섬유로 꼬아서 만든
신발이다.
화산재에 덮여 있어서 보존이 가능 했는데 방사성 탄소로 측정한 결과 약 1만년 전 것이라고 한다.
1991년 해발 3200m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된 미라 "외치"는 5300년 전의 석기시대인이다.
그는 풀잎 망토와 식물로 잘 짜여진 신발을 신고 있었다.
인간이 정착해서 살아 가는데 사용 해야할 주거나 생활용품들은 그 지역에서 가장 흔하고 손쉽게 구할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기 마련이다.
한반도는 쌀 농사가 주종이어서 볕짚이 가장 흔하다.
볕짚으로 집도 짓고, 지붕도 얹고, 비 올때는 우비도 만드러 걸치고, 땔감으로도 쓰고 심지어는 신발도
만드러 신었던 것이다.
아무나 손쉽게 만드러 신을수 있었던 짚신은 남녀노소 할것 없이 모두가 신었던 보편적인 신발이었다.
무더운 여름에는 통풍도 잘 되고 가벼워서 맨발로 신고 다니기에 매우 편리하고 건강상으로도 좋았으리라
여겨진다. 비 오는 날 신고 다녀도 별로 지장이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추운 겨울에는 버선을 신고 짚신을 신는다고 해도 발이 시렸으리라.
봄에 해토하면 질퍽한 땅을 디뎌야 할텐데 차거운 황토물이 발을 적셔오고 젖은 만큼 시려오는 그 고초를
어떻게 감당했었는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고무신 광고, 오른쪽에서 부터 읽어야 한다.
"별표 고무, 꼭 한번만 신어 주시오. 모양 잇고 질긴품으로 고무신중에 제일"
신발의 혁명을 불러온 고무신의 등장은 1922년의 일이다.
고무신은 질겨서 오래 신을수 있고, 비가 와도 물이 새지 안으니 기능성도 있고, 거기에다가
가격도 비싸지 않아 선풍적인 인기속에 대중화 되었다.
고무신처럼 짧은 기간에 전국을 장악한 상품도 없을 것이다.
남자 고무신은 짚신 모형을 그대로 본떠서 만드렀고 여자 고무신은 버선의 모형을 본떠 만드렀다.
고무신은 세계 어느나라에도 없는 오로지 한국에만 있는 신발이다.
1930년 대에 지금의 신세계백화점 옥상에 있었던 까페에서 두루마기에 중절모를 쓰고, 검정 고무신을
신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1960년 때 까지만 해도 시골에서 오시는 분들 중에는 이런 모습이 많이 있었다.
신발은 신분에 따라 다르다.
왕의 소장품인 금동제 신발이 있는가 하면 말 탈때 신는 가죽장화도 있고, 서구에서는 구두 높이가
지위를 상징하던 때도 있었고, 14세기에는 구두 앞 굽이 길수록 신분상승을 의미하는 때도 있었다.
유감스럽게도 조선시대에는 소가 지금의 트렉타 역활을 대신 했었기 때문에 개국과 동시에 소 도살을
금지시켜서 가죽문명이 발달 할 기회가 없었다.
신발은 유행을 잘 타서 여자들은 여러 컬레 신발을 보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발이야 피곤하건 말건 멋지게만 보일수 있다면 뒷굽 높은 신발을 불사하는 것도 여자들이다.
신발은 멋의 끝을 장식하는 패션이어서 옷을 잘 차려 입은 다음에는 어울리는 구두를 신어야 모양이
완성되는 것이다.
신발은 자신이 봉사해 온 주인을 대변해 주기도 한다.
구두 뒷축이 다 닭아 있는 신발은 주인이 얼마나 검소하고 부지런한 사람인지를 말해준다.
화가 빈센트 고호는 살아 생전 구두를 상대로 9점의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그가 그린 구두를 보면 구두주인이 얼마나 고단한 삶을 살아 왔는지를 한눈에 알수있다.
신발의 일생은 가장 낮은 자리에서 봉사와 희생으로 주인을 보호하고 섬기는 역활 뿐이다.
신발이 수명을 다 하면서 우리에게 주는 고귀한 감명도 그의 역활과 무관하지는 않으리라.
울타리도 없는 시골 외 딴집 툇마루 밑에 벗어 놓은 낡은 검정고무신을 보면 서구의 낡은
구두처럼 주인의 고닭픈 인생을 극적으로 보여 주지는 않는다.
고무신은 그저 은근이 힘든 삶을 나타낼 뿐이다.
고무신에는 신분도 없고 유행도 없다.
고무신이 최초로 등장 했을 때 왕(순종)이 처음으로 신었고, 궁녀들도 따라서 신었다.
양반도 신었고 쌍놈도 신었다. 도시에서도 신었고 농촌에서도 신었다.
잘 차려입고 신는 신발도 고무신이요, 일하러 갈때 신는 신발도 고무신이었다.
명절 날, 학교 갈때, 혼인식장에 갈때, 웃물가에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신었던
신발이 고무신이다. 그야말로 평등하게 신었던 신발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신었던 전천후 신발이기도 하다.
장난감이 귀하던 시절 고무신은 아이들에게 장난감 역활을 톡톡히 해 냈다.
개울물에 띄우면 배가 되고, 고무신으로 송사리도 잡고, 잡은 송사리는 물이 새지 않는 신발속에
넣어 두기도 한다. 고무신을 반으로 접으면 자동차가 되기도 했다.
아이들 끼리 싸울 때 고무신을 벗어 들고 노려보면 고무신은 무기로서의 위협을 충분히 수행했다.
고무신은 우리의 생활역사를 완전히 바궈 놓고 가 버렸다.
아무런 흔적도 없이 그 흔한 박물관 하나 남겨놓지 않고 사라저 버렸다.
생활혁명을 일으켜 놓고 가버린 풍운아이기도 하다.
머지안아 아이들이 "고무신이 뭐야"하고 묻는 날이 올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