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한국 교회 인물 소개
한국 개혁주의 설교자와 약력과 설교집
|
설교자연구소
2008.05.14 09:18
축복자(subdeobereka)
http://cafe.naver.com/21pps/828
한국 개혁주의 설교자와 약력과 설교집
1. 서경조 목사(1853?-1938년 7월 27일)
1853년경? 출생
1888년 황해도 장연군 한국인 최초의 소래 교회에서 초대 장로교 언더우드 선교사로부터 세례
1900년 장연 소래 교회의 초대 장로 장립
1901년 평양신학교 제2차 입학 시험에 합격
1907년 평양 신학교 제1회 졸업
1907년 9월 17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창립, 독노회에서 7인 목사 중 한 사람
1910년 12월 18일 9시에 새문안 교회 목사로 취임과 장연 송천 교회 교회 겸임 목사
1938년 7월 27일 중국 상해에서 7월 17일에서 소천
* 1866년 9월 3일에 평양 대동강 강변에서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당하는 것을 목격한 후에 최초의 목사이다*
2. 한국 최초의 야스쿠니 반대 순교자 이기풍 목사(1865.12.23-1942년 6월 20일
1865년 12월 23일 본적 평남 평양 출생
1877년 12세 때 백일장에서 붓글씨 장원
1890년 평양에서 전도하던 선교사 마포삼열 목사를 구타하다
1891년 평양에서 예수 믿음(마포삼열 선교사로부터 세례 받음)
1896년 함경도 함흥지방에서 전도일을 봄
1902년 황해도 지역 조사 시무
1903년 평양 장로회 신학교 입학
1907년 평양 장로회 신학교 졸업(제1회)
1907년 9월 목사 안수 받음
경력
1902년 황해도 지역 조사 시무
1907년 제주도 선교사로 독노회 파송
1909년 독노회 제3회 부회장 피선
1913년 전남 광주 교회 초대 목사로 부임
1917년 전남 순천 교회 시무
1918년 3월 광주 북문안 교회(현 제일교회) 초대 목사
1920년 전라노회장 및 총회 부회장
1921년 제10대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역임
1923년 전남 고흥읍 교회 목사 시무
1925년-1930년 제주도 제2차 전도
1927년 제주도 성내교회 위암 목사(제주도 선교사 활동)
1930-1935년 무 교회 지역에 타요한 선교사와 함께 전도함
1931년 전남 벌교 교회 목사 시무
1934년 일제 신사참배 반대 운동
1935년 전남 여수군 남면 우학리 섬에서 목회
1942년 6월 20일 주일 아침 순천 경찰서에서 일제 탄압으로 인한 옥고와 고문 인해서 한국 최초의 순교자 반열에 섬. (77세로 순교함)
3. 한석진 목사(1868. 9.6.-1939.8.20)
1868년 9월 6일 평북 의주읍 동부동에서 한사운 씨의 3남으로 출생
1876년 8월 한문 수학
1884년 철산 출신 이일심 양과 결혼
12월 13일 장남 민제 출생
1887년 중국 산동성, 만주 내항하면서 장사
1891년 3월 24일 통군정에서 마포삼열 선교사와 게일 선교사와의 만남
9월 마포삼열 선교사로부터 세례를 받음
11월 6일 차남 익제 출생
1892년 11월 28일 서울에서 개최된 신학반에 참석하여 전도활동하면서 마포삼열로부터 개인 사사을 받음
1893년 3월 6일 마포삼열, 스왈론 리 등과 함께 평양으로 출발
1893년 5월 가족을 평양으로 이사하여 대동문 안 널다리 골에 주택 구입
10월 조사로 임명.
1894년 5월 10일 평안도 관찰사 명으로 체포됨(5월 11일 석방)
9월 청일 전쟁 중 황해도 수안으로 피난함
융진 교회 설립
1985년 1월 평양으로 귀환, 널다리 골 교회 지도하면서 자덕 교회, 남창 교회 설립
1896년 순안, 수안, 평양 구역 전담, 소우물로 이사하여 소우물 교회 설립, 신의 학교, 신애학교를 설립
1898년 3월 독립협회 관서지회 활동에 참여
9월 독립협회 관서지회 회관 설립추진, 평양 쾌재정 만민공동회 주최
10월 14일 장녀 소제 필제 출생
1902년 무진 교회 설립
1903년 6월 24일 소유물 교회 장로로 안수 받음
9월 장로회 공의회에서 참석하기 시작
1904년 평양 신학교 3학년으로 편입
장남 민제 귀국
1907년 6월 20일 평양 신학교 제1회 졸업
9월 17일 독노회에서 목사 안수
독노회 서기, 소우물, 미림, 이천교회 담임
1908년 2월 29일 차녀 홍제 출생
1909년 9월 <예수교회보> 발행 및 토오쿄오 유학생 교회 창설의 책임을 맡음
10월 일본에서 토오쿄오 한인 교회 설립
1910년 1월 <예수교회보> 사장에 취임
2월 28일 <예수교회보> 창간
11월 27일 3녀 순제 출생,
가을에 안동 교회 설립
1911년 1월 <예수교 회보> 사장 사임
안동교회 부임하여 박승봉를 장립로 장립
1912년 9월 1일 조선예수교 장로회 총회 서기로 피선
11월 29일 2대 경총노회장에 피선
12월 1일 안동 교회 위임식 거행
1914년 6월 안동교회 사면 요청.
1915년 6월 경충노회에서 휴직 요청
9월 경충노회에서 "조선장로화 명칭을 조선 기독교회라 변경을"할 것을 헌의
12월 안동교회 휴직 허락
1916년 1월 마산교회 사경회 인도
3월 마산으로 휴양 차로 내려감
4월 24일 마산 교회 시무
1917년 9월 11일 조선예수교장로회 6대 총회장에 피선. 장감 연합협의화 대표
10월 21일 부인 이일심 별세
12월 경남 노회장에 피선
1918년 봄 오선신과 재혼
1919년 4월 마산 교회 사임
1920년 동래읍 교회 임시목사 신의주 백마로 이주함.
1921년 8월 신의주 교회, 미륵동 교회 임시 목사
9월 18일 신의주교회 취임 목사
10월 신의주 교회 예배당 완공 교명을 신의주제일교회로 개명함
1922년 11월 신명의숙 안에 부인을 위한 야학을 개설
1924년 2월 신의주 제2교회로 분립함
1929년 3월 신의주제일교회 사임
1934년 평양 장대현 교회분규 조정.
1937년 당인리로 이주.
1939년 3월 조선신학원 설립을 축하
8월 20일 당인리 자택에서 별세
8월 24일 새문안교회에서서 영결 예배 거행
9월 15일 총회에서 추도식 거행
4. 최봉석 목사(1869-1944. 4.15) 연보
1870년 1월 7일 평양 최준서 씨의 3남으로 출생
1878년부터 한학 공부
1895년(25세)에 신자가 되고 노블 선교사로부터 세례를 받음
1887년 결혼
1893년 평양 관찰사 비서
1900년 강동 현감 구타사건으로 평북 삭주로 정배
1902년 삭주교회 영수 백유계의 전도로 예수교로 개종
1903년 봄에 부인과 함께 학습받음
1903년 가을에 세례 받음
1905년 삭주 교회 집사로 피택
1905-1907년 성경 매서인으로 전도
1908년 평북 노회에서 전도사가 됨, 그리고 벽동 교회에서 조사로 시무함
1908년 평양 신학교 입학
1911년 낙제로 졸업 연기
1911년 9월 20일 제5회 독노회에서 강도사 합격 후벽동 교회에서 시무허락.
1912년 신학교 2차 낙제 졸업 연기
1913년 평양 신학교 6회로 졸업 동연 부인 상처함. 삭주 교회 목사 시무(믿고 영수된 교회)
1916년 삭주 시무 중에 재혼하고 삭주 교회 목사 사면
1916년 남만주 전도 목사로 파송
1923년 남만주 노호장 피선
1923년 남만주 노회에서 개척 전도 공로 표창장을 수상
1926년 귀국 강동 교회 시무
1927년 평양 산정현 교회 전도 목사로 각처에서 다니며 순회 전도(30년 사역에 80 교회 개척)
1939년 5월 신사참배 거절로 선미도에서 페포되어 1개월간 투옥.
1939년 6월 제2차 투옥
1944년(76세) 3월 1일에 금식기도를 시작하여 4월 10일에 마치고
1944년 4월 11일에 평양 기홀 병원에 입원
1944년 4월 15일 오후 1시에 순교함
1944년 4월 19일 10시 30분 자택에서 임종순 목사의 집례와 산정현 교회의 교유들이 참여하는 장례식 거행
(박용규 편저, 한국 기독교 대사전, "최봉석 목사편", (서울: 성은출판사, 1978), 823쪽).
5. 길선주 목사(1869년 3월 15일-1935년 11월 25일)
1869년 3월 15일 평안남도 양주에서 출생
1897년 8월 15일에 선교사 이길함 목사에게서 평양에서 안수 받음
1897년 도산 안창호 선생과 독립협회 평양 지부장이 됨
1906년부터 평양 장대현 교회에서 한국 최초로 새벽기도회가 시작.
1907년 평양신학교 제1회 졸업과 목사 안수, 평양 장대현 교회 목사 시무
1907년 한국 평양 부흥운동의 기수가 되어 사경회 부흥 강사로 활동함
1912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회 총회에서 부회장으로 피선.
1919년 3월 1일 3.1. 독립선언 33인 대표 중 1인이 됨.
1912년 기미년 독립만세 사건으로 2년 만에 출감함
1935년 11월 25일 소천함
저서:
길선주: [약전집],(서울: 혜문사, 1977(1969))
길선주, [길선주 목사 설교집],(서울: 혜문사, 1977(1969))
길선주, [강대보감],(서울: 혜문사, 1977(1969))
길선주, [다니엘 사경],(서울: 혜문사, 1977(1969))
6. 순교자, 불의 사자 김익두 목사(1874년 11월 3일-1950년 10월 14일)
1874년 11월 3일(1세) 황해도 안악에서 출생
1880년 (6세) 서당에 입당
1890년(16세) 과거 낙방
1891년(17세) 부친 별세
1892년(18세) 김익진과 결혼, 상업시작.
1894년(20세) 불도 입문, 천량사기, 방랑생활
1900년(26세) 금산 교회 입교
1901년 4월 소알론 선교사로부터 세례받음
1902년 10월 재령 교회 전도사
1903년(29세) 선천 서부교회 개척
1906년(32세) 평양신학교 입학
1911년(37세) 평양 신학교 졸업
1912년 12월 5일 목사 임직(안수)
1913년(39세) 선천 서부 교회 건축
1914년(40세) 신유 은사 역사(앉으뱅이), 전국 최대 부흥사로 활약
1919년(45세)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8회 부총회장, 서울 남대문 교회 부임
1920년(46세) 장로회 총회장 제 9회 역임
1930년(56세) 서울 승동 교회(당시 한국 최대 교회) 부임
1938년(64세) 야스쿠니 반대(신사참배)로 인하여 1달 간 종로구 경찰서에서 고문
1938년 12월 28일(64세) 신사참배 반대 이유로 경찰로 인해서 목사 파직당하여 황해도 적적리로 정배당함. 일제로부터 금족령, 함구령이 떨어짐. 7년간 가택 연금
1945년 8월 15일(71세) 적적리 교회 목회
1950년 10월 14일(76세) 인민군에게 순교당함
1950년 11월 29(76세) 장례를 치룸
편집자, 이성호, 김익두 목사 설교 및 약전집, 서울: 혜문사, 1977.(3판), (1969).
7. 순교자 이기선 목사 연보(1878년 10월 1일-1950년 겨울)
1878년 10월 1일 평안남도 박천군 남면 남 6리에서 출생
3년간 서당에서 한문 교육 받음
20년간 박천읍에서 포목상 경영
1904년(27세) 기독교 입신
1911년(34세) 평양 신학교 입학
1915년(38세) 평양신학교 졸업(8회)
1915년 평북 노회에서 목사 안수
1915-1916년 평안북도 의주군 고령면 영산읍 교회 시무
1917-1917년 경상남도 김해군 위산읍 위산 교회 시무
1919-1930년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김해 교회 시무
1930년 8월-1931년 1월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 백마동 백마교회 시무
1931년 2월-1938년 7월 평안북도 의주군 위호면 뷱하동 교회 시무
1938년 7월-1940년 5월 북하동교회 사임하고 신사참배반대 운동을 위하여 무임목사로 활동
1940년-1945년 8월 18일 신사참배 운동을 하다가 5년 옥고 중에 해방으로 출옥
1945년-1946년 한국 교회 회개운동 위한 각처에서 집회 인도
1947년 1월 신의주 제6, 7 교회 담임
1947년 3월 의산노회에서 목사직 무기정직 및 금단령을 내림
1948년 10월 조선 예수교장로회 공동의회 소집(평양 산정현 교회에서 소집)
1948년 12월 평양 성경 연구회(신학교) 설립
1949년 3월 조선 예수교 독노회 조직(신의주 제6 교회)
1950년 겨울, 73세 나이로, 신의주 제6교회에서 공산당 만행으로 체포되어 순교 당함.
저서
유고집, 이기선 저, 이병규 엮음, 셩경대요지(구약 편), 서울: 염광출판사, 2003.
8. 부흥사 김현봉(1884-1965년 3월 12일)
1884년 경기도 여주군 가내면 건장리에서 출생
1906년 동대문 감리교회에 3인과 함께 예배 출석(입신 22세)
1910년 한일 합방 때 일제의 감시를 받음
1912년 양정의숙 법과 졸업 후 배화학교 교편 생활하던 도중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월남 이상재 선생의 소개장을 들고 중국으로 망명함(1912-1923년)
1921년부터 1923년까지 간도 및 북간도와 아라사(러시아 영토)를 두루 다니며 애국 운동과 학교 교편을 잡고 인재 양성에 용력, 연해주 해삼위에서 망명함.
1923년 귀국시 서울역에서 체포되어 투옥됨(39세)
1923년 누님과 조카의 보증을 서고 보석함.
1923년 출옥해서 평양신학교 입학(39세)
1927년 43세 때에 평양신학교 제23회 졸업
1923-1927년 평양 신학 재학 중 평북 정주 교회, 관악 보림말 교회, 시흥 구읍 교회 조사 시무.
1928년 목사 안수(44세)
1928년 6월 16일 16세 연하 곰보 출신 박천선 양과 결혼 사모는 1924년 진명 여학교 졸업한 후 세브란스 간호원직을 1944년에 사직함
1932년 3월 30일 성수주일 문제로 공덕 교회 시무를 사면함.
1932년 7인과 함께 더불어 아현 예배당(교화) 개척 개시(48세)
1953년 고신파 38회 총회에서 제명당함(69세)
이후로 그는 교회 자유주의인 개교회의 특성을 살려 교회가 부흥함
1950-1953년 6.25 동란 중에 삼각산에서 39일동안 금식한 이후로 영성이 신장되고 영력이 있는 말씀에 교인의 수가 늘어남( 경남 남도에서 피난하여 목회함)
1964년(80세)까지 전국 각처에서 사경회 인도함
1965년 3월 12일 오전 9시경 자택에서 별세(81세)
(1965년 1월 흥암교회 사경회 도중 졸도함)
설교집
김현봉 목사 강도집(설교집)
이병규 편집자, 김현봉 목사 강도집, 서울: 염광출판사, 2004. 718쪽.
9. 이대영 목사(1887년 4월 23일-1968년 2월 2일: 82세 소천)
1887년 4월 23일 경상북도 예천군 금당실에 이유성 씨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출생.
1907년 선교사 전해리와 이희봉 조사의 처도 괴당 교회 설립할 때 이만기와 예수를 믿기로 하다.
1910년 예수를 믿고 집에서 쫓겨나 경북 영일군 홍해 교회 시무.
1916년 평양신학교 입학(경북 창립 노회시 입학허락)
1921년 평양신학교 14회 졸업
1921년 1월 12일 경북 제9회 노회시 목사 위임 경북 안동읍 교회 시무
1922년 중국 산동 선교사로 파송
1948년 6월 22일 분국에 다녀가서 왔다가 길이 막혀 못가고 7년간 가족과 헤어져서 서울에 머물렀음 중국인 중화교회 선교사로 시무.
1952년 승동교회 임시 목사 역임
1955년 4월 10일 산동에 있어 7년간 헤어졌던 부인 김부석과 5형제가 귀국
1955년 6월 18일 승동교회 위임 목사
1956년 9월 20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1회 총회장 역임
1956년 9월 승동교회 분열
1958년 피어선 성경학교 이사장 역임
1968년 2월 2일에 82세로 소천
*소재 신세원 목사님(현 예장 증경총회장 회장: 총신대 문소 박물관 관장) 시절에 6년 간 승동교회에서 신앙지도를 받은 사제지간과 부형지간과 같은 사이다.
1955년 4월 10일 산동에 있어 7년간 헤어졌던 부인 김부석과 5 형제가 귀국함.
1955년 6월 18일 승동교회 목사 위임.
1956년 9월 20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1회 총회장 역임
1956년 승동교회에서 통합측이 분열함
1958년 피어선 성경학교(현,평택대학교) 이사장 역임
1968년 2월 2일 82세로 소천함
10. 애국투사 이승길 목사 약력(1887. 7.13-1965. 2.18)
1887년 7월 13일 황해도 황주군 구성면 서정리에서 출생
1894년 한학 공부함
1896년 부모님을 따라 교회에 출석
1900년 교회에서 학습 교인
1901년 선교사 한위렴 목사에게서 세례 받음
1901년 황주 양덕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숭실학교 입학
1905년 소학교 교원 생활
1905년 12월 15일 김유선 양과 결혼
1910년 한일 합병 반대 운동으로 15년 징역형 받고, 7년 감형(김구 등 33인 수감)
1916년 8년 출옥후, 재령군 좌전교회에서 전도사
1921년 사리원 광성교회 장로 안수
1921년 평양신학교 입학
1924년 12월 평양신학교 17회 졸업
1924년 12월 18일 황해노노회 제25회 목사 안수
1926년 황해노회장 피선
1930년부터 10년간 장연읍 교회 시무
1935년 평양 노회장
1936년 광주 양림교회에서 제25회 조선예수교 장로회 총회장 역임
1936년 평양 노회장 재선
1939년 폐교되었던 평양신학교 설립자 대표
1940년부터 1950년 6.25사변 전까지 겸이포중앙교회를 시무
1941년 황동노회장 피선
1942년 황동노회장 재선
1944년 정방산 사건으로 일 헌병에 피검되어 평양 형무소 구속 수감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에 출감
1948년 월암하여 토마스 목사 기념 전도단 조직하여 옹진군, 연백군 전도함
1949년 함난노회를 조직하고 1회 노회장 피선
1951년 9월 인천 제2교회 개척 전도함
1952년 기독교 봉사의 한국 지부 중앙위원 피선
1953년 세브란스 의대 재단이사 피선
1953년 마르다 모자원 설립
1954년 황남노회장 재선
1957년 11월 1일 성역 41주년, 결혼 50주년 출생 70주년 기념식 거행(인천제이교회)
1962년 9월 22일 총회 창립 50주년 기념대회에서 증경 총회장으로서 표창장 받음
1965년 2월 18일 79세로 소천
1965년 2월 22일 황남노회장례로 인천 연수동에 안장
1971년 12월 훈장
11. 전재선 목사(1893년 2월 22일- 1978?)
1893년 2월 22일 평안남도 대동군 추을미면 이천리 전윤화 씨의 장남으로 출생
1912년 교회에 입교
1913년 9월 9일 허대전 선교사에게서 세례 받음
1914년 21세에 박인근 양과 결혼함
1915년 2월 황해도 곡산군 상도면 지경리 교회에 개척하여 목회의 길
1924년 3월 경남 양산읍 교회 전도사 부임
1925년 2월 8일 경남 성경학교 졸업
1926년 3월 1일 평양신학교 입학
1931년 3월 18일 평양 신학교 졸업, 평양노회에서 목사 안수 받음
1932년 2월 만주 무신교회 목사 시무
1934년 한국교회 희년전도부 총무 활동
1946년 독립기념 전도회 총무 활동
1950년 황해도 재령동부 교회 시무중 6.25 사변 때에 월남
1950년 기독교연합 전시 비상대책전도부 총무(제주도)
1951년 8월 1일 예수교장로회 전도부 총무로 1955년 9월까지 활동
1955년 12월 인천 7 교회로 목사 시무
1958년 2월부터 인천 팔복교회 시무
1978년경? 소천?
12. 한국의 스펄전인 김화식 목사(1894-1945년 2월 18일 행방 불명(순교)?)
1894년 김성찬 목사의 장자로 숙천에서 출생
1909년 숙천에서 야학으로 국민학교 졸업
1914년 숭실학교 졸업
1914년-1919년 양화점과 인장업을 경영
1919년 3월 1일 기미년 독립운동으로 2년 6개월간 옥고를 치룸.
1923년 숙천 교회 조사로 시무
1927년 평양신학교 21회 졸업 안주 동부 교회 목사로 시무
1933년 평양 창동교회 목사로 시무
1945년 2월 16일 평양에서 기독교 자유당 조직
1945년 2월 18일 김 목사 이하 기독교 자유당이 공산당에 체포된 이후로 행방 불명되었으나 순교로 본다.
13. 한국 장로교 신학의 아버지 죽산 박형룡 박사(1897. 3.28. -1978년 10월 25일)
제3대,5대,6대 교장 및 초대학장 박형룡
- 제3대(1946.6.3 ~ 1951.5), 제5대(1953.9.2 ~ 1958.3)
제6대(1960.9.27 ~ 1962.12.10),
초대학장 (1969.2.13 ~ 1972.2.29
1897년 3월 28일(음) 평북 벽동읍 출생
1. 학력
1913년 4월 평북 선천 신성중학교 입학
1916년 3월 신성중학교 졸업
1915년 구정(舊正)초 평북 선천 북 교회 양전백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음
1916년 4월 평남 평양 숭실전문학교 입학
1920년 3월 숭실 전문학교 졸업
1920년 4월-1921년 2월 전도 설교하다가 목포 감옥에서 옥고
1921년 9월 중국 남경 긍륭 대학교 영문학과에 편입
1923년 7월에 졸업하여 문학사 취득
1923년 9월-1925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톤 신학교 입학 신학사 취득
1925년-1926년 5월 신학석사(Th.M.) 취득
1926년 9월 -1927년 5월 미국 켄터키 주 남침례교 신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한 후 귀국.
1933년 1월 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취득
2. 경력
1927년 8월 -12월 평북 신의주 제일 교회 전도사 시무
1929년 5월 5일 평북 노회(평양서문외 교회에서) 목사 안수받음
1928년 1월-1930년 8월 평양 산정현 교회 전도사 동사 목사 시무
1930년 9월-1938년 6월 평양 장로회신하교 교수 시무
1938년 5월-1959년 11월 장로회 성경주석위원장 겸무
1938년 7월-1942년 8월 동경에서 총회 표준 성경주석 편집 전무
1942년 9월-1945년 8월 만주 봉천 신학원 교수 교장 시무
1945년 8월 15일- 1947년 9월 22일, 만주신학원을 동북신학교로 개명하여 혼자 교수 및 교장 시무
1947년 9월 23일 송상석 목사의 도움으로 일가족이 무사히 귀국함.
1947년 10월-1948년 5월 부산 고려신학교 교장 및 교수 시무
1948년 6월-1951년 7월 예수교 장로회 신학교 교장 교수 시무
1951년 9월-1972년 2월 예수교 장로회 총회신학교 교장 교수 시무
1954년 10월-1955년 3월 신학교육 시찰차 세계 일주 여행
3. 은퇴 후
1973년 8월 10년 전 간행 시작한 [교의신학] 일질 7권 완간
1975년 1월 신용산 성서대학장 출명
1975년 11월 40년 전 평양에서 초판 간행한 [신학난제선평] 보수 재간행
1975년 12월 서울 노회 공로 목사 추대 받음
1978년 10월 25일 별세
설교집:
박형룡, [믿을 지키라], 서울: 은총문화협회, 1954년(재판), (1941년 초판)
박형룡, [우리의 피난처], 서울: 은총문화협회, 1953.
박형룡, [남은 백성], 서울: 은총문화협회, 1954.
박형룡, [역경의 은총], 서울: 은총문화협회, 1955.
박형룡, [초자연의 도태], 광주: 한국복음주의 협회, 1974.
박형룡 박사저작전집, XVIII., 설교 1권,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3.
박형룡 박사 저작전집, XIX., 설교 2권, 서울: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박형룡 박사 저작전집, XX., 설교 3권, 서울: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박형룡, 가정예배 365일. 홍정이 엮음, 서울: 큼란출판사, 2003.
* 박형룡, 신도게요, 대요리문답,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1969. 184p. 광신대 도서관 KA 238.51 박 94ㅅ(2009년 1월 9일)
*박형룡, 신복음주의 비평, 서울: 보수신학서적간행협회, 1971. 66P. 광신대 230 박 94ㅅ (2009년 1월 9일)
13. 소양 주기철 목사(1897-1944. 4.21.) 연보
1897년 11월 25일 경남 창원군 웅천면 북부리(현 진해)아버지 주현성과 어미니 조재선 사이의 넷째 아들로 태어남.
1906년 아명 주기복으로 웅천 개통하교 입학.
1910년 12. 25. 웅천 장로 교회에 입교
1912년 개통학교 고등 보통학과 졸업
1913년 3월 정주 오산학교 입학
1916년 3월 연희 전문학교(현 연세대) 입학
1916년 가을 안질로로 연희전문학교 중퇴. 고향 웅천으로 옴
1917년 웅천에서 교남학회 조직
1919년 안갑수와 결혼
1919년 10월 25일 장남 주영진 출생
1921년 12월 13일 경남노회에서 목사후보생 시취함
1922년 3월 평양 장로회 신학교 입학
1922년 경남 양산 교회 전도사에서 청년 조용학을 만남(1925년 9월까지)
1922년 11월 5일 차남 주영만 출생
1925년 1월 9일 3남 주영묵 출생
1925년 가을 평양 장로회 신학교 졸업
1925년 10월 15일 서울에 조선 신궁 건조
1925년 12월 30일 경남노회에서 목사 안수
1926년 1월 10일 부산 총량 교회 담임 목사
1927년 11월 3일 4남 주영해 출생
1928년 7월 3남 주영묵 병사
1930년 3월 5일 장녀 영덕 출생. 초량교회 제직회의록 비치함
1931년 여름 경남노회에서 신사참배 반대 결의주도.
1931년 6월 28일 부산 초량 교회 사임
1931년 7월 마산 무산 교회 부임
1932년 3월 18일 4남 주광조 출생
1932년 9월 17일 평양 서기산 전몰장병 위령제 일제 한국교회학교의 참배 강요
1932년 9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신사참배 반대결의, 총독부에 교섭게 함.
1933년 5월 16일 부인 안갑수 사모 병으로 소천
1934년 여름 부친 주현성 장로 소천
1934년 4월 총독부 정충감 이마이(금정전청덕), 학생들의 신사참배 필수확인케 함
1935년 5월 금강산 목사 수양회에서 박형룡 목사와 함께 "예언자 권위"라는 설교
1935년 여름 오정모 선생과 재혼
1935년 9월 박형룡 교수가 초청한 평양 장로회 신학교 사경회에서 "일사각오" 설교함
1935년 11월 일제교육부로부터 평양숭실전문학교 맥 교장과 숭의여학교의 스누크 교장대리가 신사참배 강요를 받음.
1936년 조선사상보호관찰령이 발효
1936년 7월 국내 선교사들, 신사참배 강요로 교육인퇴 논의함
1936년 7월 마산 문창교회 사임
1936년 7월 평양 산정현 교회 부임
1936년 8월 미나미 조선 총독 부임, 신사참배 강요 정책 강행 다짐
1937년 2월 미국 남장로교 선교부 교육인퇴 결의
1937년 3월 산정현 예배당 신축 위한 설교 "많이 준 자에게 많이 취한다"
1937년 3월 신사참배로 인하여 평양 3숭(숭실전문, 숭실중, 숭의여고) 인도 계약함
1937년 9월 5일 신축 산정현 교회당 입당 예배
1938년 2월 9일 산정현 교회 입당예배
1938년 2월 9일 평북 노회장 김일선 목사 신사참배 결의함에 따라 평신 학생 장홍련 등 평신 교정에 심은 김일선 기념식수목을 도끼로 찍다. 이 사건으로 박형룡 교수와 함께 제1차 구속.
1938년 3월 교육의 철저한 황민화 정책을 위한 조선 교육령 개정발효
1938년 3월 16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 교육인퇴 확인
1938년 5월 주기철 목사 석방
1938년 5월 친일적 조선기독교연합회 서울에서 결성
1938년 6월 8일 전북 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년 6월 전남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년 6월 주기철, 이유택, 김화식, 묘향산 단군굴에서 금식기도
1938년 6월 30일 일본기독교회 의장 도미타(부전만) 평양에 도착 산정현 교회에서 교계 지도자 간친회 갖고 신사참배의 국민의례성을 강조
1938년 7월 평양, 평서, 안주, 황해 노회에서 신사참배 가결.
1938년 8월 농우회 시건 연루로 제2차 검속.
1938년 9월 조선예수교 연합공의회 해산
1938년 9월 2일 경안 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년 9월 10일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27회), 평양 서문밖교회에서 홍택기 총회장 시에 신사참배 가결
1938년 10월 미 북장로교 선교부, 평양 내외 및 서울의 현희, 세브란스, 정신 학교 폐쇄 결의와 평양장로회신학교 자신 폐쇄
1938년 10월 17일 시국대처 기독교장로회 대회 개최
1939년 2월 주기철 목사 석방 대구경찰서에서 평양으로 돌아옴.
1939뇬 2월 돌아오는날 산정현 교회에서 "5종목의 나의 기도" 설교함
1939년 3월 일본제국의회 종교단체법 통과
1939년 9월 박관준, 안이숙의 일본의사당 무서사건 및 한상동, 이기선 등의 신사참배 반대운동과 연루 검거, 제3차 검속.
1939년 10월 산정현 교회 경찰압력 불구 신사참배에 완강히 저항
1939년 11월 3일 일제 탄압으로 산정현 교회 주기철 목사 파면 요구
1940년 4월 20일 일경의 탄압으로 산정현 교회 폐쇄
1940년 4월 20일 석방
1940년 6월 한상동, 손양원, 주남선 등 신사참배 반대로 구속.
1940년 9월 위 사건과 연루시켜 주기철 검거 제4차 구속함
1941년 3월 23일 평양노회 노회장 최지화 목사가 주기철 목사의 목사직 해직, 장운경 산정현 교회 당회장으로 부임하자 성도들이 저항함.
1941년 3월 일경, 산정현 교회 및 주기철 목사 사택을 폐쇄하고 주 목사 가족 추방
1942년 6월 20일 옥고를 치룬 이기풍 목사(77세)가 일제 신사참배를 반대하다가 한국 최초의 순교자가 됨.
1944년 4월 12일 주기철 형무소의 병감에 이감
1944년 4월 20일 오정모와의 사모 마지막 면회
1944년 4월 21일 밤 9시 순교함
1944년 4월 25일 장례식. 유체 돌박산에 묻힘
1947년 1월 27일 오정모 사모 유암으로 소천
1968년 7월 9일 주기철 목사 대한민국 국립묘지(현충원)에 안장됨
주기철, [주기철 설교집]
14. 김예진 목사(1898년 9월 5일-1950년 10월경)
평안남도 강서군 성태면 성삼리 가왕동에서 김두연과 당두찬의 장남으로 출생
1911년 강서군에서 평양 순영리로 이사 13세에 목사 되기로 결심
1915년 12월 23일 한시도와 결혼(1986년 1986년 2월 19일 한도신 사모 L.A.에서 소천)
1916년 숭실대학교 입학
1917년 1월 22일 장녀 선명 출생(평양) 산정현 교회 집사
1917년 7월 "삼일우지묘" "민족의 십자가를 지자"라는 연설이 총독부에 의해서 무기정학을 당함.
순천 제남 교회 전도사로 첫 부임.
1919년 술실대학 복학, 평양신학교 입학 수속하였으나 기미년 독립운동으로 인해서 개교 연기됨으로 무위
1919년 2월 28일 김예진 집에서 숭실의 동료3-4명이 함께 밤새 각종 태극기를 다량 제작함
3.1. 독립만세 운동으로 체포, 평양 암정 감옥에서 미결수로 복역.
8월 9일 평양 복심 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개월 언도받음
10월 병보석으로 평양 기독병원에서 1개월간 입원 치료
11월 중순 상해로 탈출
12월 23일 상해임시정부의 지령으로 평남 청년단과 경사대를 조직을 위해 귀국 신흥리 처가에 들렸다가 체포되었으나 신태평에서 야밤 도주함
1920년 2월 29일 3.1절 1주년 기념 전단능 제작 다음날 배포함
6월경 기홀 병원에서 대한민국의용단 단장 김석황 등과 함께 평안남도 도지부를 결성하고 서무부장에 임명됨
7월 중 강서군 반석면 반오리 김경하의 집에서 김경순 등 20 여명의 청년들이 독립전쟁을 목적으로 대한신청년단을 조직함
8월 3일 평안남도 도청 폭파사건에 가담
9월 10일 재차 상해 망명
10월 상해 임시정부 사무부 서기관 시무
11월 28일 차녀 재명 출생(1990년 5월 10일 에이레에서 소천)
1922년 1월 상해 인성학교 교원 시무
1922년 4월 상해전차공사 감독 취업
6월 가족 상해 도착 흥사단 건물에 입주
1924년 7월 19일 장남 동명 출생(상해)
1926년 5월 15일 상해에서 일본 형사에게 체포당함 17일 문사를 지나 부산, 서울을 거쳐서 5월 19일 평양 압송
1927년 9월 19일 평양 지방법원에서 예심 종결
12월 13일 2차 공판에서 징역 15년 구형받음
12월 20일 징역 2년(구류 360일 통산)의 판결 언도 받음
1928년 12월 2일 성탄절 특사로 잔여 형기 23일을 남기고 가출옥함
1929년 8월 31일 3년 광명 출생(평양)
9월 10일 평양 양말공장 사원으로 있던 중에 예비검속 당해 16일 석방 전후 19차례 예비검속 당함
1931년 1월 23일에 이용도에게 편지
4월 2일에 평양 신학교 입학
1931년 6월 14일 연합공의회
1950년 10월 경기도 광주군 경인리 석바지에서 20 여명의 양민과 함께 총살 순교당함
15. 김치선 목사(1899- 1968년 2월 24일)
1899년 8월 10일(음력) 함경남도 함흥읍 서호리에서 부친 김영준과 모친 최현숙의 3남 2녀의 장남으로 출생
1916년(18세)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던 중 캐나다 선교사 영재영 선교사를 만나 믿음의 아버지로 모시고 함남 일대에서 같이 전도함.
1918년 4월 (20세) 함흥 영생중학교 입학
1919년 3월 (21세) 3월 1일 운동 당시 비밀학생 대표로 활동하다가 피검.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간 복역.
1919년 부친 김영준 별세
1922년 3월(24세) 함흥 영생고등학교 졸업
1922년 4월 1일 연희전문학교 영문과 입학.
1924년 (26세) 이홍순(홍남 서호리 출생. 이봉구 장녀)와 결혼
1926년 (28세) 연희전문학교 졸업
1926년 평양 신학교 입학
1926년 5월 15일(28세) 장녀 동옥 출생
1928년 2월 5일(2녀) 동화 출생
1928년 (30세) 평양신학교 1년 수료 후 영재영 선교사의 권유로 도일(영재영 선교사는 연합선교회의 분규로 왜국으로 건너감)
1928년 (30세) 고오베 중앙신학교 입학.
1930년 (32세) 모친 최현숙 별세.
1930년 2월 고오베 중앙 신학교 졸업
1931년 9월 1일(33세)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입학
1933년 5월 8일(35세)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졸업(Th.M. 학위취득)
1934년 9월 1일(35세) 미국 텍사스 소재 달라스 신학교 입학
1936년 (38세) 왜국에서 재일교포를 위한 순회목사 취임(대마도, 큐슈우, 훗가이도, 아모리 등지에서 선교, 왜국 관서지방 노회장 역임)
1938년 3월 (40세) 동경 신쥬큐중앙 교회 시무
*1938년 7월 경 동경에서 박형룡 박사 가정과 만남과 교회 생활을 함.
1939년 3월 (41세) 동경 잇지(일치(一致)) 신학교 강사
1939년 11월 5일(41세) 동경 YMCA 대강단에서 목사 안수 받음
1939년(41세)-1944(46세) 니시노미아(삼궁(三宮)) 교회, 효오고(병고(兵庫))교회, 아까시(명석(明石)) 교회, 대판 동부의 와까야마 교회, 모리베 교회, 메구로((目黑)) 교회, 이께부르로 교회 등 재일교포를 위한 교회를 개척함.
*1940년 6월경에 한국어로 설교한다는 이유로 3-4 개월 동안 구치소 생활
*1940년 하반기에 동경 신쥬쿠중앙교회 사임
1940년 12월 (42세) ‘복음의 진수’ 설교집 출간
*1941년 초기에(3-4월?) 메구로(目黑) 작은 교회로 부임하고 박형룡 박사 가정도 합류함
*1941년 1월 3일(43세) 동경에서 장남 세창 출생
*1942년 8월에 동경에서 총회 표준 성경주석 편집을 하다가 만주 봉천 만주 신학원 교수로 부임. 김 박사와 4 년간 신학과 신앙의 동지로써 동고동락했다.
1943년 1월 30일(45세) 3녀 광혜 출생
*1944년 3월 한국으로 귀국.
1944년 (46세) 서울 남대문 교회 제6대 목사로 취임
1946년 (48세) ‘300만부흥전도회’ 회장 취임
1946년 (48세) 월간 ‘부흥’ 창간
1947년 (49세) 한국개척단 이사 취임
1948년 2월 (50세) 야간장로회신학교 설립(초대 교장 윤필성 목사)
*1948년 6월-1951년 7월 사이에 박형룡 박사가 서울 장로회 신학교 교장으로 시무하면서 김치선 목사와 교수로써 합력함.
1949년 1월(51세) 야간 장로회신학교 2대 교장에 취임
1949년 4월 (51세) 장녀 동옥. 경기도 안성인 이의완(대한신학교 5대 교장)에게 출가.
1950년 1월 (52세) 장로회 야간신학교를 대한신학교로 교명 변경.
1950년 5월 (52세) 2녀 동화. 대한신학교 영어 교수, 이후 25년간 근속.
1950년 6월 (52세) 서울 남대문 교회 사임.
*1951년 9월 8일 대구 총회에서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신학교 교장 박형룡 박사와 김치선 박사가 취임함
*1951년 9월-1959년 9월까지 서울 장로회 총회 신학교 교장인 박형룡 박사와 김치선 박사가 함께 교수.
1952년 (54세) 서울 창동 교회 개척.
1954년 5월 (56세) 서울 관악산에 벧엘기도원 설립
1954년 (56세) ‘기독인의 초석’ 설교집 출간
1955년 (57세) 월간 ‘우물’ 창간
1955년 ‘구약사기’ 출간
1956년 (58세) ‘갈라디아서 주해’ 출간
1958년 (60세) 2녀 동화, 함남 함주인 최순직(기독대학교 초대 학장)에게 출가.
1959년 (61세) 총회 신학교 이사 취임
1959년 9월 통합의 분열 이후 총회의 지시로 총신에 대한신학교를 합병하는 문제로 독립 신학교로 체제를 바뀌었다.
1960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성경 장로회를 조직하고 초대 회장에 피선
1962년 (64세) 서울 중앙교회(현 청파중앙교회) 부임
1965년 (67세) 월간 ‘봉화’ 창간
1965년 9월 (67세) 대한신학교 명예교장 취임
1965년 9월 장남 김세창 대한 신학교 제4대 교장 취임
1966년 5월(68세) 3녀 광혜, 함남 영흥인 주도진(부모님 선교회 회장)에게 출가
1968년 2월 24일(70세) 소천, 관악산 벨엘기도원에 안장.
1977년 청주 선산으로 이장.
1985년 3월 성남 서울공원 묘지로 이장.
1995년 4월 23일 안양 물왕리의 남대문 교회 동산으로 이장함
< L. L. Young 목사>
김치선,『구약사기』, (서울: 복음세계사, 1955) 헌서., 이 책은 40년 동안 한국인들을 위해서 애정으로 헌신하신 선교사이자 박사이신 L. L. Young 목사에게 바칩니다.
16. 순교자 손양원(1902-1950. 9. 28) 목사
1902년 6월 3일 경남 함안에서 부친 손종일 장로와 모친 김은주 집사의 장남으로 경남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685번지에서 출생
1908년 5월 2일 부친 그리스도교로 개종했을 때인 7세 때에 그리스도교로 입신
1914년 4월 1일 칠원 공립보통 학교 입학
1917년 10월 3일 맹호은 선교사에게 세례 받음
1919년 3월 24일 칠원 공립 보통학교 졸업
1920년 4월 23일 아버지 손종일 장로의 독립만세 운동으로 구속, 서울 중동학교 자퇴
1921년-1923년 일본 동경 소압(쓰가모) 중학교 졸업
1924년 1월 17일 정양순 여사와 결혼
1924년 3월 23일 재차 도일했다가 중생하여 10월에 귀국
1924년 10월 23일 칠원읍 교회 집사 피선
1925년 11월 6일 동인군 출생, 1948년 10월 21일 여순사건 때 순교
1926년 3월 경남 성경학교에 입학, 부산 감만동 교회 외지 전도사 부임
1929년 3월 6일 경남 성경학교 졸업
1932년 감만동 교회에서 성조지로 한 주간 사경회 인도, 사경회 인도 문제로 사임
1926년-1932년 외지 전도사로서 밀양 수산, 울산 방어진, 울산 남창, 남부민, 양산 원동 교회 개척.
1932년-1934년 부산 남부민 교회 시무
1930년 9월 18일 동신 군 출생, 1948년 10월 21일 여순 사건 때 순교함
1935년 4월 5일 평양 신학교 입학, 능라도 교회 시무
1936년 5월 26일 모친 별세
1938년 3월 16일 평양 신학교 졸업
1938년-1939년 경남 노회 부산지방 시찰회 순회 전도사, 부산, 양산군, 김해군, 함안군 각 교회를 순회 전도하면서 신사참배 운동을 함,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한다는 이유 때문에 순회 전도사 일을 시찰회에서 보지 못하게 함.
1939년 7월 14일 여수 애양원 교회 부임. 한국인으로서 2대 목사로 부임
1940년 9월 25일 신사참배 거부로 여수 경찰서에 검속.
1940년 11월 17일 광무 형무소에 투옥.
1943년 10월 8일 청주 보호 교도소에 감금
1945년 8월 17일 해방으로 석방조치
1945년 9월 10일-10월 15일 애양원 원장 임시 경임.
1946년 3월 경남 노회에서 목사 안수 받음
1948년 10월 21일 여순 사건으로, 동인, 동신 형제 순교 두 아들을 죽인 원수를 살려 양아들로 삼음.
1950년 9월 13일 6.25 동란으로 공산군에 의해서 검속
1950년 9월 28일 여수 미평 과수원에서 총살 순교
1994년 4월 27일 손양원 목사 순교 기념관 개관
1995년 8월 15일 국가 독립 유공자로 선정 건국 훈장 애족장 수상
2007년 8월 14일 여수 애양원 손양원 목사 부처 묘소에서 대구 설교자 전문학교 1기생들과 대신대 학생들이 추모 예배
17. 홍대위 목사(1900?-1973년 7월 19일)
황해도 개성 출생 연대 미상(1900년? 추정)
어릴 때에 중국에서 성장
중국 섭구 루터교 신학교 졸업
미국 루터교 선교회의 선교사로 파송
1930년 중국 청도 신의 신학원 교수
재중 조선 장로교 화북 노회 목사
1945년-1950년 서울 승동 교회 목사 시무
대구 고등 성경학교 교장
대구 장로회 신학교 교장
1952년 대구 삼덕교회 목사시무
1952년-1972년 대구 삼덕교회 시무
1972년 삼덕교회 시무
1972년 대구 삼덕 교회 원로 목사 추대
1973년 7월 19일 소천.
18. 명신홍 목사(1904년4월 14일-1975년 10월 14일) 박사 연보
제9대 교장 명신홍(1964.12.11 ~ 1968.12.12)
1904년 4월 14일 평안남도 김제면 원장리 노동에서 명진혁 씨의 장남 출생
1908년 관란교 입학
1912년 합성교 입학
1914년 온양교회 출석
1918년 합성교 졸업
1919년 숭실교 입학
1921년 차덕실 양과 결혼
1921년 양실 학교 교사 부임
1923년 양신학교 교사 사임
1923년 주촌학교 교사 부임
1924년 주촌 학교 교사 부임
1926년 숭실교 졸업
1926년 도일
1929년 3월 동경 일본대학 수료
1931년 7월 동경 일본 신학교 본과 수료
1933-1937년 평북 진지동 교회 전도사, 목사 시무
1936년 3월 평양 신학교 졸업(박형룡 박사의 제자)
1936년 3월 도미 웨스터민스터 신학교 입학(스승 박형룡의 도움)
1939년 5월 웨스터민스터 신학교 대학원 Th.M. 학위 취득.
1939년 미국 칼빈신학교 입학
1941년 5월 미국 칼빈신학교 대학원 졸업 석사 취득.
1941년-1943년 1월 뉴욕 비블리칼 신학대학원 입학 신학 석사 취득.
1943.1-1945.8. 미 국무성 우편물 검열국 검열관 근무
1945.9-1947.1. 재한 미군정청 고문관 근무
1946.4.-1957. 3. 대구서문교회 목사 시무(대신대 초대 설립 이사장 취임)
1948.9-1971.4. 총회 신학교(총신대학교) 교수
1948.8. 세계 복음화운동대회에 한국 청년 지도자 대표로 스위스 바아림버그에 다녀옴
1950-1954. 연세대학교 이사
1951-1952 경북 노회장 역임
1953-1954.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8회 총회장 역임
1953.4. 호란 왓스코텐 개혁교회 동부대회에서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대표로 참석
1954.8. 미국 프린스톤 개혁교회 세계 대회에 대표로 참석
1955. 8. 미국 에반스톤 세계 기독교 연합회에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대표로 참석
1956. 5. 미국 콤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 대학원 문학 석사 취득
1959.3. 미국 미조리주 타키오 대학 명예신학박사 수득
1962.9.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장으로부터 교회와 신학교에 공적이 다대하다는 표창장과 금메달 수상
1963. 국제복음 방송국(HLKX) 이사 역임
1963.8. 미국 그랜드 래피드 시 개혁주의 세계 대회에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대표로 참가
1964.4. 미국 실벌스폴링에서 열리는 정통 장로회 제31회 총회에 친선 사절로 참석
1965.2.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총신대학교 전신) 교장
1968. 미국 홈스테트 바이블지 명예 문학박사 수득
1969.2 그의 신병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 교장(총신대학교 학장) 퇴임
1970. 신병으로 투병 생활
1975. 10.14. 소천함. 총신대학장으로 장례후 마석 모란 공원애 안장되었다.
2007년에 미국에 유족들이 있는 곳으로 이장되어 갔다.
(정성구 편, 명신홍 박사 전기 신학교육과 목회, 서울: 총신대출판부, 1997.)
명신홍, 명신홍 박사 설교집, 서울: 백합출판사, 1979.
19.박윤선(1905-1988. 7.2) 연보
제8대 교장 박윤선(1963.12.11 ~ 1964.12.10) 총신대학교 총신신학원(1979-1980.11.3)
1905년 12월 11일(음력) 평북 철산군 백령면 장평동
가족: 김애련(1922.12.-1954. 3.) 자녀: 춘호, 요한, 단열, 춘자, 혜란.
이화주(1954.10- 현재) 자녀: 성은, 성진, 성혜
1913년-1922년 서당에서 한학(四書五經) 수학
1923.3. 선천 대동소학교(6학년 편입) 졸업
1923년 4월-7월 평북 정주 오산중학교(2학년 편입)
1927년 3월 선천 신성중학교 졸업(5년제)
1931년 3월 평양 숭실전문학교 영문학과 졸업(4년제)
1934년 3월 평양 장로회신학교 졸업(3년제)
1934년 9월-1936년 5월 미국 웨스트민스터(Westerminster) 신학교 졸업(Th.M.)
1936년 8월-1938년 7월 평양 장로회신학교 성경 원어 강사
1938년 6월 및 총회 표준 성경주석에 고린도후서 기고함.
1938년 9월-1939년 11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고대 어학과 변증학 연구.
1940년 3월 만주 한인 예수교장로회 신경 노회에서 목사 장립
1940년 4월- 1941년 3월 만주 봉천(현 심양) 오가 황 교회 목회
1941년 4월-1943년 7월 만주 봉천 신학원 교수
1941년 4월-1945년 8월 성경 주석 저술 전념(만주 안산: 요한계시록)
1945년 8월 27일 귀국하여 4 개월 동안 고향 거주.
1946년 2월 월남(2월 하순 고향 출발, 3월 1일 서울 도착)
1946년 9월 20일 부산 고려신학교 교장 서리 취임
1947년 10월 14일 고려신학교 교수 취임
1948년 5월 제 2 대 교장 취임
1953년 10월-1954년 3월 화란 뿌레야(Vreije Universitete) 대학교에서 신약학 연구
1954년 9월 미국 필라델피아 훼이스(Faith) 신학교에서 명예 박사(D.D.) 받음
1960년 10월 부산 고려신학교 사임
1961년 2월-1964년 4월 서울 동산 교회(서대문) 교회 목회
1963년 3월 10일 서울 총회신학교 교수 취임(사당동)
1964년 총신 7대 학장 취임(윤번제)
1965년 3월-1967년 2월 서울 총신대학교 신학원 교수
1968년 6월-1973년 서울 한성교회(노량진동) 개척 목회
1974년 11월 서울 총신대학교 신학원 교수 사임(70세 은퇴)
1974년 12월-1979년 1월 성경주석 저술 전념(미국 로스앤젤레스)
1979년 3월 서울 총신대학 신대원장 취임
1979년 3월 9월 3일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D.D.)를 받음
1979년 10월 9일 성경 주석 완간 감사예배(총신대학 대강당)
1980년 11월 서울 총신대학교 신대원장 사임
1980년 11월-1985년 2월 수원 합동신학원 초대 원장
1985년 3월-1988년 6월 수원 합동신학교 명예교장
1987년 4월 27일 성역 50주년 감사예배(반
포 남서울 예배당)
1988년 6월 30일 소천
1988년 7월 2일 합동신학교장(葬)
20. 은성 박성겸 목사(1910년 2월 26일-1984)
1910년 2월 26일 황해도 안악군 안악읍 출생
1938년 11월 26일 황해노회 목사 안수
재령 명신고등학교 졸업
평양 신학교 졸업(1938년 6월)
미국 플로리다 훼이스 신학대학 명예 박사 수득(1969년 2월 26일)
1936년 황해노회 전도사 시무 5년
1938-1947년 송화 상리면 토은 교회 위임 목사 10년 시무
1940-1947년 은율 성경학교 강사
1947년-1951년 수도 교회 시무
1947-1951년 황해노회 서기 역임
1951년 1월 14일 백령도로 월남
1951-1951년 백령도 화등 진촌 사곳 교회 시무
1952년 백령도 진촌 유치원 설립
1953년 10월 25일-1973년 서울 금성(황해) 노회 설립 담임 목사
1956년 8월 31일 은성문화사 설립
1950-1970년 황해노회장 6회 역임
1960-61년 황해 교직자 회장 연임
1969년 4월 28일 명예신학박사 학위수여 전달식과 목사 32주년 기념식 건행
1967년-1973년 총회신학대학교 실행이사
총신대 재단이사회부이사장
1970년 서북 대회장 역임
1969-1972년 총회교육부장 역임
1971년 4월 16일 황해노회 100회 기념식 준비위원장 역임
1971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부총회장 역임
1972년 4월 4일-5월 2일 총회 대표로 대만 기독교 장로회 총회 참석
1972년 9월 21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피선
1972년 9월 27일 기독신보 발행 등록
금성 교회 원로 목사
황해노회 공로 목사 추대
한국기독교 100주년 기념사업협의회 부총재
1984년 소천
<저서>
빛과 소금(1955.1.30)
성신의 검(1956.3.5)
예수와 나(1956.12. 30)
목양의 길(1957. 11. 18)
생명의 꼴(1958.6.20)
중생의 씨(1959.9.20)
사상포로(1960. 11.15)
한알의 밀(1961.4.18)
피의 제단(1962. 10.24)
성구 금언 예화(1962. 5.25)
신약 설교전집(마, 막, 눅) 제1권(1963.6.3)
제2권(1964. 6.26)
불의 역사(1964.9.30)
신약 설교전집 제3권(1965.5.30)
인생은 갔으나 그 말씀은 살아 있다(1965.9.15)
신약설교전집 제4권(1967.10.25)
제5권(1968.2.20)
새 예식서(1969.6.5)
황해노회 100회사(1971.3.30)
구약설교전집 집필
한국 목사 대사전 집필
21.황금천 목사(1913년 12월 9일-1977년 5월 소천)
1913년 12월 9일 황해도 송화군 풍래면 성사리 218번지 출생
1943년 3월 20일 평양 신학교 본과 2년
1944년 3월 20일 중국 봉천신학교 본과 졸업
1945년 4월 25일 황해노회 목사 안수
1953년 3월 20일 대구대학교 법문학부 철학과 졸업
경력
1938년 10월 1일 황해도 풍천읍 교회 전도사 시무
1945년 4월 25일 황해도 풍천읍 교회 위임 목사 시무
1946년 9월 15일 서울 마포교회 위임 목사
1950년 6월 28일 한국전쟁 6.25 사변으로 월남후 즉시 종군 목사 제1일훈련 수료및 시무중 육군본부 제1사단, 제1군단, 제1군사령부 군인 교회 설립.
1954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전도부 총무 취임 재직중 선교 70여년 전도사업 수행(특히 남한 무교회 지역에서 500 교회 개척 성공)
1961년 1월 1일 서울 시흥성장장로교회에 위임
1962년 11월 20일 경기노회장 역임
1966-1968년 황해교직자회 회장 3년 역임
1973년 경기노회 100회 기념식 유공자 표창 받음
1976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피선
1977년 5월 소천함
22. 김윤찬 목사
1937년 3월 평양신학교 졸업
1937년 4월-1945년 3월 평남 승호읍 중부 교회 목사 시무
1945년 5월-1947년 7월 평양 연화동 교회 시무
1950년 8월- 1950년 12월 평양 장대현 교회 시무
1951년 6월-1953년 6월 부산 평남교회 시무
1953년 6월-1978년 평안 교회 원로 목사
1952년 9월- 총신대학교 재단이사 역임
1961년 5월 기독싱보 사장 피선
1962년 3월 칼신대학교(칼빈신학교) 교장 시무(1978년)
1964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장 피선
1967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피선(재선)
1967년 12월-1978년 대한기독교 연합회장
1968년 7월-1978년 아세아 복음연맹 연합회장
1970년 대한기독교 국민 정화회장 피선
1970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신학대학교 부이사장
1972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신학대학교 이사장 취임
1980년대 소천 미상?
23.한병기 목사(1913- 2004. 11.4.)약력과 설교집
학력
1913. 4.6. 강원도 내금장에서 출생
1925. 4.-1931. 3. 영화의숙(사립 기독교 초등학교) 입학, 졸업.
1931. 4. - 1936. 3. 일본 성기 상업학교 입학,졸업.
1936. 4.-1939. 3. 일본 관서대학 전문부 법률학과 입학, 졸업.
1939. 4.-1941. 12. 일본 관서대학 법문학부 법률학과 입학, 졸업.
1951. 4.-1954. 3.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 입학, 졸업.
1966. 3.-1967. 12.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 대학원 입학, 졸업.
1974. 7-1974. 12.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수학.
경력
1951. 9.-1953. 10. 대구시 문화교회 박용묵 목사 시중 중에서 교육 전도사로서 재직
1953. 11.-1983. 6.20. 부산시 부전교회 전도사, 강도사 및 임시 목사와 담임 목사.
1961 3.-현재(1986) 대한예수교장로회 부산장로회신학교 강사.
1971. 4.-1972. 3., 1977. 4.-1978. 3. 대한예수교장로회 부산노회장(2회) 역임.(6년간)
1975. 5.-1986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 제주노회 복구위원장.
1977. 9.-1979. 9. 20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부총회장 및 총회장.
1981. 3. 15 - 1986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총회 신학대학원 강사.
1983. 10. 20. 부산 부전 교회 원로 목사.
1983. 10. 20. 중부산노회 공로 목사
1985년 4월 10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증경 총회장회 회장
2004년 11월 4일 한병기 목사 소천(91세)
저서:
창세기 강론, 출애굽기 강론, 성경 66권의 그리스도, 개혁주의 강론, 성경 인물 강론, 남아 있는 그루터기, 기독교 어떠한 종교인가?
24. 해원 정규오 목사(1914년 10월 14일-2006년 1월 19일)(학력 및 배경)
1914년 11월 14일 전남 나주군 다도면 방산리에서 출생
1945년 조선신학교에서 수학한 후, "51인 신앙동지회"를 통하여 장공 김재준 성경영감설 부인하는 자유신학을 배격
1947년 겨울학기 고려 신학교
1948년 장로회 신학교 제1회 졸업
1948년 순천 노회에서 9월에 목사안수를 받았다.
1948년-1952년 광동중앙교회(4년간)
1952년-1954년 고흥읍교회 사무
1955년- 1980년까지 광주중앙교회에서 봉직하며(65세) 조기 은퇴함,
1952년 총신대학교 이사역임
1955년 6월에 제12대 정규오 담임목사의 부임으로 교회는 부흥
1965년 제50 총회에서 총회장 피선
1955년-2006년 학교법인 숭일학원 이사, 이사장 역임
1956년-1997년 광주신학교, 광신대학교 이사, 이사장, 교장, 총장역임
1953년-1955년 한국기독교 복음동지협회장 역임
196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역임
1975년 한일복음주의협회 회장 역임
1975년 한국복음주의협회 회장 역임
1979년 합동 총회 비주류로 나감.
1980년-2006년 광주중앙교회 원로목사
1993년 한국성경공회 창립주도(바른 보수신학 성경번역 위해)
1997년 광신대학교 초대 총장역임
1997년-2006년 광신대학교 명예총장 역임
1981년-2006년호남지역의 대표적인 기독교 지도자로 활동해왔다.
1987년 7월 정규오 원로목사 헐몬 수양관 및 부대시설 전부를 본 교회에 헌납
2005년 9월 제90회 총회에서 임종 4개월 전에 개혁교단 9개 교단을 합하여 대전중앙교회에서 합동 총회로 복귀함
2006년 1월 19일 소천함
2007년 1월 22일 해원 정규오 목사(1914.10.14~2006.1.19) 1주기 추모 및 전기출판 감사예배가 2007년 1월 22일 오전 11시 광주중앙교회(담임목사 채규현)에서 유족과 친구, 총회 임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그는 칼빈주의 사상, 반공사상 등의 소신이 담긴 12권의 저서가 세상에 나온 바 있다.
주요 저서
정규오, 나의 나의 된 것은(자서전),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4. 275.195092-정16ㄴ-KA
정규오, 교회행정학,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4. 254-정16ㄱ
정규오, 봉사론, 광주: 광주신학교, 1986. 253-정16ㅂ
정규오, 복음의 폭탄,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8. 208-정16ㅈ
정규오, 현실과 이상,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8. 208-정16ㅈ
정규오, 성경적인 복, 광주: 광주개혁신학연구원, 1989. 광신대 도서관 226.93-정 16ㅅ
정규오, 평신도를 위한 조직신학, 서울: 복음문화사, 1989. 230-정16ㅍ
정규오, 기독교교리: 사도신경 해설,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1. 238.1106-정 17ㄱ
정규오, 신학적 입장에서 본 한국장로교 교회사(상),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ㅅ
정규오, 신학적 입장에서 본 한국장로교 교회사(하),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ㅅ
정규오, 사도신경해설: 기독교 교리,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 16ㅅ
정규오, 교회 행정학,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 16ㄱ
정규오, 로마서 강해,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ㄹ
정규오, 목사관의 자녀들, 광주: 한불문화출판, 1994. 208-정16ㅅ
정규오, 소논문,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6-정 16ㅅ
정규오, 사모학(여성으로서의 필수교양), 광주: 광주신학교, 1900. 253.22-정16ㅅ
정규오, 교회재정관리학, 광주: 광주신학교, 1900. 254.8-정16ㄱ
정규오, 설교의 연구와 실제,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ㅈ
정규오, 새 사람 운동,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ㅅ
정규오, 공산주의 이론 비판,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ㄱ
정규오, 골고다의 세 십자가,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08-정16ㄱ
정규오, 아멘의 생활:절기별 설교집,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ㅈ-V.10.
정규오, 원로목사 순례행전: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편, 서울: 복지문화사, 1995. 275.092-정16ㅇ
칼빈과 개혁신학: 해원 정규오 목사 은퇴기념논총, 광주: 광신대학교 출판부, 1999. 230.42-광58ㄱ-CA
칼빈주의(성경적) 경제관 정규오, 광주: 광신대학교 도서관, 2004. 308-?
김남식, 해원 정규오 목사, 서울: 새한기획, 2007. 275.195092-김192ㅎ
[설교집]
정규오, 복음의 폭탄,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8. 208-정16ㅈ
정규오, 현실과 이상,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88. 208-정16ㅈ
정규오, 성경적인 복, 광주: 광주개혁신학연구원, 1989. 광신대 도서관 226.93-정 16ㅅ
정규오, 로마서 강해,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ㄹ
정규오, 설교의 연구와 실제,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ㅈ
정규오, 새 사람 운동,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ㅅ
정규오, 골고다의 세 십자가,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08-정16ㄱ
정규오, 아멘의 생활:절기별 설교집, 광주: 한국복음문서협회, 1994. 208-정16ㅈ-V.10.
해원기념사업회(회장 김정중 목사)와 광주중앙교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감사예배에는 고인과 함께 조선신학교 시절 51인 신앙동지회에서 함께 보수신학을 지키기 위해 활동했던 김준곤 목사(C.C.C. 설립자, 성시화운동 총재)와 김일남 목사(목포제일교회 원로목사), 장차남 예장 합동 총회장, 김의환 칼빈대 총장, 서기행 증경총회장, <해원 정규오 목사> 전기 집필자 김남식 박사, 부인 문인순 권사, 장남 정대현 교수(이화여대 철학과), 사위 정규남 박사(광신대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25. 김재술 목사 약력(1915년 10월 3일-2001년 1월 12일)
원적: 함경남도 함흥
현주소: 서울 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177-2 롯데빌라5-102
학력
1939년 검정고시로 의사면허를 받음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 졸업
1965년 일본 고베 개혁파 신학연구원 수료
1979년 미국 Fuller 신학교 연장교육과정이수
1980년 미국 International 신학교 명예신학박사 학위
경력
1940년 의사면허 받고 함흥 도립 병원, 교통병원, 지장공의로 개업
1950-1953년 월남 후 거제도에서 UN 병원에 근무
1954년 4월 18일 대한예수교장로회 강남교회 개척 16명이 김재술 전도사와 함께 하다.
1955년 5월 김재술 강도사가 한남노회에서 목사 안수
1959년 김재술 목사 강남교회 위임 목사
1960년 함남노회 탈퇴하여 중립노선을 취함
1974년 4월 18일 교회 창립 20주년 기념 예배와 성역 김재술 목사 20주년
1977년 서울 한성신학교 강사 역임
1977년 노량진 지구교회와 경찰협의회 회장 역임
1980년 교회와 구청협의회 고문, 한국 의료선교회 회장 역임
대한얘수교장로회 신학교 대학원장 역임
1982년 2월 10일 서울남노회 가입(합동 총회)
1989년 강남 교회 35년간 근속함
서울신학교 강사 역임, 서울 로고스 신학교 교수 역임
1989년(75세) 5월 5일 교회 창립 35년 김재술 목사 35주년 성역과 원로 목사 추대함
2001년(87세) 1월 12일 김재술 목사 소천
저서
설교집: 절기 설교집, 말씀의 검, 참된 신앙, 설교학, 사복음 대조 강해, 사무엘상 갈해 설교집, 청세기 강해설교 상, 하권. 잠언 다니엘서 강해 설교집, 요한복음, 요한 서신 강해 설교집, 누가복음 강해 설교집, 고린도전후서 강해설교집, 사도신경 강해(재판), 목회학(재판), 심방핸드북(4판), 성지 순례기, 목양초(1,2집), 성경 빨리찾기
26. 황규석(1916. 1.1.-1981.3.25)
1916년 1월 1일 경남 함안군 칠북면 의령리에서 부친 황병문 씨와 모친 이선옥 씨의 장남으로 태어나다.
1936년 3월 19일 염봉남 목사의 주례로 양순도 씨와 결혼하다.
1937년 2월 112일 장녀 귀호 출생
1939년 3월 17일 차녀 봉호
1941년 9월 27일 삼녀 성호
1946년 부산 고려신학교 입학
1947년 12월 16일 사녀 인호 출생
1948년 서울 장로회신학교 전학
1951년 5월 17일 오녀 신호
1953년 9월 25일 육녀 삼열
1954년 3월 18일 총회신학교 졸업
1954년 9월 18일 대한예수교장로회 경북노회에서 목사 장립
1955년 3월 경북노회 학생지도부 유급 총무
1955년 1월 숭신학사를 창설하다
1956년 6월 대구 염광교회를 설립
1957년 11월 12일 장남 삼열 출생
1958년 3월 17일 단국대 법정대학 졸업
1960년 9월 7일 대구 봉덕 교회 담임 목사로 7년 시무
1960년 9월 경북 노회장 피선(7년 간 노회 서기로 봉사)
1963년 대구대(영남대) 대학원 수료(문학석사)
1964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서기로 피선
1966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총무로 5년간 시무
1966년 서울 창신교회 목사로 1년간 시무
1967년 동대문 제일 교회를 설립
1968년 8월 RES(개혁주의 세계대회) 암스텔르담 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고 세계 일ㅈ부와 성지 순례.
1969년 1월 싱가포르 동남아시아 전도대회에 참석
1969년 2월 문서 선교를 위하여 한국성서협회를 설립하다.
1969년 4월 대만장로교회 100주년 기념전도대회 주강사로 참석
1970년 3월 시카고 성서대학에서 명예 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다.
1970년 5월 대만 장로교회 총회에 한국 장로교회 대표로 참석함 그 후에도 4차례나 참석함
1970년 5월 태국 장로교회를 방문
1970년 10월 일본 개혁주의 전국수양회 및 재일 대한기독교 총회를 방문 하고 일본 각지의 교포교회와 일본인 교횔르 순방
1971년 7월 미국기독교 개혁교회 총회(CRC)와 정통 장로교(OPC) 총회에 한국교회 대표로 참석.
1971년 11월 18일 미국으로 이민
1972년 12월 미국 로스엔젤레스 황금 교회 설립하여 2년 간 시무
1974년 2월 필라델피아 놀스팬 한인 교회를 설립
1974년 6월 미주 동부노회장 피선
1978년 9월 펜실베니아 노회장에 피선
1980년 3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미주대회 대회장 피선
1980년 미주 대회 신학교 이사장 선출
1980년 5월 대구신학교 교장 취임 (대신에서 교수, 학감으로 11년 봉사함)
1980년 놀스팬 교회 건물을 계약하고 1981년 입당 예배를 드림
1981년 3월 25일 소천(향년 65세)
저서:
김남식 편, 황구석 목사 설교집, (서울: 새순출판사, 1990)
27. 박명수 목사(1916년 7월 9일-2008년 2월 21일)의 연보
박명수 목사는 1916년 경북 문경에서 출생, 1947년에 경성신학교(현 서울신학대학)를 졸업하고 1947년에 목사 안수 후에 인천송현교회와 1949년에 문경교회 시무,
1957년 경서고등성경학교 이사장 역임(7선), 경서 노회장 역임(3선)
1962년에 의성읍교회에서 시무했으며, 1965년 경중공등성경학교장 역임, 1967년 총회신학교 이사 및 감사, 영남대회 초대회장,1968년 서울 청량교회에 부임하다.
1972년 서울신학교 이사, [목민장학회] 창립.
1978년 경기노회장 역임, 1980년 경기교직자회 창립 초대회장,
198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유지재단이사장 겸임),
1986년 총신대학교 재단이사, 기독교방송 유지재단 이사 및 TV 방송 추진위원장
1989년 청량 교회 원로목사로 추대받았다. [한국농어촌선교회] 창립.
1991년 목민학사 등을 창립하여 농어촌 목회자와 자녀들을 돌보는데 평생 헌신해 왔다.
1992년 경기노회 공로 목사 추대
1993년 대한예수교 장로회 증경총회장단 초대 회장
1996년 [목민 평화의 집] 개설
2008년 2월 21일 소천함
< 저서 >
문밖에 소리 있어(1976년)
박 목사가 2004년 1월 19일에 자식들에게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다.
△칼빈주의 신앙인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으로 살기를 바란다
△형제간에 우애하며 세상에 빛이 되기를 바란다
△자자손손 바른 신앙으로 살아 구원의 복을 받기 바란다
△나의 유산은 하나님의 것이고 하나님께 봉헌했으니 박수하기 바란다
△나의 시신은 연세대 의과대학교에 기증하기 바란다
△항상 기뻐하고 범사에 감사하며 쉬지 말고 기도하며 집집마다 찬송하기를 바란다.
28. 김창인 목사 약력(1917-2010년 2월 현재 생존)
1917년 11월 18일 평북 의주 출생
1934년 선천, 신성중학교 중퇴,
1956년 3월 15일 부산 고려신학교,
1957년 경안노회에서 목사안수,
1953년 9월 6일부터 충현교회를 설립하여 위임목사 시무
1987년 3월 25일 서남침례대학 명예신학박사 학위 취득
1987년 1987년 5월 16일 휘튼대학 명예신학박사 학위 취득함.
(경력 및 봉사활동)
1951년 부산 동일교회 설립 시무,
1957년 9월 8일 서울 충현교회 제 6대 당회장 취임,
1958년 9월 30일 김창인 목사 위임식,
1966 -1969 전국경목위원회 설립, 초대위원장, 3년 역임.
1967년- 1971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신신학대학원 재단이사,
1970-1971 대한에수교장로회 총회장피선, 1977년 4월 북한선교회 설립,
1980년 8월 ’80년 8월 세계복음화대회 대회장,
1984년 사단법인 북한선교원 이사장,
1986년- 1987년 성경공회 이사장,
1986년 세계 C. E. 명예대회장,
1986년 ’86, ’88 세계복음화대성회 총재,
1986년 한국복음주의협의회 고문,
1987년 한국기독교지도자협의회 회장,
1987년 세계체육인선교회 총재, 대한예수교 장로회 충현교회 원로목사
2009년 7월 19일 충현교회 원로 목사 김창인 목사를 왕성교회(길자연 목사)는 왕성교회 명예우너로 목사로 추대함.
2.(저서)
예수 임의 좋은 일꾼, 구역 장과 심방, 이사야 강해집(1-12집(6권): 1988년), 칭찬 듣는 교회, 교회란 무엇인가, 절기 설교집, 서로 사랑하자, 교회란 무엇인가, 시가서 설교집, 성도의 시험, 예식과 설교, 선교란 무엇인가, 복음서 설교집, 성도의 가정, 바울서신 설교집(1986년), 자유란, 나의 힘이 되신 여호와여, 하나님께서 귀히 쓰시는 일꾼
29. 영파 박용묵(1918년 3월 16일- 1991. 4.4.) 부흥 목사 설교집
박용묵, [부흥전도 설교집], 서울: 은성문화사, 1976(10판), (1959년 초판)
박용묵, [질그릇에 보화], 서울: 한국성서협회, 1978.
박용묵, [믿음을 새롭게 하는 응답받는 기도], 서울: 지혜문화사, 1984.
원적 경북 청도군 이서면 수.야.동
생 일 1918년 음력 3월 16일
부 모 박 정범 영수 이 동영 집사의 4 남
학 력
1929년 11세에 성경 통신과 신 구약부 졸업
1930년 총회 종교 교육부 교사 양성과 졸업
1939년 만주 길림 신학교 본과 3년 졸업
1942년 대판(오사까) 고모하나 상업학교 졸업
1956년 대구 청구대학 국문학부 졸업(영남대학교)
경 력
1929년 김 병호 목사에게서 세례받음
1936년 신학 재학 중 북창교회 설립
1937년 길림신학교 재학 중 복창교회 개척 설립
1939년 의상 양지 교회 이분례 양과 결혼
1944년 칠곡군 가산면 서기 1년간 근무
1946년 경산군 덕촌 박사교회 전도사 부임
1947년 8월, 경북 노회 목사 장립, 위임 받음
1951년 대구문화 교회 부임, 예배당 건축(5년간)
1956년 대구 동신 교회 부임, 예배당 건축(8년간)
1963년 10월 3일 서울 대길 교회 부임 20년 간 시무중 자차 성전 건축함.
1971년 전국 부흥협의회 초대 의장 역임.
1973년 부인 이 분례 사모 별세함
1974년 현재 사모인 심정숙 전도사와 재혼
1975년 한남노회장, 총회부흥 전도단장
1976년 교회 창립 20주년 박용묵 목사 성역 30주년 감사 예배
1977년 총신대학 이사, 서울신학교 이사, 서울 성서 전문학교 부이사장
1978년 대길 교회 목사 시무 중(15년 부임중)
1978년 부흥 사경회 720여회 인도함
1978년 노량진 경찰서 교경협의회 회장 역임
1981년 영등포 구청과 교구협의회 회장 역임.
1983년 부흥사경회 인도 860회 인도, 대길 교회 원로 목사
1988년 대길 교회 원로 목사(5년째)
1989년 은퇴한 후에도 부흥사로 전체 1000회 부흥 집회 인도
1991년 4월 4일 소천
저 서
* 설교집 : 1.부흥 전도, 2. 성령의 폭탄, 3. 말씀의 제단, 4. 불붙는 제단, 5. 때를 알고 행하자 6. 질그릇에 보화(1978), 7. 응답받는 기도(1984: 녹음설교집)
* 강해집(사경회교안) 1. 사랑의 요리, 2. 신앙의 요리, 3. 전도의 요리, 4. 성령의 요리, 5. 구원의 요리,
6. 사도행전 교안
* 시가집: 1. 신앙애국 신조, 2. 신애보 성도의 노래, 3. 신앙시가집, 4. 성도의 노래, 등 4권
전도 문서: 1. 사모록, 2. 기독교와 효도, 3. 세계 운명, 4. 인생의 본분, 5. 죄악과결과, 6. 대한인민의 활로, 7. 인생의 종국, 등 7권
30. 박요한 목사(1918년 5월 6일- 2010년 2월 생존)
전남 신안군 흑산면 진리에서 1918년 5월 6일 출생
< 학력>
1936년 순담 청년상경학교 졸업
1947년 12월 조선신학교 본과 2년 수료
1948년 7월 서울 장로회 신학교 본과 1회 졸업
< 경력>
1943년 12월 전남 함평군 손불면 궁산리 궁산 교회 전도사
1949년 5월 목포노회에서 목사 안수
1950년 11월 영광읍 교회 담임 목사 3년
1953년 2월 군산 동부 교회 시무 3년
1957년 2월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제일 교회 시무 3년
1958년 2월 익산(이리) 중앙교회 10년 시무
1961-1964년 군산노회장 2차 역임
1965년 2월 대한예수교장로회 호남협의회 회장
1967년 10월 대전 남부교회 20년 시무
1968년 4월 대전노회장 역임
1970년 3월 충청도회 대회장
1973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제58회 총회장
1985년 10월 예장 총회 직영 선교훈련원 운영위원장
1986년 1월 대전 성경학교 교장
1987년 4월 대전 남부교회 원로 목사 추대
2009년 6월에 총신대학교에서 자랑스런 동문상을 수여
2010년 현재 우리섬 선교회의 고문으로서 낙도 선교 사랑에 활동
31. 안중섭 목사(1918년 7월 9일-2004년 1월 13일)
황해도 해주에서 1918년 7월 9일에 출생
<학력>
평양신학교를 거쳐 장로회 신학교를 거처 총회 신학교 제4회 졸업
경북 노회에서 목사 안수
<경력>
1947년 강원도 횡성공근 교회 전도사 시무
1955년 청도 동곡 교회 시무
1959년 경청노회장 역임
1963년 압량 제일교회
1966년 수원제일교회 부임 29년간 시무
1972년 수원노회장(1대) 역임, 수원공등성경학교 설립(교장 역임)
1978년 총회 고시부장, 총회재단이사
1980년 총회 선교부장
1981년 총회 선교실행위원
1985년 총회 부총회장 역임
1986년 총회 총회장 역임
1992년 미국 훼이스 신학교 명예신학박사 학위수여
1993년 수원제일 교회 원로 목사 추대, 수원노회 공로 목사
1998년 원로 목사회 부회장, 수원신학교 명예교장
개신교협의회의장 역임, 총회 정책위원 역임, 총회인준 전국 10개 지방신학교 협의회회장, 총신 목회신학원 운영위원장
성지순례 및 영, 불,미, 그리스 아테네, 스위스 등 순방
동남아시아 선교답사 2회, 중국 선교 답사
2004년 1월 13일 소천
<저서>
설교집,
설교학,
심방학,
유다서,
목회 44주년 기념 설교집(1990년)
32. 최동진 목사(1920년 3월 6일- 1995년 5월 10일)
최동진 목사는 1920년 3월 6일 경북 월성군 건천읍 용명동 2242에서 출생하였다.
1935년 3월 1일 경북 건천 공립 보통학교 졸업
1940년 3월 10일 대구 계성 학교 졸업.
1951년 10월 5일 대구사범대학교(교육학 연구)
장로회 신학교 졸업
1961년 3월 21일 부산대학교 졸업(철학과)
1966년 9월 25일 Fuller 신학교에서 목회학 연구(캘리포니아)
1972년 7월 1일 Washington 주립대학에서 교육행정학 연구.
미국 린다비스타 신학교 명예신학박사 학위수여
목회 경력
1951년12월 목사 안수
1946년-1953년 경주 모량교회 사무(약 8년간)
1954-1957년 경북 경산(읍) 교회 사무(약 4년간): 최동진 (위임)목사 부임(1954. 12. 3.위임, 1957. 9.25.사임).
1957년-1987년 9대 목사로 부산 초량 교회 위임 목사(30주년),
1962년 교회 설립 70주년 기념예배
1972년 초량교회 설립 80주년과 80년사 편찬
부산 장로회 신학교 강사
부산 장로회 신학교 이사장 역임
대한예수교장로회 부산 노회장 역임
영남 대회장 역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역임(1974년) 만 교회 운동을 시작함
아세아 복음 선교회 회장
대한예수교장로회 목회신학원(목학대학원) 위원장
1982년 교회 설립 90주년 기념예배
1987년 원로 목사 추대(자진하여 65세로 조기 은퇴를 선언함)
부산 노회 공로목사 추대
1990년 7월 미국 작은 교회의 설교 목사로 활동하였다.
1995년 5월 10일 소천
교계 봉사
1959년-1970년 부산신학교 강사(11년)
1969년 3월 부산 노회장 역임
1970년 5월 영남대학장 역임
1971년 아세아 복음선교회 회장(역임)
1971년 11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부이사장(역임)
1974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59회 총회장 역임
1976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목회신학원 운영위원장 역임
1966-1967년(제1차) Fuller 신학교에서 연구하면서 카나다 등지에 전도.
1970년 2월(2차) 대만 장로교 초회의 초청받고 교약자 수양회 및 순회 부흥회 인도
1970년 10월(제3차) 한일 지도자 협의회 한국 대표로 참석(일본 동경)
1972년 5월(제4차) 미국, 인도네시아 초청받아 부흥회인도 및 전도(4개월동안)
1973년 11월(제5차) 재일교포 교회 및 일본인 교회의 초청받아 순회 부흥회 인도
1974년 7월(제6차) The Intrenal Congress World Evangelization in Switerland에 한국 대표로 참석 및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태리 교회 순방 및 미국 집회 이도
1976년 1월(제7차) 재일교포 교회 집회 인도
1976년 4월(제8차) 재미교포 교회 순시 및 집회인도
1977년 7월 18일-10월 6일(제9차) 4개국 전도영행(일본, 대만, 독일, 카나다)
1979-1980년 해외 전도 제12차 여행(1966-1980년) 중이다.
1980년 대한예수교장로회 목회신학원(총회 목회대학원) 위원장
1980년 부산장로회 신학교 이사장
1980년 아세아 복음 선교회 회장
부흥회 인도 경력이 각 부흥회, 수양회, 특별집회, 세미나 인도를 위시로 외국집회 인도 약 400 회이상이다.
설교집 : <기독교 생명론>, <영풍>
33. 이삼성 목사(1921년 3월 1일-2008년 2월 10일)
황해도 황주군 인교면 소해리 188번지
<학력>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신학교 졸업
1961년 단국대학교 문학부 국문학부 졸업
<경력>
1957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인천 제2 교회 38년 근속
1962년 인천노회장 역임
1974년 총회인준 인천신학교 교장 역임
1974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중부대회장 역임
1978년 인천신학교 이사장 역임
1992년 기독신보사 이사장 역임
1993년 인천노회 공로목사 및 인천 제이 장로교회의 원로 목사 추대
1993년 대한예수교장로회 77회 총회장 역임
2008년 2월 10일에 소천
그는 조기은퇴와 안정적인 지도력 이양으로 귀감이 되었던 이 목사는 은퇴 후에도 후임(이건영 목사)과 심방 길에 오르는 등 후임과의 이상적인 관계를 보인 교단의 "어른"이었다. 6년 전 이일선 사모의 소천 이후 급격한 건강 악화로 3년 간 병원을 오가며 힘든 시간을 보내다 끝내 회생치 못하고 병상에서 소천했다.
34. 박기형 목사(1924년 7월 24일- 생존)
황해도 장연군 용연면 석고리 1989번지
<학력>
1947년 9월 평양신학교 입학
1952년 4월 29일 총회신학교 예과 수료
1955년 3월 10일 총회신학교 본과 졸업
1960년 3월 11일 계명대학교 철학과 졸업
1984년 10월 히브리대학교에서 세미나 수료함
<경력>
1950년 10월 황해도 장연군 지경교회 전도사 시무
1952년 12월 28일 대구 남흥교회 개척 시무
1955년 3월 30일 황해노회에서 목사 안수
1955년 9월 11일 남흥교회 위임 목사
1955-1968년 대구성경고등학교 강사
1968년 8월 7일 대구 남흥교회 16년간 시무 목사 사면
1969년 3월 서울 동대문구 면목동 동일, 동부 교회 개척 시무
1970년-1994년 수도 성경학교 교사
1973년 산정현 교회 위임 목사
1978년-1997년 한국 여자 신학교 교수
1981년 4월 중서울 노회장 피선
1994년 6월 26일 중서울 노회 공로 목사 및 산정현 교회 원로 목사 추대
2010년 생존
< 저서 >
진정한 기독교, 기도는 생명이다, 부흥만이 살 길이다, 오순절이여 다시 오라(성령론), 눈물의 선지자 예례미야
35. 세계 선교 선구자: 조동진 목사(1924년- 2010년 생존)
1949년 6월 서울장로회 신학 본과 졸업
1960년 6월 미국 미네소타 주 베다니 선교대학 수학
1960년 6월 미국 켄터키 주, 에즈베리 신학교 대학원 졸업
멕시코 공화국 국제학술원 문학박사, 미국 미시시피주 벨헤이븐 장로교신학대에서 신학박사, 미국 에스베리 신학교 신학 박사
1950년 6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순천노회 목사 임직
1952-54년 기독공보 편집국장
1953년-1958년 한국복음주의협회(NAE) 창립하고 총무로 시무
1955-1958년 서울 옥인 교회 목사 시무
1960-1978년 서울 후암 교회 목사 시무
1956년 8월 세계복음주의자 대회 한국 대표로 참석(미국)
1956년 9월 국제복음학생연맹 한국 대표로 참석(카나다)
1961-1963년 총회신학교 강사
1963년 이후로 20여년간 감리교 신학대학교 강사 역임
1965년 5월 동양 복음주의자회에 한국 대표로 출석(일본)
1966년 11월 세계전도회의에 한국 대표로 출석(독일 베를린)
1968년 11월 아세아 남태평양 전도회의 참석(싱가포르)
1968년 이후로 국제선교협력 기구(KIM)를 설립하고 대표 이사로 취임하여 평생 활동
1969년 7월 국제교회 지도자 세미나(싱가포르)
1970년 5월 국제기독교 방송회의에 한국 대표 참석(일본)
1972년 8월 세계 잔도자 한국 대표로 참석(미국)
1973년 7월 세계 선교협의회 준비위원회 참석(미국)
1983년 Wheaton"83 세계선교 전략회의 강사 및 선교분과위원장
동서선교연구개발원(EWC/MRD) 원장
로잔 세계복음화회의(WEF) 강사
아세아 선교협의회(AMA), 사무총장
세계 복음주의협의회(WEF) 국제선교위원회(IMC) 실행위원
기독공보사 편집국장 역임
한국방송심의위원장 위원 역임, 크리스챤 헤러드 사장 IMI 국제이사장 역임
<저서>
교회행정학, 현대교회의 건축 계획, 목회 핸드북, 선교의 새세력(New Forces in Mission)편집, 영문선교학술지(Asian Missions Advance) 편집인
36. 송산 김득룡 교수(1924년 9월 28일- 2010년 생존)
1924년 9월 28일 평남 대동군에서 출생.
평양 노회에서 목사 안수
<학력>
1950년 단국대 영문학과 졸업
1955년 총회신학교 졸업
단국대 박사과정 3년 수료
1960-1962년 매국 에스베리 신학교 석사학위
1977년 단국대 문학박사 학위 취득
<경력>
미군 부대 한국인 종업원 교회 전도사 시무
숭실고등학교 교목 역임
왕십리 성은 교회 5년 시무
1962년부터 1987년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과 목회학 교수(명예 교수)
총회 교육 연구위원장 2년, 총무 7년 봉직
기독신보 증설위원 역임
학생신앙운동 전문지도 위원
갈보리 교회 개척 설립
주일학교 유년부 중 고등부 공과 집필
교사의 벗 발행인
비블리칼 목회 연구원 원장
<저서>
중고등학교 성경 교과서(바울전), 인간발달과 연구 지침, 목사와 기독교 교육, 청소년 교육, 주일학교 청정, 목회상담, 목사학(1973), 종교 심리학(1973), 기독교 교육 원론, 등 16권
송산(松山) 김득룡 박사에 대하여 평하기를 그의 제자인 한춘기 교수(총신대)는 그가 개혁신학에 입각한 기독교교육이론을 정립하고 이에 기초해 다양한 교재를 저술했으며, 총신대학에 일찍이 기독교교육학과를 설립한 공로 등을 들어 한국 개혁주의 기독교교육학의 선구자로 보았다. 한 교수는 송산의 교육철학이 갖는 특징으로 성경무오설에 근거한 개혁주의신학과 맥을 같이 하며, 복음주의 학자 번(H.W.Byrne)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교육의 본질에 대해서도 일치점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곧 기독교교육이 하나님의 계시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기독교세계관의 결과라는 점,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균형잡힌 기능이란 점, 포괄성의 관점으로 기독교교육을 이해해야 한다.
37. 김길현 목사(1925년-2008년 2월 6일)
증경총회장(제72회) 김길현 목사(광주노회 공로목사: 광주하영교회 원로)가 2월 6일 광주기독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1925년 전남 무안 출신으로 총신 2회 졸업 후 목포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디.
화산연정교회 남평교회 영산포교회 광주대성교회 등에서 시무하였다.
제72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과 전남노회장, 보수교단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그는 광주신학교 설립자로 교장과 이사장을 지냈으며, 페이스신학교에서 목회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바 있다.
38. 최훈 목사(1926년 9월 26일-2008년 4월 29일) 약력
1926년 9월 26일 평남 평양에서 출생
1955년 6월 고려 신학교 졸업
부산 영주동 교회 창립 5년간 시무
1960년 3월 숭실대학교 문과대 사학과 졸업
서울 충현 교회 5년간 시무(김창인 목사와 협동)
1960년 10월 동도 교회 취임
1968년 8월 성지 순례 및 구미 시찰
1970년 4월 칼빈신학교(현 칼빈대학교) 이사
1973년 2월 연세대 교육대학원
1974년 2월 세계 복음 전도대회 한국대표(스위스)
1977년 칼빈신학교 이사장
1984년 예장 총회 제69회 총회장과 증경총회장단 회장도 역임
1994년 동도교회 원로 목사 추대(35년간 시무)
1996년 한국기독교총연합회 제5대 대표회장 역임
한국 교역자 협의회회장
서울교역자연합회회장
한국기독교 백주년기념사업회 사무총장
칼빈신학대학 이사장
숭전대학 숭목회 회장
세계기독교 호교 반공연합회 한국연맹지회장
한국외항선교회 이사장
한국나환자 선교회 이사장
한국기독교교역자 협의회 회장
총신대학교 실행이사 역임
칼빈대학교 강사
숭실대학교 강사
2008년 4월 29일 소천
저서:
설교집: 복된 삶, 서울: 성광문화사, 1979(1976)
참된 삶(요약 설교 2집), 서울: 성광문화사, 1985(1979)
빛된 삶(요약 설교3집), 서울: 성광문화사, 1983.
바른 삶, 서울: 성광문화사, 1985.
값진 삶, 서울: 성광문화사, 1987.
구원론(로마서 강해설교), 서울: 성광문화사, 1990(1984).
인생론(전도서 강해 설교집), 1987(1982)
데살로니가 전서 강해설교집, 서울: 성광문화사, 1994(1982)
갈라디아서 강해, 서울: 성광문화사, 1887(1985)
[한국 재건교회사(한국교회 박해사)], (서울: 성광문화사), 1978.
[성경의 권위]
교안: 기독교 종말론, 기독교 성장론, 사모론
논 문: 이조시대의 대동법
39. 이진태 박사(1931년-2007년 2월 28일)
총신대 구약학 조교수를 역임하고 총회개혁신학연구원 원장을 지낸 이진태 박사가 2007년 2월 28일 소천했다.
그는 향년 76세로 사인은 폐렴으로 알려졌다. 유족은 김희선 사모와 현아 인아씨가 있다.
이진태 목사는 후학 양성에 평생을 바쳐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목사는 서울대학교 문리대학을 졸업하고 총신대학 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 Calvin 신학교와 미국 Brandeis University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미국 나성한미교회 담임목사를 시무하고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와 총신대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쳤다.
1987년부터 2000년까지 총회개혁신학연구원 원장으로 봉사하기도 했다.
39. 김진택(1932년 3월 7일-2003년 12월 2일) 목사님
경북 군위 출생(1932년 3월 7일)
계명대학교 철학과 졸업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김영숙 사모와의 결혼(1957년 11월)
목사 안수(1963년 10월)
대구 서문교회, 왕십리 교회(부 목사)
대구서성로 교회, 상주 제일 교회(담임 목사)
한성 교회 담임목사(1973-1993)
한성 교회 원로목사
남서울 노회장 역임
총회 학생지도부장
총신대 신대원 출강(30여년)
총회 장년 공과 집필
청소년 전도협회 창립(1994년 1월)
투병(2002년 1월-2003년 11월)
소천 2003년 12월 2일 오후 6시 5분
슬하에 2남 3녀
설교집: 성경장별 설교집(시리즈)
귀중한 유산, 젊은 날의 은총, 성경의 젊은 이들, 시편의 묵상, 마가복음의 예수님,
잠잠하지 말라 (2. 오늘의 말씀), 서울: 문서선교 백향문, 1991.
주교 전도학, 조직신학.
40. 고 정양수 목사(1932년 3월 15일생- 미상)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총회신학교 졸업
미주 뉴월드 신학대학원 신학박사 취득
서울 중량교 교회 설립(원로 목사)
대한에수교장로회 부흥사협의회 부회장
대한예수교장로회 황해노회장 역임
한서 노회노회장 역임
저서
기적을 낳자
갈멜산의 소나기(1977) 1985(중판), 보이스사 출판사.
사명의 사람
갑절로 부흥하는 교회
불로 응답하시는 하나님
내가 남길 유산
때를 아는 지혜
환난 날에 사는 길
부흥의 역사
날로 새로와지는 생활
성막과 교회(성경공부 교안)
요약 설교 제1권
요약 설교 제2권
요약 설교 제3권
계시록 강해설교(상)
계시록 강해설교(하)
야고보서 강해설교
에베소서 강해설교
41. 신세원 목사(1935년-생존)
경북 의성 출생
의성 중학교
안동 고등학교
대구대학교 사범대학(정박아지도교육전공)
장로회총회신학교 예과(총신대학교 신학과)
장로회 총회신학교 본과(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장로회 총회신학교 대학원(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국 풀러 신학대학원(목회학 박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제82회 총회장
총신대학교 재단이사장
총회 목회대학원 원장
서울 창신교회 원로 목사
총신대학교 문소 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