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한국의 찬송가 역사의 간략한 소개 [한국교회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회사] 한국의 찬송가 역사의 간략한 소개 [한국교회사]


분류: 교회사- 한국교회사

===============================================



(*중국선교공회 홈에서 요약한 한국교회 찬송가별 소개 요약)
----------------------------------------------------------

한국개신교 찬송가의 발행및 분열과 통합


1. 초창기의 찬송가

한국개신교 최초의 찬송가는 감리교에서 1892년 존스와일러가 공편한 <찬미가> 수형본으로 보급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894년 장로교에서 <찬양가>가 언더우드에 의하여 일본 요코하마에서 인쇄되어 출판 되었다.

<찬양가>는 감리교에서 사용을 거절하였고, 1896년 아펜젤러와 존스가 공동편집하여 새로운 <찬미가>를 발행하였다.
1895년에 찬성시가 발행되어 북쪽 장로교에서 사용되었다.



2. 장로교와 감리교의 최초 통합 찬송가

1908년 장로교와 감리교가 연합하여 <찬송가>를 출판하게 되었다.



3. 장로교와 감리교의 찬송가 분열

장로교 총회는 1928년에 발행된 <신정찬송가>를 총회와 협의하지 않고 출판하였다는것과 교열이 없어다는 이유로 사용을 거절 하였으며 1935년에 <신편찬송가>가 발행되었다.

성결교는 1911년 [복음가]를 출판하였고, 1930년에는 다시30여곡을 증보하여 부흥성가를 출판하여 사용하였다.

부흥성가는 표준 찬송가보다 복음가를 위주로하여 편찬된 찬송가라고<부흥성가>서문에서 밝히고있다.



4. <합동찬송가> 발행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의 찬송가를 통합한 <합동 찬송가>가 1949년에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의 세교파가 찬송가의 통합에 합의하였다.


5. <개편찬송가>

개신교의 부흥과 성숙에 따라서 교회는 [합동찬송가]개편의 필요성을느껴 1963년 3월 5일에 합동찬송가 위원회는 [합동찬송가]개편작업에 착수하였다.
1967년에는 <개편찬송가>가 나왔다.


6. <새 찬송가>

고려파 총회와 합동파 총회의 찬송가 편찬사업을 벌이던중 1960년 12월13일 두총회가 합동을 보게 되었고 그 기념사업의 하나로서 1962년에 [새찬송가]를 편찬하게 되었다.


7.<통일 찬송가> 발행

1977년 2월 3일 찬송가 위원회와 합동 추진 위원회는 위원을 구성하고 제 11회 찬송가 통일 위원회를 발족 시켰다.
1982년에 발행을 예정하였으나 여러가지이유를 들어 지연되었다가 1983년에
발행되었다.


8, <찬송가> 발행

예수교 장로회 한국총공회 에서는 <새찬송가>를 사용하다가 1987년에 <찬송가>를 새로이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를 <찬송가> 서문으로 대신한다.

<서문>
우리 믿는 성도에게 성경 다음으로 중요한 찬송가가 출간될 때마다 소원과는 달리 계속 변경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책은 신편, 합동, 새찬송가, 개편, 통일찬송가 등으로 복잡하게 되어 있다.
그 중에는 이미 우리 입에 익은 좋은 가사들의 변경으로 생소함과 혼잡, 또 신조와 교리상 맞지 않는것 등이 있어 총공회 소속 교회와 교우들의 분분한 말들과 예배시 많은 불편을 겪어 왔다.

이런 가운데 이제 까지 우리가 늘 불러오던 찬송중 성경에 맞고 가까운 가사의 곡과 우리의 현실 생활에서 은혜가 되고 신앙에 도움이 되는 찬송들을 각 찬송가에서 뽑아 예배 찬송으로 하는 것이 편리하겠다고 전 교회와 교인들이 원하여 왔다.

이래서 이 후 단일의 완전한 찬송가가 나올 때 까지 예배의 편의를 위해 임시본을 비매품으로 발간을 하되 그 비용은 독지가들의 찬조금으로 하고 각 교회에 나누어 자기 교인에게만 무료로 주어 사용하기로 한 책임을 알려드리는 바이다.

주후 1987년 4월
예수교 장로회 한국 총공회
찬송가 편찬위원회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