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김석준목사님의 <체계신앙신학 - 차례>
+ 2
page01.hwp (34.4K)
이 름 궁극교회 날 짜 2003/12/18 (09:15:53) 홈페이지 번 호 5 조 회 137
제 목 체계신앙신학이란?
본 교재는 고 김석준목사님께서 대동신학교에서의 강의내용을 필기한 후에 정리한 것으로, 론적인 면에서 학적으로 접근하는 기존신학의 연구방식이 아닌 하나님과 인간과의 인격적 관계 면을 다루었습니다.
따라서 본 교재는 기존의 신학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하나님의 의지세계에서부터의 당신의 택자들을 향한 영원하고 궁극적인 뜻과 목적 하에서의 하나님과 성도들과의 인격적 관계적 성분적인 면에서 바른 관계를 가짐으로 해서 하나님께서 만세 전에 당신의 자녀들에게 예비하신 하나님의 인격과 성품을 덧입어 궁극적 그 세계에서의 풍성한 미래를 온전히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인도하는데 중점을 둠으로써 성도들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믿음의 효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궁극교회에 대해 소개하는 방입니다.
궁극교회는?
기독교 7대 기본교리에 근거한 내세복음주의 신앙을 추구하는 교회입니다.
궁극교회란?
하나님께서 영원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로 통해 당신의 택자들에게 주기로 예비하신 궁극의 그 세계(천국)를 하나님처럼 마음껏 다스리고 누릴 수 있는 영능의 실력을 이 땅에 사는 동안 각자에게 주신 환경 가운데서 철저히 준비하는 신앙노선의 교회라는 의미입니다.
담임교역자: 김경형목사
주 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 319번지 신일아파트 상가 302호.
전 화: 교 회 031-207-5159 HP:011-9886-5159
전도부 031-395-7283
E-MAIL: ddlc@chol.com
홈페이지 주소:http://909.mchol.com 또는 http://user.chollian.net/~ddlc
본 사이트 제작 및 운영: 이광희(궁극교회 전도부 집사)
==============================================================================
차 례
체계 신앙 신학 5
서론 5
제1장 신관(神觀) 7
제一절 신 자체적 존재적 실유(神 自體的 存在的 實有) 7
一. 신은 비물질적인 존재다. 7
1. 신은 무형체(無形體)의 존재다. 7
2. 신은 비시공간적(非時空間的)인 존재다. 8
3. 신은 자존적(自存的)인 존재다. 8
4. 신은 실존적(實存的)인 존재다. 8
5. 신은 생존자(生存者)다. 8
二. 신의 인격성(人格性) 8
1. 지혜 지식성 9
(1) 지식성 9
(2) 지혜성 9
2. 도덕성 10
(1) 선(善) 10
(2) 사랑 10
(3) 거룩 11
(4) 진실 11
3. 능력성 12
(1) 주권적 능력 12
(2) 의적(義的)인 능력 12
(3) 창조적 능력 13
? 신령계를 창조하신 능력(골 1:16) 13
? 물질계를 창조하신 능력 14
(4) 통치적 능력(섭리적 능력) 15
? 신령계를 통치하는 능력 16
? 물질계를 통치하는 능력 17
제二절 신의 본질과 본성 17
一. 신의 본질과 본성적 소원 18
1. 인간에 대한 본질적 소원 18
2. 인간에 대한 본성적 소원 18
3. 하나님의 소원을 입는 방편 19
二. 신의 본질과 본성의 특성 19
1. 비 타협성 19
2. 비 혼합적 특수성 19
3. 신의 속성의 특수성 19
(1) 활동적인 면에서 완전이다 20
제2장 천국관(天國觀) 23
서론 24
제一절 존재 면에서 천국 25
1. 신령적인 것만 존재하는 곳 26
2. 물질적 유형적인 것은 존재치 않는다. 27
3. 이질적(異質的)인 것은 존재치 않는다. 29
제二절 성질적인 면에서의 천국 30
1. 단일성적 천국 30
(1) 의사적 단일 31
(2) 쾌락적 단일성 31
(3) 향락적 단일이다 32
(4) 능력적 단일이다 32
(5) 생명적 단일이다 32
(6) 사랑이 충만한 곳 33
제三절 능력적인 면에서 천국 33
1. 지식적 능력 34
2. 기능적 능력의 세계 35
3. 사용적 능력(기능)의 세계 36
4. 활용적 활동적 능력의 세계 36
제四절 통치적인 면에서 천국 37
1. 천국은 독권정치 37
2. 주권적 통치 39
3. 진리적 선적 통치의 나라 39
4. 자유적 통치성 40
참고 자료 41
제3장 인관(人觀) 47
제一절 대신(對神)관계 47
一. 인간은 신의 대 선택의 목적물로 지음 받았다. 48
1. 인간 창조의 동기 (천국) 50
2. 인간 창조의 원인 (사랑) 50
3. 지으신 목적 (천국의 누림) 51
二. 신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 53
1. 신령계와 물질계를 정복하고 통치할 수 있는 존재로 지었다. 54
2. 신령계와 물질계를 누릴 수 있는 존재로 지었다. 55
3. 신령체와 물질계를 감성할 수 있는 존재로 지었다. 55
三. 신의 인격의 대상자로 지음 받았다. 55
1. 사랑의 대상자로 삼음. 56
2. 사랑의 대상자 57
3. 하나님의 특수적 사랑의 대상자 57
4. 우리 인간은 하나님을 떠나서는 안 된다 58
제二절 영과 육이 결합된 존재인 인간 58
一. 육, 육신(σ?μα) 60
二. 영(靈, πνε?μα) 61
1. 타락 이전의 영 62
2. 타락 이후의 영 63
3. 중생된 영 64
4. 성장된 영(성장되어 가는 영) 65
제三절 인간은 영원한 존재 65
1. 인간의 육체 66
2. 물질의 소유와 물질적인 소유는 다 임시다. 67
3. 참 인간인 영은 인격자로 실유자로 영 혹은 실체로 영원한 존재이다. 68
제四절 인간은 성장하는 존재이다. 71
1. 물질로 성장하는 인간 71
2. 지능적인 면이 성장하는 인간 72
3. 죄악적으로 성장하는 인간 72
4, 신의 성품으로 성장하는 인간 74
제五절 의무성과 책임성과 심판성이 있는 존재인 인간이다. 75
一. 법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76
1. 하나님에게 대한 자신의 의무 76
(1) 하나님을 공경하는 것 78
(2) 형제에게 대한 의무 80
(3) 타(他)에 대한 의무 81
2. 책임성 81
(1) 인격자인 인간으로서 자기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책임성 83
(2) 만물의 은복(恩福)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84
(3) 인간에 대한, 형제에 대한 자기의 책임 84
(4) 하나님의 구원사역(救援使役)에 대한 책임 85
(5) 인격자로 자기가 해야 할 책임(자유 활동자로서의 책임) 87
제4장 세상관(世上觀 - 세계관이 아님) 89
제一절 용어와 명칭 91
一. 유한한 인간이 사용하는 명칭 91
제二절 조물주의 세상 창조의 목적 94
一. 창조설 94
1. 자연발생설 95
2. 변화 진보설 95
3. 하나님께서 창조했다는 설 96
4. 무목적 창조설 97
(1) 영원 보존설을 주장하면 무목적설이 된다. 99
(2) 자연발생설을 주장하면 무목적설이 된다. 100
(3) 변화 진보설을 주장하면 무목적설이 된다. 100
5. 하나님 자신에게 절대 필요해서 창조했다는 설 101
6. 하나님 자신이 사용하시기에 필요해서 창조했다는 설. 102
7. 神 자신의 영광을 위해서 필요했다는 설 103
8. 神 자신의 능력과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세상을 창조했다는 설 104
9. 상대적인 세상을 위해서 창조된 세상이라는 설 105
10. 무형의 세상은 유형의 세상을 위해서 지었다는 설 105
11. 인간(택자)의 구원을 위해서 창조하신 것이다. 106
(1) 인간은 인격자인고로 구원을 위해 세상이 필요했다. 108
(2) 인격의 세계에서는 차등이 있어야 인격의 가치가 난다. 109
(3) 하나님의 절대 공평성 때문에 이 세상을 창조하신 것이다. 111
(4) 절대적 공평성 때문에 112
(5) 각 개인의 차등은 각 개인이 책임을 진다. 118
제三절 神의 피조(被造)의 실유성(實有性) 118
一. 가견적 실유성 119
1. 비생물적(非生物的) 실유성(단순 물체) 120
2. 비감각적 생물적 실유성(대개는 식물성) 120
3. 감각적 비인격적 생물적 실유성(동물성) 121
4. 감각적 인격적 생물적 실유성 123
二. 인간에 의해 개조된 유형적 실유성 126
1. 건설적인 실유성 129
2. 예술적 개조성 131
3. 과학적인 세상 131
三. 인간에 의해서 생겨진 무형의 실유성(무형적인 세상-요일 2:15) 131
1. 인인관계 135
2. 계급 136
3. 명예 137
4. 권세(엡 6:12, 고전 15:24) 138
四. 악령이 존재하는 세상 141
1. 이 악령은 나와 가장 가까이 있음을 알라(창 4:7) 145
2. 항상 미혹하고 유혹하고 있다. 146
3. 이 세상은 악령에게 내어 준 세상이라고 하나님께서 말씀 하셨다. 146
제5장 계시관(啓示觀) 149
제一절 서론 152
제二절 계시의 원인과 동기와 목적 154
1. 계시의 원인 (하나님의 인격) 155
2. 계시의 동기 (천국) 157
3. 계시의 목적 (천국의 누림) 158
(1) 하나님이 우리에게 계시하신 목적이 단순히 하나님 자신을 우리 인간들에게 알려 주실 목적인가? 158
(2) 계시의 목적은 하나님의 사랑을 영원히 받게 하려함임. 159
(3) 신령계를 영원히 누리게 하는 것이 계시의 목적이다. 160
4. 계시의 필요성 161
(1) 무지한 인간에게 계시할 필요성 162
(2) 무형의 신에 대해 계시할 필요성 166
(3) 무형적 신령계에 대해 계시할 필요성 168
(4) 역사(歷史)세계의 사건 속에서 성화구원의 필요성 169
(5) 歷史세계의 존재 속에서 성화구원의 필요성 170
(6) 불완전한 인간이 신의 완전의 수준에 도달함에 필요성 170
제三절 啓示의 구별 171
一. 特別啓示 172
1. 하나님께서 직접 말씀했다. 172
2. 사람이나 천사나 타 존재를 통해서 말씀했다. 173
3. 성문계시와 보존 174
(1) 사건의 지식 보존 176
(2) 입으로, 말씀으로 했다. 177
(3) 기록된 문서의 보존 178
4. 특별계시 선포기간 179
(1) 이 특별계시는 구약과 신약을 말한다. 179
(2) 기록하기 전에도 이는 특별계시였다. 179
(3) 에덴동산에서부터 사도시대까지 180
5. 특별계시 유효기간 181
(1) 개인적 제한 182
(2) 전 인류에게 유한된(제한된) 유효기간 182
6. 특별계시의 결과 182
二. 성경 183
1.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184
(1) 하나님께서 직접하신 말씀 185
(2) 행동으로 하신 말씀 185
(3) 이력으로 하신 말씀 186
2. 성경의 기록 187
3. 특수인에 의하여 기록되었다. 188
(1) 선지자 혹은 선견자를 통해서 기록했다. 189
(2) 사도와 종들을 통하여 기록했다. 190
(3) 하나님의 의사를 전달하고 있거나 할 수 있는 사람 191
(4) 하나님으로부터 기록영감의 감화 감동을 받은 자. 193
(5) 기록영감의 감화(특수감화) 193
4. 계시목적에 의한 활동영감의 감화에 의한 것만 기록 194
(1) 하나님의 선출방법 194
(2) 인지(認智) 선출방법 195
5. 성경의 내용 196
1) 역사성 196
2) 제사 절기 예배 197
3) 율법 198
4) 시가(時歌) 199
5) 예언(豫言) 200
(1) 역사적인 면에서 예언 201
(2) 구원적 예언 202
(3) 성경 전체의 예언성 203
6) 복음 203
7) 서한(혹은 書信) 204
8) 묵시(?示, 啓示) 206
6. 성경은 여러 사람에 의해서 기록되었다. 206
7. 성경은 여러 사람에 의해서 기록되었으나 한 분의 말이다. 208
8. 성경기록 기간의 유한성 209
(1) 성경을 기록한 사람들과 성경을 위해 동원된 사람들 210
(2) 성경을 기록한 시간과 성경을 기록하기 위해 동원된 사건들 211
三. 일반계시(一般啓示) 211
(1) 일반적으로 주신 계시 212
(2) 일반에게 주신 계시 213
1. 자연계시(自然啓示) 213
(1) 불변적 자연법칙으로 주시는 일반계시 214
(2) 존재적으로 주시는 일반계시 215
(3) 歷史的 사변으로 주시는 일반계시 216
2. 超自然啓示 217
(1) 보편적으로 고정된 자연법칙대로 활동하고 있다. 218
(2) 자연적 특별계시 219
(3) 초자연적 일반계시 220
(4) 초자연적 일반계시의 계속성 220
제四절 계시의 방편 221
1. 하나님께서 직접 계시했다. 221
2. 하나님께서 천사를 통해 계시했다. 221
3. 동물을 통하여 222
4. 사람을 통하여 222
5. 자연을 통하여 222
제五절 계시의 종별 222
1. 특별계시의 종별 223
(1) 역사계시 223
(2) 형식(型式) 혹은 모형(模形)계시 224
(3) 상징계시(象徵啓示) 225
(4) 영적 계시(靈的 啓示) 226
(5) 은밀계시(隱密啓示) 227
(6) 의지계시(意志啓示) 228
제6장 선악관(善惡觀) 229
Ⅰ. 서론 229
Ⅱ. 선관 229
제一절 선의 개념(혹은 개관) 230
1. 선의 용어 231
2. 선이란 인격자에게만 사용된다. 232
3. 상대적 선과 성격적 선 233
제二절 근원적 선(根源的 善) 234
1. 선의 근원은 하나님이시다. 236
2. 활동적 선 237
제三절 영항적 선(永恒的 善) 238
1. 영원히 선하고 239
2. 항상 선(恒常 善) 240
3. 누구에게도 선이다. 242
제四절 목적적 선 242
제五절 연합 연관적 피동적 선 242
제六절 인적인 선 243
제7장 기독관(基督觀) 245
Ⅰ. 서론 245
(1) 존재적 기준적 기독론(조건적 자격자 그리스도) 245
(2) 그리스도이신 예수 246
(3) 객관적 상대적 기독론 246
Ⅱ. 본론 247
1. 인간과 기본 관계적 기독관(예정적 설계적 관계) 248
2. 예수 그리스도와 상대적 일반적 관계성 249
3. 예수 그리스도와 특수적 일방적 관계 250
4. 인간과 상호 유기적 관계 252
제一절 비물질적 무형적 기독 252
1. 기독의 존재 254
(1) 자존하신 그리스도 256
(2) 영원하신 그리스도 257
(3) 무한하신 그리스도 258
(4) 완전하신 그리스도 259
(5) 인격적인 그리스도 260
2. 그리스도의 성격 260
(1) 그리스도의 본질은 진리 264
(2) 그리스도의 본성 266
(3) 그리스도의 본분 267
(4) 그리스도의 활동과 죽음 269
(5) 죽으심의 희생 269
(6) 그리스도의 본능(본권) 272
3. 무형의 그리스도의 무형적 활동성 273
1)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로 선택하심(구원이라는 사건을 선택) 275
2) 그리스도로 예정하시고 277
3) 그리스도로 계획하시고 279
(1) 그리스도로 계획했다. 280
(2) 그리스도로 통한 계획성 281
4) 그리스도로 설계하시고 282
5) 그리스도로 창조하시고 284
(1) 무형체로서 무형물들을 창조 287
(2) 비물질적인 무형적인 그리스도가 물질계를 창조 288
제二절 비물질적 무형성으로 사역하신 그리스도 289
1. 모형적으로 계시하신 그리스도 290
(1) 신랑과 신부로 계시하신 그리스도 291
(2) 왕과 백성으로 계시하신 그리스도 292
(3) 구속의 양으로 계시하신 그리스도 294
(4) 순종의 아들로 계시하신 그리스도 294
2. 무형의 그리스도께서 유형성으로 활동하신 그리스도 297
1) 심판성으로 활동하신 그리스도 298
2) 선지자들을 통하여 활동하신 그리스도 301
(1) 주로 선지자들의 입을 통하여 많은 말을 했다. 302
(2) 행동과 생활로 하신 말씀 302
3) 제사장들을 통하여 활동하신 그리스도 303
4) 초자연적으로 가식성으로 그리스도는 활동을 했다. 304
3. 우리에게 오시기로 약속하신 그리스도 305
1) 현재적으로 나에게 오시기를 원해서 약속하신 그리스도 306
2) 메시아로 오셔서 해방시켜 주기로 원하시는 그리스도 306
(1) 메시아는 우리의 영을 죄와 사망의 속박에서 해방시켜 주셨다. 307
(2) 육적인 이스라엘이 육적으로 속박되었을 때 해방시켜 주셨던 것이다. 308
(3) 메시아로 성육신으로 오셔서 과거에 있었던 백성들의 영의 해방도 동시에 하신 것이다. 309
(4) 현실에서 우리의 이성과 몸이 죄의 노예 혹은 병기로 쓰여지고 있는 것을 해방시켜 주겠다는 약속이다. 309
(5) 속죄주로 오셔서 사죄케 하겠다. 309
(6) 구세주로 오셔서 살려 주시겠다는 말이다. 309
제三절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물질과 결합하신 그리스도) 310
1. 성육신하실 필요성 310
(1) 대형적으로 필요성 311
(2) 대행적으로 필요성 312
(3) 중보로서의 필요성 312
(4) 계시적 교훈적 목적의 필요성(실천교훈) 313
2. 일반적인 인간으로서 활동하신 그리스도 314
(1) 인간으로 탄생하신 그리스도 316
(2) 인간으로서 생활하신 그리스도 316
(3) 인간으로서 법을 완성하신 그리스도 318
3. 자원적 사명적 사역적인 그리스도 319
4. 공적 사명적 그리스도 319
(1) 승리하신 그리스도 321
(2) 위법 같으나 준법생활하신 그리스도 323
(3) 대형자 그리스도 324
(4) 대행자 그리스도 326
(5) 중보자 그리스도 327
제四절 부활하신 예수님 328
1. 죽음 혹은 죽다(명사, 동사) 330
(1) 사망(死亡) 331
(2) 인간의 죽음 332
(3) 그리스도의 죽음은 자신의 원죄가 아니다. 332
(4) 사망계(死亡界)를 정복하기 위하여 333
(5) 부활을 위한 그리스도의 죽음 333
2. 부활(復活) 333
(1) 그리스도의 부활의 필요성 334
(2) 부활의 성질 334
(3) 부활의 교훈 334
제五절 승천 334
1. 승천(昇天)의 의의(義意) 337
2. 승천(昇天)의 목적(目的) 338
3. 승천(昇天)의 교훈(敎訓) 340
제六절 재림하실 그리스도 345
1. 우리를 부활시키러 오신다. 346
(1) 재림주는 부활한 그리스도로 오신다. 347
(2) 부활의 권능을 가지고 오신다. 347
(3) 만인에게 동시성으로 오신다. 348
(4) 우리를 부활 변화시킨다. 349
2. 공중에 있는 마귀를 지상으로 내려 쫓으심 350
1) 지상권과 공중권을 잡은 마귀들(절대권으로 준 것이 아님) 353
2) 지상권만 장악하게 된다. 355
(1) 계시적으로 믿을 것 355
(2) 역사적으로 믿을 것 356
3) 신령계는 유린하지 못한다. 356
3. 성도와 혼인 잔치하러 오실 그리스도 357
(1) 우리는 구름 속으로 올라가서 신랑을 만난다. 358
(2) 공중에서 잔치함(살전 4:17) 360
(3) 모든 영물이 지켜보는 가운데서 혼인 잔치한다. 361
4. 세상을 심판하실 그리스도 363
1) 진가(眞假)의 심판 363
2) 강약(强弱)의 심판 364
3) 선악(善惡)에 대해 심판 365
4) 생사(生死)의 심판(審判) 366
(1) 존재적으로 생사에 대해 심판하신다. 367
(2) 성질적(性質的)으로 생사(生死)의 심판(審判) 367
5) 소속의 심판 368
6) 파멸적(破滅的) 파괴적(破壞的) 심판 혹은 세상을 완전심판 368
제七절 지상에서 천년(千年)동안 우리와 동거(同居)하실 그리스도 370
1. 부활체(復活體)로 동거(同居)하심 371
2. 비부활체(非復活)들을 통치(統治)하면서 371
3. 물질계(物質界)를 사용(使用)하면서 그리스도와 동거(同居) 373
4. 王과 王으로서 동거생활(同居生活) 373
5. 마귀는 무저갱에 가두고 373
6. 신랑(新郞)과 신부(新婦)로서 同居함 374
7. 영원(永遠)히 우리와 同居하실 그리스도 374
(1) 同居할 장소(場所)는 신천신지(新天新地)(계 21:1) 375
(2) 그리스도와 직접 수수관계 376
(3) 그리스도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수관계로 동거함 377
(4) 그리스도로 통하여 우리는 활동함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