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 계보 파악 연구...[1]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장로교 계보 파악 연구...[1]


韓國 長老敎 分列現況 調査



























鄭 丙 準




Ⅰ. 한국 장로교회의 공통의 역사 1

Ⅱ. 고신과 재건파의 전통을 가진 교단 2
1. 대한예수교장로회(高神) 3
2. 대한예수교장로회(契神) 4
3. 대한예수교장로회(반고소 고려) 4
4. 대한예수교개혁장로교총회(高麗派) 4
5. 대한예수교장로교총회(합동장신) 5
6. 대한예수교장로회(再建) 5
7. 대한예수교장로회(純長) 6

Ⅲ. 독노회 전통을 가진 교단 7
8. 대한예수교장로회(獨老會1) 7
9. 대한예수교장로회(獨老會2) 7
10. 대한예수교장로회 (東神) 7
11. 대한예수교장로회 (保守1) 8
12. 대한예수교장로회 (保守2) 8

Ⅳ. 기독교장로회 8
13. 한국기독교장로회 8

Ⅴ. 통합교단 9
14. 대한예수교장로회(統合) 9

Ⅵ. 합동교단 10
15.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 10

Ⅶ. ICCC와 관계를 맺었던 교단 11
16. 대한예수교장로회(大神1) 11
17. 대한예수교장로회(大神2) 12
18. 대한예수교장로회(護憲) 12
19. 대한예수교장로회(환원) 13
20.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還元) 13
21. 대한예수교장로회(法統) 13
22. 대한예수교장로회(長神) 14

Ⅷ. 합동의 분열(1979) 이후에 비주류 계열의 교단들 14
23. 대한예수교장로회(改革1) 15
24. 대한예수교장로회(改革2) 15
25.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合同1) 16
26.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合同 2) 16
27.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합동3) 16
28.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성회) 17
29.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1) 17
30.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2) 17
31.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3) 17
32.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4) 17
33.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改革) 18
34.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眞理) 18
35.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神1) 18
36.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神2) 18
37.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正統) 19
38.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19
39. 대한예수교장로회(福音1) 20
40.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보) 20

Ⅸ. 중앙교단에서 비롯된 교단 20
41.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中央) 20
42. 대한예수교장로회(中央) 21
43.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統合) 21
44. 대한예수교장로회 女牧 총회 21
45. 대한예수교장로회 聯合女牧 총회 22

Ⅹ. 근본주의에서 비롯된 교단 23
46. 대한 예수교 장로회(근본1) 23
47. 대한예수교장로회(근본2) 23

?. 보수교단에서 비롯된 교단 23
48.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측) 23
49.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23
50. 대한예수교장로회(聖合側) 24

?. 기타교단들 24
51.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改革) 24
52. 대한예수교장로회(聯合側) 24
53. 대한예수교장로회(聯合) 25
54. 대한예수교장로회(로고스) 25
55. 대한예수교장로회(정립) 25
56.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보수) 25
57. 대한예수교장로회(綜合) 26
58. 대한예수교장로회(협동) 26
59.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聯) 26
60. 대한예수교장로회(中立) 26
61. 대한예수교장로회(正統總合) 27
6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총회) 27
63. 대한예수교장로회(讚揚) 27
64. 대한예수교장로회(平合) 27
65.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음) 27
66.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藝總1) 27
67.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藝總2) 28
68. 대한예수교장로회(革新) 28
69.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합동1) 28
70.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합동2) 28
71.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합동3) 29
72. 대한예수교장로회(남북) 29
73. 대한예수교장로회(대한신측) 29
74.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정통) 29
75.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측2) 28
76. 대한예수교장로회(선교) 29
77. 대한예수교장로회(연신) 29
78.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29
79. 대한예수교장로회(정통계승) 29
80.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 29
8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2) 29
8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보수) 30
83. 대한예수교장로회(평안1) 30
84. 대한예수교장로회(평안2) 30
85. 대한예수교장로회(한국보수) 30
86.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경성) 30
87.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교1) 30
88.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교2) 30
89.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목) 30
90.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연합) 30
9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선) 30
9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총) 30
93.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정신) 31
94.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립) 31
95.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통합) 31
96.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2) 31
97.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3) 31


















Ⅰ. 한국장로교회의 공통의 역사

1884년 9월20일 미 북장로교회 알렌(Horace N. Allen) 선교사가 내한. 의료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와 별도로 만주에서 영국의 매킨타이어 선교사와 함께 성서의 한글번역에 참여했던 서상륜?백홍준 등이 귀국, 의주와 소래 지역에 선교함으로 한국인 자생 장로교회가 1884년을 전후해서 비롯되었다. 이어 1885년 복음 선교사 언더우드가 도착했고 1889년에는 오스트리아 장로회, 1982년 미 남장로교회와 뒤이어 캐나다 장로회(1898)가 각각 한국선교를 시작했다.
1893년 장로교 선교 공의회를 조직했고, 1901년 평양신학교를 개설했다. 이어 1907년 한국에서 대부흥운동이 전개되던 때 미 남북장로교회, 캐나다 선교회. 호주장로교회의 4파선교사들이 모여 조선 예수교 장로회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한국장로교의 7인 목사를 배출하였다. 1912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구성하고 중국에 3인의 선교사를 파송했다. 1921년 기독교 청년 면려회를 조직했고 1928년 여전도회총회를 조직했다.
일제말기 지속적인 교회 탄압과 신사참배강요로 교회는 흔들렸다. 1938년 9월 9일 제27회 총회가 신사참배를 가결하였다. 이것은 길지 않은 한국교회사 안에서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이다. 이에 반대하는 목회자들과 성도들은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전개하여 투옥되거나 순교하였다. 1941년 대부분의 선교사가 추방되었고 1943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가 해체되어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으로 흡수되었다. 해방 후 남북이 분단되어 북의 교회는 공산정권아래서 소멸되어갔고 남한의 장로교회는 46년 남부총회로 재건하고 이 총회는 27회 총회의 신사참배 결의를 취소하는 등의 명실공히 장로교 교단을 복구하게 되었다. 남북통일의 전망이 희미해지고 북한에서 많은 교인들이 남으로 내려옴에 따라 1947년 4월 대구 총회는 1942년 해체된 31차 총회를 계승하는 의미로 제33차 총회로 개최하였다. 1949년 4월 대구총회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를 대한예수교장로회로 개칭하였다.
그러나 그후 한국장로교회는 엄청난 성장을 하였다. 한국교회의 성장에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 첫째와 둘째는 비신학적 이유이다. 한국의 선교는 제국주의자들이나 식민지의 부과물로 전해진 것이 아니다. 둘째, 개신교는 한국의 종교와 문화가 붕괴되어 있는 상황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이었던 이유는 네비우스 선교정책이었다. 넷째, 전도의 주도권이 한국인에게 있었다. 다섯째 신앙인들의 영적 기초가 튼튼했다. 개인의 영적 훈련과 전도의 열정이 강하였다. 여섯째 이유는 기도이다. 한국교회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새벽기도이다. 일곱째 이유는 역사적으로 성경공부의 강조이다.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싶은 것은 한국교회는 전도와 사회적 실천을 양분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편 그 성장의 그늘에는 현재 엄청난 교단분열이라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그 분열의 이유는 크게는 신사참배의 후유증으로 고신파와 재건파가 분열되었고, 일제시대부터 나타난 보수와 진보신학의 대립으로 기장이 분열하였고, 에큐메니칼 운동의 지지자와 반대자의 대립으로 통합과 합동이 분열하였다. 그리고 ICCC의 한국선교로 인하여, 그리고 교권다툼과 무분별한 신학교 운영 등으로 합동 내에서 많은 분열이 일어나 현재 한국장로교회는 100여개가 넘는 교단이 있다. 이러한 분열이 특히 한국전쟁(1950-53) 이후에 생겨났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들어 교단분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한국 장로교의 가장 큰 8개의 교단이(통합, 합동, 고신, 기장, 대신, 개혁, 합동정통, 호헌)이 연합하여 한국장로교협의회(창립1981)를 구성함으로 장로교회의 연합과 일치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한국장로교는 공동의 뿌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교단의 신앙고백은 사도신경과 웨스터민스터 신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교단의 조직은 개교회와 시찰 그리고 노회, 총회로 구성되어있다.




1884. 9.20 알렌 입국
1885. 4. 5 언더우드입국
1889. 10.31 선교사연합공의회

독노회 총회구성
1907 1912 1938 1943 1945 1949
????????????????????????????????????????????????????????????????????????????????????????????????????????????????????????????????총회해산????해방????????총회재건??
신사참배가결 ?? 1946 남부총회재건
?? 1947 대구총회
1901.5.15 평양신학교개교 ??
1901.9.20 조선예수교장로회 합동공의회 ?? 일본기독교조선교단
1903.4.20 제 1회 장로회공의회 ?? 일본기독교조선 장로교단↑1943
조선혁신교단 1942↑
약 어

국내
CBS 기독교중앙방송 (1954.8.31) CCAK 한국기독교보수교단협의회 (1983.12.19)
CCLK 한국기독교지도자협의회 CCK 한국기독교총연합회 (1989.4.28)
CMPC 장로교선교공의회 (1983) CPC 한국개신교교단협의회
CPCA 교회와 경찰 중앙 협의회 (1966) CPCJCC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1943.5.5)
CPCK 한국 장로교 협의회 (1981.9.22) CRCK 한국기독교개혁교단협의회
GAPCC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 (1912) IPCC 조선예수교장로회독노회 (1907)
KBS 대한성서공회 (1895) KCCC 한국예수교협의회 (1965.5.11)
KHC 한국찬송가위원회 (1956) KHS 한국찬송가공회 (1981,4.9)
KSCF 한국기독학생총연맹 (1848.4.25) NCCK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48.4.25)

국외
WCC 세계교회협의회 WARC 세계개혁교회연맹
CWM 세계선교협의회 CCA 아시아기독교교회협의회
ICCC 국제교회협의회 NEA 국제복음주의협회
















Ⅱ. 고신과 재건파의 전통을 가진 교단


월남 김문제계 ??????????????????
??
??????주상수계????????????????????????????????????????????????????????????????
????재건파???? ?? 1958통합 1974 ????????재건총회??????????
?? ??????최덕지계????????????????????????????????????????????????????????????????
??1948 중앙위원회 ?? 순장로회 순장로회
함남?덕천?? ?? ?? ?? ?? ?? ?? ???? ?? 1.4후퇴?? ?? ?? ???? ???? ?? ?? ?? ?? ?? ?? ?? ?? ?? ?? 독 노 회??──────총 회 ──
?? 흥남철수 일시통합?분리 1953 1969 1979
?? 독노회 1982 독노회2
?? 독로회????????????????????????????????????????재 건 ──????????????????┬??????1974 총회 ????????????
?? 1948│ 1967 1972└ 동신┬????????????????????
│ │ 1975 └─보수1 ─┐
│ │ 1986 보수2
?? ?? 1952 합동과결합분열 ????????개혁(고려파)1965????????????????????
?? ?? ????고신????????????????????????????????????????????????????????????????????????????????????????????????????????
?? ?? ?? ???? 1962 ??????합동장신???? ?? 일부↑
?? ?? ?? ????????????????????????계신???????? ??????????????고려(반고소)????
?? ?? ?? 1960 1976
독노회 총회구성 ?? ?? ?? ?????? 기장????????????????????????????????????????????????????????????????????????
1907 1912 1938 1943 1945 ?? ?? ?? ?? ??????????????연합장로교??????????????????????????????????
??????????????????????????????????총회해산????해방 ??????총회재건??????????????????????????????????????????????????????????????????????????????????????????????????
신사참배가결?? 1946 남부총회 1953
?? 1947 대구총회재건
?? 1949 PCK
?? 일본기독교조선교단
?? 일본기독교조선 장로교단↑1943
조선혁신교단 1942↑


1. 대한예수교장로회(高神)

1907년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노회의 전통을 따르며 1912년에 조직된 제1회 총회를 기원으로 한다. 1938년 제27회 총회가 신사참배를 가결하고 이에 반대하는 목회자들과 성도들은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전개하여 투옥된다. 1945년 8?15해방과 함께 신사참배 반대로 투옥되었던 목회자와 성도들이 출옥하고 동년9월18일 부산진 교회에서 경남재건노회가 조직되어 현역 교역자들의 회개와 반성을 촉구한다. 그러나 신사참배를 주도한 일부 목사들이 이에 불복한다.
1946년 4월 평양에서 옥고를 치른 주남선?한상동목사와 박윤선목사는 월남하여 고려신학교(현고신대)를 설립하였다. 1949년 4월 제35회 총회는 고려신학교와 총회와 관계가 없음을 결정하였다. 이 문제 외에도 이들이 속한 경남노회는 신사참배 휴우증과 신신학에 대한 견해 차이로 몸살을 앓다가 1950년 경남노회 법통파, 중간파 등 노회가 5개로 분열되었다. 경남(법통)노회는 고려신학교 설립자와 관계자들, 그리고 따르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고신이라고 일컬어 졌다. 이들은 신사참배를 한 목회자들의 철저한 회개를 촉구했다. 그러나 수적으로 우세한 대다수의 목회자들은 1951년 제36차 총회는 법통노회를 정죄하였다. 경남법통노회는 신사참배파들과는 신앙체질적으로 노선을 달리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여 경남일대를 중심으로 1952년 9월에 새로운 총노회를 조직하고 총회를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그후 불행하게도 1955년 교회 안에 생긴 분쟁이 신학교로 확대되어 박윤선박사와 송상석목사간에 분쟁이 심화되었고 이것이 고려파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그후 1960년 장로교단은 W.C.C운동과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운동의 대립으로 연동(통합)과 승동(합동)측과의 교단 분열이 생겼다. 이때 승동측은 고신과의 합동을 시도하여 1960.12.13 연합총회를 개최한다. 그후 승동측은 합의 사항을 지키지 않고 승동측이 I.C.C.C의 자금지원을 받는 것 그리고 양측의 신학교 문제로 1963년9.17일 고신은 환원하게 되었다. 이때 약150교회가 승동측에 머물게 되었다.
그후 1973년 고신 대학의 이사장으로 있던 송상석 목사는 임기 만료 후에도 물러나지 않음으로 법정소송의 사건이 생겨났고, 고소에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과의 대립이 생겨났다. 74년 제24차 고신총회는 법정소송을 가결하게 되자 반고소측 석원태목사를 중심으로 교단이 분리되었다.(1976.1.25) 그후 반고소측은 다시 교권문제로 분열하였고 1982년 9월 그중 한 그룹이 고신교단과 병합을 하였다. 고신교단은 꾸준한 성장을 하였고 1993년 총회회관을 준공하였다. 산하에 고신대학, 복음간호전문대학, 복음병원, 경북신학원을 운영한다. 해외선교사를 188명 파송하였다.

Org30 Presbytery M363,620CM146,339Congr1,361OM1,365Eld3,046DeacEv1,485WOM noWEld noWDeacLKoreaNatCCK, CPCK, KHSInt네델란드자유개혁파교회
#58-10 Banpo-Dong Sucho-Gu Seoul 137-040 Tel 02)592-0433 fax 02)592-0468

2. 대한예수교장로회(契神)

1957년 고신교단 소속이었던 마산 문창교회의 전임목사 김석찬이 합동으로 교단으로 옮기려고 하자 후임목사 송상석은 교회는 두고 개인만 떠나라고 하여 법에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 문제로 고신총회는 교회를 포기하더라도 법정소송은 하지 말자는 쪽과 교회를 지키려는 쪽으로 입장이 나누어졌다. 총회는 “연구회 보자”는 애매한 결론을 내렸다. 당시 이 결정에 불만을 품은 경기노회 인사들은 총회가 성경에 합당한 결정을 할 때까지 행정을 보류하기로 결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기노회는 김창인 계열과 장여제 계열, 이병규 계열로 입장을 달리 했다. 이들은 1960년 공의회를 조직하고 1967년에 계성고등학교를 개교했다. 1969년 4월에 계약신학교를 설립했으며 1975년 11월 총노회를 조직 교단을 출발했다. 1980년 대한예수교장로회 계신측이라고 개칭하였다. 후에 김창인 목사계열은 합동으로 합류했고, 장여제 목사를 중심한 측은 1982년 개혁교단으로 합류했다. 그리고 이병규목사 계열은 계신교단을 유지하였다.

Org 11 Presbyteries M21,712CM14474Congr135OM122Eld52DeacEv65WOMnoWEldnoWDeacLKoreaNatInt
#20-5 ChangCheon-Dong SuDaeMoon-Gu Seoul Tel: 02)392-2936 Fax: 02)393-9249

3. 대한예수교장로회(반고소 고려)

이 교단은 고신과 뿌리를 함께 한다. 1973년 고려신학대학의 이사장이었던 송상석목사의 임기 문제로 총회내에 이견이 생겼다. 1974년 총회는 이 문제를 대사회법정에 소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결하자 이에 대해 석원태목사는 총회가 불법이라고 주장(고전6:1-11)하였다. 그후 석원태목사는 송상석목사와 함께 1976년 교단을 분립하여 새로운 고려파(소위 반고소측)을 이루었다. 그후 다시 교단이 분열하여 그중 일부는 고신과 재통합을 하였다(1982.9).

Org,M66,345CMCongr194M(m)391Eld3,046DeacWOM noM(w)131WDeacLKoreaNatCCK, CCLKInt
#53 YoungDeungPo-Dong YoungDeungPo-Gu Seoul Tel 02)780-0614 Fax 02)780-0615

4. 대한예수교개혁장로교총회(高麗派)

이 교단은 ‘고신’교단과 뿌리를 같이한다. 45년 해방이후 고려신학교의 교수로 있던 박윤선박사(Rev. Yoonsun Park Th. D)는 고신 교단(부산)의 내분으로 인하여 55년도 서울의 원성교회에서 개혁신학교(the reformed Theologocal Seminary)를 설립하였다. 박윤선박사를 추종하는 부산의 고려신학교의 학생들이 대거 상경하게되자 박윤선박사는 교단의 분열과 고려신학교의 분열을 염려하여 부산으로 돌아가고 정헌택 박사가 학교 운영을 맞게 되었다. 동산교회에서 신하교를 운영하던 중 50여명의 목사가 모여 본 교단 창립하고 11개 노회와 250개 교회로 발전한다(1965.5). 개혁교단은 일본, 화란, 미국의개혁교단과 유대를 맺고 신학교수를 교류하여 목회자를 배출한다. 67년이후 10년간 교단은 침체기를 경험한다. 1971년 소위 동방교라는 이단이 기독교 개혁장로회라는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본 교단은 커다란 피해와 오해를 입게 되었다. 1977년 본교단의 침체를 부활시키기 위하여 노력하던 중 유돈식박사가 본교단및 개혁신학교의 운영을 맡아 교단을 부활시킨다. 1978년 제23회 정기총회를 계기로 교단이 활성화 되었다. 1983년 인천으로 본부와 학교를 옮기고 현 16개노회로 정비 인준하고 현재 10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본교단은 68년, 69년 70년 84년, 89년 5차레나 교단이 분열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현재 고신교단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Org16 presbyteries M76,900CM58,700Congr497OM501Eld105Deac35,000Ev205WOMnoWEldnoWDeacLKorea, Nat국제개혁 보수교단 협의회(1956), 군관민 기독교선교회Int
#43-46 ManSuk-Dong Dong-Gu Inchon Tel 032)762-1209, Fax 032) 764-1839

5. 대한예수교장로교총회(합동장신)

이 교단은 1974년 고려파에서 분립한 장신교단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후 1980년 길영복 목사가 합동장신 교단을 설립하고 1981년 예장한장측 서부측과 통합한다.

M32163CMCongr112M(m)143M(w)76
NatCCAK, CPCA, KHC
# 255-116 JamSil-Dong SongPa-Ku Seoul Tel:02)422-4258

6. 대한에수교장로회(再建)

1938년 9월10일 조선 예수교장로회 제27회 총회에서 일제의 강압으로 신사참배가 가결되자 이에 불복하는 이들이 지하 교회를 조직하였다가 많은 수난을 당하였다. 1945.8.18년 해방과 함께 출옥한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재건교회 운동이 시작되었고, 이때 한국교회를 재건하려는 운동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가 기성교회에 들어가서 교회 정화를 해야한다(고흥봉) 둘째 신사참배한 교역자들을 모두 근신시켜야 한다(이기선,한상동) 셋째, 독자적인 재건교단을 형성한다(김린희,최덕지)였다. 이 셋째의 재건운동은 이북과 이남에서 각각 조직되었다. 이 재건교회는 기성교회로부터 극단적인 교회라 평가된다. 1948년 2월18일 대한예수교재건교회 중앙위원회가 조직되어 초대 총회장에 강상은 목사 부회장에 최덕지 전도사가 임명된다. 이즈음 남한의 한상동 목사(고려)가 연합을 제의하나 최덕지는 합하지 못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과 함께 교단은 수난을 당했고 특히 재건교회의 극단주의가 신학적으로 내부에서 문제가 되어 교세가 축소되었다. 1953년 이계실 목사를 중심으로 월남한 연합교회와 합동하였으나 곧 분열되었다(순장). 연합재건1954년 제3회 정기총회에서 여목사 여장로 제도가 제안되었고 가결한다. 그후 여성직 지지파와 반대파로 총회는 혼란을 가중하다. 1955.5.2 제4회 정기총회는 반대파를 징계하였다. 1955년 최덕지 목사가 소천 하였다. 1959년 9.22-24일 제14회 총회 교단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 재건교회 총회로 결정한다. 1965년 5.11-13 제23회 총회는 재건교회창립20주년 기념축하 위원회를 결성하고 1973년 10월25일 그 동안 분열된 재건교회전통의 형제들과 통합하는 통합공동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74년 7월2일에 이북에서 월남한 재건교회와 남한의 재건교회가 통합하였고 1989년 9월 19일 삼선동 서울중앙교회에서 한마음 한뜻으로 영광을 주께 라는 표어로 전국재건교회가 하나로 통합하여 제71회 총회를 개최하고 전국을 4개 지역(서부,서울,영남,부산)으로 분활하여 1989년 12월 28일 동일에 4개 노회를 조직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산하에 재건교회 총회 신학교를 운영한다.

Org13 presbyteries
M23569CMCongr113M(m)135M(w)20
# 640-243 ChangSin2-Dong ChongRo-Gu Seoul Tel: 02)763-3679

7. 대한예수교장로회(純長)

제1단계 이북5개교회 시대(1939-50) 1938년 일제의 미나미 총독이 교회에 신사참배를 할것을 강요하였고, 이 해 9월 총회전까지 전국 23개노회중 17개노회가 신사참배를 결의하였다. 이때 평북의 이기선목사, 함남의 주기철목사, 경남의 한상동목사. 전남의 손양원 목사, 그외 최봉석 주남선, 이인재등의 목사와 박관준장로등이 신사참배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조선예수교장로회 제27회 총회에서 신사참배가 가결되자 함남의 덕천교회, 동덕천교회, 기곡교회, 상수리교회, 장흥교회 5개 교회는 이계실 목사를 중심으로 함남노회를 탈퇴하였고, 일사각오로 성도의 신앙을 지켰다. 1943년 5월5일 조선예수교장로회는 일본기독교에 편입되었다. 1945년해방이후 이들은 독자적인 길을 걷다가 1950년 6.25한국전쟁중에 공산당을 피하여 흥남부두에서 유엔군 구조선을 타고 이계실목사와 수백의 교인들은 남으로 피난을 하였다. 제2단계 연합교회 시대(1951-1953) 1951년 12월 27일 경남 거제도에서 연합교회를 세웠고 1953년 신학교를 세웠다. 1953년 신사참배를 반대하였고 함께 이북에서 피난나온 재건교회와 연합교회는 연합하여 노회를 구성하기 위한 대회제도를 도입하였다. 3단계 대회시대(1954-68) 그러나 1953년 합의 사항불이행으로 재건과 연합교회는 다시 원위치로 갈라졌다. 그러나 재건교회소속 6개교회는 이계실이 이끄는 대회에 남아 있었다. 1956년 영등포 서울에서 덕천교회와 신학교를 세웠다. 4단계 독노회시대(1969-1979.10) 이계실 목사가 초대노회장에 선출되었다. 이시기 교단이 발전하였고 국제관계도 넓어져서 1979년 제10차 ICCC에 옵서버로 참가한다. 5. 총회시대(1979-현재) 총회산하에 노회가 6개로 증가하였고 1979년10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순장로회 총회를 개최하여 전재영 목사를 총회장에 선출하였다.

M12775CM3509Congr25M(m)56M(w)17
Org,9 Presbytery(3abroad) IntICCC. 미독립장로회선교회,
# 632-21 SinDaeBang-Dong DongJak-Gu Seoul Tel 02)845-7711 Fax 02)849-9545
Ⅲ. 독노회 전통을 가진 교단

8. 대한예수교장로회(獨老會1)

1938년 장로교총회가 신사참배를 가결한 이후 1938년-1945년은 한국교회사에서 범죄의 기간으로 기록된다. 해방이후 신사참배를 반대하다 감옥에서 풀려난 교회지도자들은 한국교인들의 환영을 받았으나 1945년 8월 17일 출옥성도들은 평양 산정현 교회에서 예배를 드린 후 한상동 목사는 남한으로 와서 고려파를 창립했고, 김창인 김인희 최덕지 전도사는 재건교회를 창립하였고, 이기선 목사?방계선전도사? 오윤선 장로 등이 주축이 되어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독노회는 교회 5가지 교회재건의 기본원칙을 제시하였다. ①교계지도자들은 신사참배한 죄를 회개할 것②목사 2개월간 휴직할 것 ③교회재건을 전국적으로 할 것 등이다. 이기선 목사의 재건원칙을 중심으로 1948년 5월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이북의 평남북및 황해도 등의 30개 교회가 이에 가담하였다. 이것이 교단의 첫 출발이었다.
1950년 6.25 동란으로 이기선 목사가 순교하고 이북의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월남하였고 1951년 3월 이일화?장기려 박사등이 월남하여 부산에서 천막교회를 시작하였고 서울로 와서 54년도 회연동에서 산정현 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때 이미 독노회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1967년 교단으로 정식 등록하고 정대신 목사가 초대 노회장이 되었다. 1968년 정대신 목사를 중심으로 한 계열과 노회 산하 동아신학교(교장:김찬길)계열이 분열되었다. 동아신학교계열은 보수측이라 이름하고 총회를 구성하였다. 독노회는 1974년 4월 총회로 승격함과 동시에 교단명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독로회로 명명하였다. 초대 총회장에 안도명목사가 2대 총회장에 방병덕 목사가 선출되었다.

M14900CM1000Congr87M(m)91M(w)61
#406-5 HuAm-Dong YongSan-Gu Seoul Tel 02)754-0904 Fax 02)755-8349

9. 대한예수교장로회(獨老會2)

교단의 역사는 독노회 1과 동일하다. 1981년 7월 총회장 안도명 목사가 도미하면서 정남영 목사가 권한을 대행하게 되었다. 1982년 제26회 총회에서 총회장에 유용현 목사를 선출하면서 정남영, 방병덕 목사측과 분리하게 되었다.

Org 3 PresbyteryM3,952CM2811Congr25OM23Eld32Deac821Ev2WOMnoWEldnoWDeacLKoreaNatCCK(1989)Int
#279-422 Sangdo-Dong Dongjak-Gu Seoul Tel 02)821-0387, Fax 02)824-7517

10. 대한예수교장로회 (東神)

동신교단은 보수교단과 함께 1948년 이북에서 이기선 목사가 세운 독노회 운동에 뿌리를 두고있다. 6.25전쟁과 함께 월남한 목회자와 교인들은 모임을 형성하고 있다가 1967년 독노회를 조직하였다. 1968년 노회산하 동아신학교 교장으로 있던 김찬길 목사와 정대신목사 계열은 분열을 하였다. 총회가 분열된후 신학교게열은 보수축이란 이름으로 총회를 구성하고 김찬길 목사는 4년간 총회장으로 총회를 지도하였다. 교회는 100교회가 넘게 성장하였다. 그런데 1975년 교단장의 자리를 놓고 분쟁이 생겨나서 동신측(김찬길, 이홍편, 방부신)과 보수측(조창현,최한용)으로 나누어졌다. 그후 방부신 목사는 단독으로 총회를 탈퇴하여 개혁정통총회를 구성하였다.

M5264CM3509Congr56M(m)56M(w)37
# 111-270 GongDuk-Dong MaPo-Gu Seoul Tel:02)712-2874 Fax:02)

11. 대한예수교장로회 (保守1)

보수교단은 1948년 이북에서 이기선 목사가 세운 독노회운동에 뿌리를 두고있다. 6.25전쟁과 함께 월남한 목회자와 교인들은 1967년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초대 회장에 정대신 목사를 선출하였다. 총회산하 동아신학교 교장으로 있던 김찬길 목사를 중심으로 교단이 분립되어 보수측 (또는 동신측) 총회가 구성된다(1972년). 그후 4년동안 보수총회는 백개의 교회가 넘는 교단이 되었으나. 1976년 보수교단은 다시 분열되어 동아신하교를 중심으로 한 동신측과 최성곤?조창현목사를 중심으로한 보수측이 분열된다. 보수측은 1975년 9월 보수총회신하교를 신설동에 세우고 초대총회장에 최성곤박사. 학감에 조창현목사가 취임한다. 1978년 9월 총회에서 수정보완된 헌법을 채택하였다. 그후 보수측은 다시한번 분열을 경험하였다. 문제는 신학교 교수로 박영관 목사를 채용하려고 하였으나 상당 수의 목사들이 반대를 하였다. 반대자들은 주로 용문산 기도원의 창시자인 나운몽 목사의 제자들이었다. 그들은 교세 확장시에 영입된 사람들이었다. 수해전 나운몽목사와 박영관 목사는 교리문제로 크게 분쟁을 하였는데 이들은 자기 스승을 적대새한 사람을 교수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때 약 60개교회가 탈퇴하여 각기 다른 교단으로 영입해 갔다. 1985년 9월 교세성장에 따라 3개의 노회로 확장하였다. 1986년 조창현, 차응현 목사(방배동)측이 교단을 분립하였다.

M10700CMCongr92M(m)89M(w)3
#73-11 Jak-Dong OhJeong-Gu Buchon Tel 032) 677-5715 Fax032)681-6667

12. 대한예수교장로회 (保守2)

Rev. Cho Chang-Hyun and Cha Eeung-Hyun was separated from BoSu 1 and formed BoSu 2(1986).
M5264CM3509Congr56M(m)64M(w)29
#2239 Bangbaebon-Dong Sucho-Gu Seoul Post no.137-069 Tel 02) 536-9953 Fax 534-7194


Ⅳ. 한국기독교장로회

13.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이 예장으로부터 분립된 요소는 신학적 이유와 신학교의 대립이다. 8.15해방 이전에 김재준 박사의 진보적인 신학과 박형룡 박사의 보수주의 신학은 한국교회의 양대 신학을 이루고 있었다. 1938년 신사참배문제로 평양신학교가 무기휴교에 들어가고 교계 지도자들은 해외 망명을 하게 되었다. 그후 1939년 4월 서울에서는 기독교 장로회의 모태가 된 조선 신학교가 개교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에 열린 남부 총회는 남한의 유일한 총회직영 신학교로 인준하였다. 그해 신학교의 교장 김재준 박사의 진보적인 논문으로 인해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 사이에 대립이 생겼다. 1947년 진보주의에 불만을 품은 학생들이 박형룡 박사(고려신학교에서 사직한)와 함께 장로회신학교 개교하여 1949년 총회의 인준을 받게 된다. 이리하여 총회는 두 개의 인가 신학교를 가지게 되었고 총회는 그것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두 개의 신학교의 인가를 취소하고 하나의 신학교를 만들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신학교는 신학적 입장이 달랐기 때문에 총회의 결정을 따르지 않았고 총회는 조선신하교의 직영을 취소하였고 1952년 37회 총회에서 김재준 목사를 제명하였다. 조선신학교측은 이의 항의하는 호헌 총회를 결의하고 1953년 예장측과 분립한 제38회 총회를 갖는다. 1954년 조선신학교는 한국신학대학으로 발전하였다.
1954년 제39회 총회에서 교단의 명칭을 대한 기독교 장로회로 개칭한다. 제41회 총회에서 여목사와 여장로 제도를 헌의하였다. 1961년 제46회 총회에서 본 교단의 명칭을 한국 기독교 장로회로 개칭하고 총회 예식서를 제정하였다. 1974년 여목사를 안수하였으며 1987년 제72회 총회에서는 JPIC에 입각한 “1987신앙선언”을 채택한다. 본 교단은 대 사회선교에 커다란 관심을 가지고 제71회 총회(1987)부터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채택하고 노력해 왔다. 1993년은 본 교단이 새 역사를 시작한 지 40년이 되는 해로 기념대회를 갖고 JPIC의 신학적 바탕 위에서 평화일치 사업과 제5사업(생명 회복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신학교육 기관으로 한신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Org19 presbyteries M334,373CM174,827Congr1,380OM(m,w)1639Eld2445Deac19278Ev705WEld67WDeac46374LKoreaNatNCC, KSCF, CBS, CLS, KBS, KHCIntWCC,WARC, CCA, EMS,
#136-56 YunJi-Dong ChongRo-Gu Seoul Christian B/D1501
Tel 02)708-4021 Fax02)708-4027

Ⅴ. 통합교단

14. 대한예수교장로회(統合)

1884년 9월20일 미북장로교회 알렌선교사가 내한. 의료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와별도로 만주에서 영국의 매킨타이어 선교사와 함께 성서의 한글번역에 참여했던 서상륜?백홍준 등이 귀국, 의주와 소래지역에 선교함으로 한국인 자생 장로교회가 1884년을 전후해서 비롯되었다. 이어 1885년 북음선교사 언더우드가 도착했고 1889년에는 오스트리아 장로회, 1982년 남장로교회와 뒤이어 카나다장로회가 각각 한국선교를 시작했다.
1893년 장로교선교공의회를 조직했고, 1901년 평양신학교를 개설했다. 이어 1907년 한국에서 대부흥운동이 전개되던 때 미남북장로교회, 카나다선교회. 호주장로교회의 4파선교사들이 모여 조선예수교장로회독노회를 조직하였고 한국장로교의 7인 목사를 배출하였다. 1912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구성하고 중국에 3인의 선교사를 파송했다. 1921년 기독교청년면려회를 조직했고 1928년 여전도회총회를 조직했다.
일제말기 지속적인 교회탑압과 신사참배강요로 교회는 흔들렸다. 1941년 대부분의 선교사가 추방되었고 1943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가 해체되어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으로 흡수되었다. 해방후 북의교회는 공산정권아래서 소멸되어갔고 남한의 장로교회는 46년 남부총회로 재건되었다 . 제35회총회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9)
1951년 신사참배의 휴유증으로 한상동목사를 중심으로한 고신측과 분립하였고, 1953년 신학적 셩격문제로 김재준 목사를 중심으로 한 기장측과 분립하였다. 1954년 제44회 총회는 W.C.C운동을 지지하는 측과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운동을 지지하는 편이 분열되어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 총회는 연기되었고 WCC측은 연동교회에서 통합측 총회를 조직했고 NAE측은 승동교회에서 합동 총회를 조직했다. 그후 일반교인들의 많은 반대가 있었으나 둘 사이는 재통합에 실패하고 말았다. 1962년에 총회창설 50주념 기념식을 거행했다. 1974년 교회개척운동을 결의하고 10년간에 교세를 배가 시켰다 69년 교단 기관지 <한국기독공보>를 복간하였다. 1984년 한국100주년 기념대회를 개최하고 1986년에는 대한에수교장로회신앙고백서를 제정하였다. 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신학적으로 광범위하게 포괄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산하에 8개의 복지기관, 17개의 유지재단, 7개의 신학대학, 5개대학, 7개전문대학, 42개 중고등학교, 4개국교, 27개성서학교, 8개의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Org51 Presbyteries M2,094,338CM929,424Congr5,584OM6,713Eld14,106Deac398,349Ev4,875WOMnoWEldnoLKoreaNatNCCK, KSCF, KBS, KHS, CBS, CPCKIntWCC, CCA, WARC, CWM, 해외20개교단
#135 YunChi-Dong ChongRo-Gu Seoul Tel 02)741-4350 Fax 02)766-2427


Ⅵ. 합동교단

15.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

합동은 1959년 제44회 총회 당시 에큐메니칼 노선에 반대하여 통합측과 교단을 분립하고 WCC에 영구탈퇴를 결의하였다. ICCC의 지원으로 신학교를 설립하였고 1965년 사당동(현 총신대학)으로 신학교를 이전하였다. 1960년대 신학적으로 같은 노선을 취한 고신교단과 합동하였으나 신학교의 일원화 등의 문제로 고신측이 부산으로 환원함으로써 교단 합동은 실패하였다. 이때 고신교단의 교회중 많은 수가 합동에 잔류하였다. 한편 1962년에 총회창립 5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1962년 호헌파, 1963년도 종전 고려파교회와 분립했다. 그후 교단은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1965년에 교단기관지<기독신보>인가, 1976년에 학교법인 총신대학을 설립 인가했다.
1979년 제64회 대구총회는 합동측 교단이 크게 갈라지는 분열이 있었다. 합동의 분열의 요인은 “모세오경‘의 저작권 문제와 총회직영 신학교를 15인 이사들이 ’총신대학‘으로 바꾸면서 사영체(주류)로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주류측(합동)과 비주류측(합동보수)으로 양분되었다. 그후 비주류측은 사분오열하는 비극을 되풀이하였다. 그후 성장발전이 계속되었고 1986년 총회회관을 준공했다. 1992년에 총회 80주년 기념대회를 가졌다. 산하에 총신대학과 10개의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Org81 Presbytery M2,158,908CMCongr5,123OM6,251EldDeacEv7,002WOMWEldWDeacLKoreaNatKBS, KHS, CCK, CBS, CPCKInt
#1007-3 DaeChi-Cong KangNam-Gu Seoul Tel 02)564-5004 Fax 02)568-7456







Ⅶ. ICCC와 관계를 맺었던 교단

????????통합???????????????????????????????????????????????? 1972
?? ????????????대신??????????????????????????????????????????????????????????????????????????????????????????????
??????????????????1959 ????성경장로회????????1965 ????????대신2
?? ??1960 ????????????성경장로회??????????????????????????????????????????????????????
????????합동??????????????????????????????????????????????????????????????????????????????????????????????????????????????????????????????????????????????????????????????????????????????????
?? 1979 1984 1990
?? ??????????호헌????????????????????????????????????????????????????????????????????????????????????????????????????????????????????
????????호헌총회??????1967 ????????법통?????????????????? ????????????호헌??????????????????????????????????????
1962 ?? ??????????환원???? 1971 1972 1983 연합
?? ????????환원????????????????????????????????????????????????????????????????????????????????????????????????????
보수 1963 ????????장신?????? ????????합동환원??????????
??
?? 보수신하교 1972 1972 1981 1988
?? ?? ?? ?? ?? ?? ?? ?? ?? ?? ?? ?? ?? ?? ?? ?? ?? ?? ?? 보수총회????약화??????????????????????????????????????????
복구 ??????성합????????????예장????????
????성합측????????
16. 대한예수교장로회(大神1)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더불어 월남한 신자들 중에서 사명감있는 예비목회자를 위해 김치선박사 김선도목사 윤필성목사는 1948년 남대문 교회당에 야간신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대한 신학교로 발전한다. 한편 합동과 통합의 분열 이후 ICCC (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 Church)가 한국에 도래해 왔다. 1960년 합동측에 속해있던 김치선박사는 마두원선교사와 함께 교단의 창립조직을 갖고 I.C.C.C의 맥킨타이어 박사의 후원으로 성경장로회를 창립(1961.6.21)하고 대한신학교는 그 지원을 받게 된다. 대신 교단의 발전은 대한신학교의 성장과정이 곧 교단형성과정으로 조명된다.
1966년 이후 성경장로회선교부와 대한신학교는 마찰이 심화되어 분열의 상황을 맞게 되었다. 1968년 3월 제3회 총회시 성경장로회는 백준걸 목사를 중심한 계열과 대한 신학교측 김치선 목사를 중심한 계열로 양분되었다. 김치선은 I.C.C.C 를 탈퇴하였다. 그후 대신신학교 운영문제로 최순직 목사가 합동진리측이란 이름으로 교단을 분립하였다. 1970년 제5회총회에서 헌법 수정안이 가결되었는데 과거의 초교파적이고 근본주의적이며 무계획적이었던 교단의 신학을 재정비하고 철저한 개혁주의 신앙으로 무장하기 위해서 취해진 조치였다. 1972년 일부교회가 교단을 이탈하였다. 총회는 I.C.C.C의 모든 잔재를 씻고 교단을 재정비할 계획을 수립하고 동년4월 제7회 총회에서 교단명칭을 대신으로 개칭하였다.
1974년 8월19일 제9회총회에서 교회선언을 채택했고 1976년에는 새교단 헌법을 제정했다. 1980년 한국장로교 협의회 창립회원교단이 된다. 1986년 총회신학교를 설립하고 1992년에 WARC회원 교단이 된다. 대신교단은 근래에 한국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고 교회의 일치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단이다. 104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산하에 대신대학(교수40, 학생350)과 한국교회공보사를 운영한다.

Org30 presbytery,3 abroadM139,916CM150,000Congr1170OM1256Eld406Deac27036Ev949WOMnoWEldnoLKNatCPCK, CCKIntWARC, 재일대한기독교연합회(1985)
# 381-1 SukSu l-dong, ManAn-Gu, Anyang Tel0343)73-6881, Fax 0343)71-6884

17. 대한예수교장로회(大神2)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더불어 월남한 신자들 중에서 사명감있는 예비목회자를 위해 김치선박사 김선도목사 윤필성목사는 1948년 남대문 교회당에 야간신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대한 신학교로 발전한다. 한편 합동과 통합의 분열 이후 ICCC (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 Church)가 한국에 도래해 왔다. 1960년 합동측에 속해있던 김치선박사는 마두원선교사와 함께 교단의 창립조직을 갖고 I.C.C.C의 맥킨타이어 박사의 후원으로 성경장로회를 창립(1961.6.21)하고 대한신학교는 그 지원을 받게 된다. 대신 교단의 발전은 대한신학교의 성장과정이 곧 교단형성과정으로 조명된다.
1966년 이후 성경장로회선교부와 대한신학교는 마찰이 심화되어 분열의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때 설립자 김치선박사의 아들 김세창박사가 대한식학교의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1968년 3월 제3회 총회시 성경장로회는 백준걸 목사를 중심한 계열과 대한 신학교측 김치선 목사를 중심한 계열로 양분되었다. 김치선은 I.C.C.C 를 탈퇴하였다. 1972년경 대신은 2개의 교단으로 분열되었다. 김치선 목사 계열은 1980년에 대학을 인가받고 대신대학교를 중심으로 교단이 발전해 왔다.

Org 9 presbyteriesM15,200CM12300Congr125OM155Eld12Deac2900Ev85WOM35WEld8200LKNat대한예수교장로회협의회, CRCK, 한국복음주의협의회IntNEA
# 158 GaRak-Dong, SongPa-Gu, Seoul Tel: 02)431-1005, Fax 3474-2347

18. 대한예수교장로회(護憲)

1960년 12월 합동은 고려측과 연합하고 1962. 6 고려측이 환원 분리되었다. 또한 1961년 성경장로회가 분리되어 나갔다. 이때에 합동 안에서는 박병훈, 김윤찬외 25명의 총대들이 서울 평안 교회에서 보수신앙동지회를 결성하였다(1961, 12.7 회장 김윤찬) 이들은 ICCC의 가입과 장로교 신앙노선의 보수주의를 주장하면서 합동교단에서 분리하여 호헌총회를 소집하고 제48차 총회로 명명하였다(62.11, 총회장 박병훈), 그리고 ICCC에 가입하였다(62.11.20). 호헌총회는 ICCC 의 재정지원아래 성장하였다.
1965년 제47회 총회에서 이도봉 목사를 중심으로 호헌 총회 창립자인 박병훈목사의 지도권을 확립하고 ICCC와 대외관계도 박병훈목사를 중심으로 하려는 운동이 있었다. 이것은 신임 총회장이 된 송재묵 목사와 갈등을 일으켰다. 그후 송재묵 목사는 ICCC의 후원을 받아 교단을 해산하고(1966.4.20) 새로운 교단 ‘환원총회’를 구성하였다(1967).
그 후 호헌총회는 신응균 목사의 지도아래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1977년 1월 총연측과 연합하였다. 제63회 총회(1978.9)는 신응균 목사가 총회장에 선출되었다. 제64회 총회는 박병훈목사를 지지하는 그룹이 호헌총회를 분리하였다. 1981년1.15 복음측(박명빈), 예장서부측(황종익)과 통합하였다. 제67회 총회에서(1982.9.23) 교단통합위원회를 두어 군소교단들과의 통합을 추진했다. 1985년에는 교단신학교를 개교하였다. 제72회 총회에서 (1987.9.24) 예수교장로회 보수측(대표,이현재 목사)과 합동하였다. 제73회 총회(88.10.4)는 불행하게도 보수측과의 합동과 신학교 교장직의 문제로 호헌은 서대문 측과 신설동 측이 분열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그리고 주류측은 ICCC에 다시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1990에는 64회기에 분리되었던 호헌 총회(박병훈목사)측이 박병훈 목사의 소천을 계기로 무조건 합동하였다. 제76회 총회(1991)에서는 보수측(최한용), 총신측(박한서), 합동총회(김한), 목양총회(길성호), 호헌 신설동(형남철)등이 합동을 선언하고 각 교단의 신학교는 그대로 운영하고 대학원은 1개교로 통합하였다.

Org 39 presbyteries M120,000CM90,000Congr910OM930Eld120Deac42,000Ev230WOMnoWEldnoLKoreaNatCPCK, CCK, CPC CPCA, KHSIntICCC(1962.11.20)
# 419-42 HapJeong-Dong MaPo-Gu Seoul Tel:02)322-6711-2 Fax:02)322-6713

19. 대한예수교장로회(환원)

송재묵 목사는 ICCC의 후원을 받아 호헌에서 탈퇴하여 새로운 교단 ‘환원총회’를 구성하였다.(1967) 1969년 제54회총회에서는 김원순 목사가 총회장에 당선되었고 미국 Westerminster Biblical Mission 소속 Robert S Rapp 선교사를 영입하여 그가 운영하는 장로회신학교에서 교역자를 길러내었다. 그후 환원측은 ICCC 지부장으로 있던 마두원목사와 선교사로 파송된 라보도 목사 사이에 내분이 발생하자 ICCC에서는 라보도를 제명하였다. 그 내분의 원인은 장로회신학교운영의 문제였다. 그 결과 마두원목사를 지지하는 전정수 목사 계열(법통)과 라보도 목사를 지지하는 김원순(환헌)을 중심으로 한 계열로 나누어 졌다(1971년9월). 그후 라보도 목사계열은 다시 분열되어 환원측과 장신측으로 나누어졌다(1977).이러한 과정에서 교단은 유명무실 해졌다. 그후 제68회 총회장에 김동혁 목사가 당선되면서 독로회중앙노회와 정통과 합동을 하여 교단명을 합동환원으로 변경하였다(1983.10). 그러나 교단의 명칭을 고수하려는 인사들은 통합하지 않고 환원총회를 고수하였다.

20.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還元)

환원 제68회 총회의 총회장 김명혁 목사는 독노회 중앙노회(김선 목사)와 정통(윤성덕 목사)측과 합동을 하고 합동정통을 구성하였다(1983년 10월 17일) 초대 총회장에 김동혁 목사를 선출했다.

M9776CM6517Congr46M(m)46M(w)35
# 23-87 DaeBang-Dong DongJak-Gu Seoul Tel:02)814-5323

21. 대한예수교장로회(法統)

송재묵 목사가 ICCC의 후원을 받아 호헌에서 탈퇴하고 새로운 교단 ‘환원총회’를 구성하였다. 1969년 제54회총회에서는 김원순 목사가 총회장에 당선되었고 미국 Westerminster Biblical Mission 소속 Robert S Rapp 선교사를 영입하였고 그가 세운 장로회신학교에서 신학생을 교육하였다. 그런데 이 환원측은 다시 내분이 일어났다. ICCC지부장으로 있던 마두원목사와 선교사로 파송된 라보도 목사 사이에 문제가 발생함으로 마두원목사를 지지하는 전정수 목사 계열과 라보도 목사를 중심으로 한 계열로 나누어졌다(1971년9월). 전정수목사는 1971년 9월 호헌총회에서 분립하여 법통총회를 세웠다. 법통은 ICCC와의 관계를 지속하였다. 1974년 11월 유신독재치하에서 ICCC의 맥킨타이어 박사가 내한하여 반공강연을 하였고 이에 KNCC는 반박성명을 내었다. “칼 맥킨타이어는 국제적 고아이며…가는 곳마다 교회분열의 책동자로 낙인찍히어…” 여기에 대항하여 한국예수교협의회(KCCC-ICCC의 산하단체)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WCC의 회원단체가 아닌가? 그리고 WCC는 용공적이 아닌가? 용공적이라면 마땅히 탈퇴하여야 옳지 않은가?” “반정부적 선전및 데모 선동은 비성경적이다”는 반박성명을 발표하여 성명전이 전개되었다. 그후 교세의 성장이 꾸준해 증가하였다.
Org 9 presbyteriesM 33,920CMCongr 229M(m)334EldDeacWOMM(w)125WDeacLKoreaNatKCCCIntICCC
# 1130 KeumHo-Dong SungDong-Gu Seoul Tel:02)234-1408 Fax:02)235 5028

22. 대한예수교장로회(長神)

미국 Westerminster Biblical Mission 소속 R. S Rapp 선교사는 반 WCC와 개혁주의 정통보수신앙의 교역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1969년 장로회 신학교를 설립한다. 송재묵 목사가 ICCC의 후원을 받아 호헌에서 탈퇴하고 새로운 교단 ‘환원총회’를 구성하였다. 1969년 제54회총회에서는 김원순 목사가 총회장에 당선되었고 Rapp 선교사를 영입하였고 그가 세운 장로회신학교에서 신학생을 교육하였다. 그후 환원측은 ICCC의 한국 지부장 마두원목사와 ICCC의 라보도선교사 사이에 갈등이 생기자 ICCC는 라보도를 제명하였다. 이때 장로회신학교의 졸업생을 중심으로 장신교단이 환원에서 분열되었다. 1977년 9.22-10.3 비상총회를 통해 배수호?김주언?임연택?전요한?심상도 목사등 소장파들은 신학교 운영의 문제로 환원교단과 갈라져서 학교이름을 따라 장신총회를 세웠다. 이 계열은 Rapp을 따랐다. 장신총회는 장신신학교와 유대관계를 지속하였고 행정은 독립시켰다. 그후 교세가 확장되어 81년 한개였던 중앙노회를 4개노회로 확장했다. 1983년 3월14일 신사참배에 불응한 정통을 가지고 있는 9개교회가 연합한 독노회인 수도노회를 영입하였다. 산하에 웨스터민스터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Org 9 presbyteries M18,987CMCongr209M(m)290EldDeacWOMM(w)29WDeacLKoreaNatCCLK(1978), CCAKIntWesterminster Biblical society(USA)
# 948-29 BongChon-Dong KwanAk-Gu Seoul Tel:02)889-2145 Fax:02)873-4350

Ⅷ. 합동분열 이후에 비주류 계열의 교단들

1979년 제64회 대구총회는 합동측 교단이 크게 갈라지는 분열이 있었다. 합동의 분열의 요인은 “모세오경‘의 저작권 문제와 총회직영 신학교를 15인 이사들이 ’총신대학‘으로 바꾸면서 사영체(주류)로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주류측(합동)과 비주류측(합동보수)으로 양분되었다.
1979년 합동 교단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된 이후 비주류(합동보수)는 정규오,백동섭 목사를 중심으로한 종암측과 박영환, 유재서 목사를 중심으로 한 방배동 측으로 분열됐다. 앞서 중립총회를 구성했던 400여 교회들은 2년간 교단연합운동을 하다가 박윤선, 박형룡, 김명혁목사등과 연합하여 개혁총회를 구성하였다. 그후 방배동은 분열후 재연합하여 청암이라 하였다. 이렇게 종암, 청암, 개혁 3분파로 나누어진 비주류 총회는 1980년 12월 16일 남서울 교회당에서 연합총회를 구성하여 총회장에 김인승목사를 세운다.
그러나 당시 문교부의 1교단 1신학교라는 원칙문제로 말썽이 생기자 각 분파가 다 신학교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82년 9월에 다시 3개의 분파(개혁?합동보수 청담?비주류)로 나누어 진다. 그래서 합동보수청담(보수)은 백동섭, 손치호 이진태 목사를 중심으로 한 합동보수측과 정규오 황성수 목사를 중심으로 한 보수총회(서초신학)으로 분열되었다. 다시 정규오와 강용서는 각각 보수합동과 보수로 나누어 졌다. 후에 보수측은 사라졌다.
비쥬류측은 박영한, 최의원 목사를 중심으로 한 비쥬류측과 유재서, 신사훈 목사를 중심으로한 총합으로 분열되었다. 총합은 사라졌다.


??????주류????????????????????????????????????????????????????????????????????????????? ┌보수합동
합동 ?? ??????계승???????? ?? 1980.12 ?? ??????서초신학 ┤
?? ???? 종암 ???? ?? 청암 ????????????????????????????합동보수 청담 ?????? └ 보수(*)
??????비주류(82.9)???? ??연합노회???? ?? 1982 ?? ??????합동보수
합동보수 ???? 방배 ???????????????????????????????????????? 다시분열 ??
?? ??????비주류- 합동개혁
???? 합동 비주류 ??????
???? 종합 (*)
1978 1979 1980
1976 --- 복음 ??????비주류에 합세--합동진리 ???????????????????????? 합동진리 ??????????????????????????????????????????
대한복음신학교 ?? ????????합동 총신1(1985)
(?) ----- 연 합 측 ???????????????????????? 합동정통 ????????합동총신2(1993)
1981

23. 대한예수교장로회(改革1)

1979년 합동측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되기 전에 중립적 입장을 고수했던 400여 교회들은 총회합동추진 위원회를 구성(위원 17명)하여, 슬로건을 「하나이 됩시다」로 정하고 2년간 총회일치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 과정에서 중립측 인사들은 주류측에서 탈퇴하여 남서울 교회당에서 합동신학교를 구성한 박윤선, 박형룡, 윤영탁, 김명혁, 신복윤 목사와 함께 연합하였다.
한편 합동비주류는 종암측과 방배동측으로 분열되었다. 그후 종암은 분열 후 다시 연합하여 청암이라고 불리웠다. 그리하여 개혁, 청암(종암). 방배로 나누어진 비주류 총회는 1980년 12월 16일 남서울 교회당에서 교단합동을 위한 연합총회를 하였고 총회장에 김인승목사를 세웠다. 그러나 당시 문교부의 1교단 1신학교라는 원칙문제로 말썽이 생겼다. 각 분파는 다 신학교를 가지고 있었고 불행하게도 그 기득권을 서로 포기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중립측과 합동신학교 측은 남서울 교회당에서 1981년 제66회 개혁총회를 소집하여 교단을 창설하였다. 그리고 1982년 9월에 종암과 방배측도 각기 총회를 구성하였다. 그래서 개혁. 합동보수측(청담), 합동비주류측(후에 합동개혁)이라는 3개의 교단이 생겨났다. 그후 개혁은 1984년 합동보수의 일부와 교단을 합동하였다. 1985년 3월15일 교단명칭을 대한 예수교 장로회 개혁총회로 칭하였다.

Org31 Presbyteries, 1 abroadM633,600CM400,000Congr2,030OM2,010Eld2,800Deac280,000Ev700WOMnoWEldnoLKNatCCLK, CPC, CPCKInt
#201 BanPoBon-Dong SuCho-Gu Seoul Tel: 02) 596-1702 Fax 02)596-1704

24. 대한예수교장로회(改革2)

1979년 합동측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되기 전에 중립적 입장을 고수했던 400여 교회들은 총회합동추진 위원회를 구성(위원 17명)하여, 슬로건을 「하나이 됩시다」로 정하고 2년간 총회일치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 과정에서 중립측 인사들은 주류측에서 탈퇴하여 남서울 교회당에서 합동신학교를 구성한 박윤선, 박형룡, 윤영탁, 김명혁, 신복윤 목사와 함께 연합하였다. 그래서 중립측과 합동신학교 측은 남서울 교회당에서 1981년 제66회 개혁총회를 소집하여 교단을 창설하였다. 그후 그래서 개혁. 합동보수측(청담), 합동비주류측(후에 합동개혁)이라는 3개의 교단이 생겨났다. 그후 개혁은 1984년 합동보수의 일부와 교단을 합동하였다. 1985년 3월15일 교단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총회로 칭하였다. 그러나 이때 일부는 김명혁을 중심으로 통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었다.

Org16 presbyteriesM83,567CM55,711Congr433M(m)696EldDeacWOMM(w)139WDeacLKNatCCKInt
#136-56 YunChi-Dong ChongRo-Gu Seoul Christian United B/D 1601
Tel:02)708-4458 Fax:02)708-4464

25.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合同1)

1979년 64회 총회에서 합동교단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된 이후 비주류는 다시 분열되었다. 비록 그들은 통합을 시도하였으나 2년후에 신학교 운영의 문제로 다시 분열되어 개혁. 합동보수측(청담), 합동비주류측(후에 합동개혁)이라는 3개의 교단이 생겨났다
그후 합동보수측의 10개노회 일부인사들은 3개노회의 불법총대 파송과 무지역 노회(이북노회)정비에 반대하면서 총회의 행정에 반대한다, 합동보수교단은 1983년 9월27-30일 서울 종암교회 제68회 총회는 무지역노회 정비건으로 총회가 무기 연기 되었다. 그후 1984년 2월부터 수도노회를 중심으로 노회정비가 시작되자 무지역 노회(이북에서 남하한 기독교인들이 시작한 이북에 적을 두었던 노회로 특정지역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를 철폐하는 것을 반대하던 인사들이 이 처사를 교권 장악을 위한 것으로 파악하고 ‘4개요구사항’을 제출하였으나 창담측은 이들의 건의를 묵살했다. 4개조항이란 ①무지역노회는 정비하되 3년의 연구기간을 달라②신학교이사를 공정하게 선출하라③광주인사 일변도의 행정운영을 지양하고 모든 노회가 소외됨이 없이 폭넓게 참여시켜 교단발전을 도모하라④정치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정규오목사는 물러나라였다. 그리하여 강용서 목사를 중심한 세력은 교단을 분립하여 1984년 2.17 보수합동총회를 설립하였다.

Org 17 presbyteriesM101400CM67600Congr408M(m)456M(w)223
# 595-43 Changsin-Dong Jonglo-Ku Seoul post no.110-542 Tel:02)742-3610

26.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合同 2)

1983년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총회에서 분립하여 동년11월 창립총회 산하에 보수합동총회신학교가 있다.

# 397-14 HongEun 3-Dong SuDaeMun-Ku Seoul Tel:02)302-3346 Fax:02)302-3906

27.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합동3)

This was founded in1983. We couln"t find the history of this denomination.

M102,791CM68,527Congr331M(m)366M(w)121
# 258-8 DoRim 2-Dong YoungDeungPo-Ku Seoul Tel:02)835-0567 Fax:02)302-3906

28.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성회)

보수합동 총회의 계속되는 분열을 반대하고 중립을 지키던 목사총대들이 다시는 분열하지 말고 성회 안으로 모이자는 뜻으로 교단명을 합동성회라 하였다(1987.9.28)

Org 5 presbyteries M10,013CM7,486Congr78OM64Eld17Deac4,008Ev38WOMnoWEldnoWDeac2,815
314-8 SamJeong-Dong Jung-Gu Puchon Kyung Ki Tel:032)672-4621 Fax:032-683-0578

29.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1)

1979년 제64회 합동총회가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된 이후 비주류는 크게 개혁, 합동보수 청암, 그리고 비주류로 나누어 진다. 이때 합동보수 청담(지도자 박병진)은 1982년 서초계열과 합동보수로 다시 분열하였다. 1985년 4월 합동보수(백동섭.박병진)와 합동개혁의 일부(박영환,이찬영)가 합동하여 합동보수로 호칭하였다. 1988년 합동측과 하나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89년 ICCC 가입을 결의하였다.

M199701CM133134Congr945M(m)1466M(w)134IntICCC
# 171-1 NaengChun-Dong SuDaeMoon-Ku Seoul Tel:02)363-5005 Fax:02)362-2513

30.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保守2)

1979년 합동측과 분리된 상태에서 총회를 구성하고 총회 합동을 기대하였으나 1987년 그 합의안이 깨어지면서 단일 교단으로 남게 되었다. WCC와 ICCC를 반대한다. 보수신앙을 고수하
여 큰 교세를 형성하였다. 9개 신학교와 10개의 성경학교를 운영한다.
M669,346CM446,232Congr1293M(m)1003M(w)200
# 460 HongEun3-Dong SuDaeMoon-Ku Seoul Tel:02)394-3220 Fax:02)379-4751


31. 합동보수3

1987년 (대성교회 박윤식)이단 시비 문제로 총회를 조직하여 보수신학을 고수한다.

M197,511CM31,674Congr807M(m)1243M(w)144
#930-42 BongChon-Dong KwanAk-Ku Seoul Tel:02)888-2151 Fax:02)888-2253

32. 합동보수4
M30.122CMCongr127M(m)225EldDeacEv600WOMM(w)94WDeac
#877-186 GilEum-Dong SungBuk-Gu Seoul Tel :02)941-0262



33.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改革)

1979년 64회 총회에서 합동교단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된 이후 비주류는 크게 3개의 분파로 나누어졌다가 다시 1980년 12월 16일 3개의 분파는 교단합동을 위한 연합총회를 하였다. 그러나 당시 군사정권은 한 개의 교단이 한 개의 신학교를 직영한다는 종교원칙을 세웠다. 각 분파는 자기의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었고 이들은 자기들의 기득권을 포기할 용의가 없었다. 결국 1982년 9월에 다시 3개의 분파로 나누어 진다. 그래서 개혁과 합동보수(청담)과 합동비주류측이 각기 총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1984년 9월 총회시에 합동비주류측은 “합동개혁”으로 이름을 개칭하였다. 합동보수측과의 합동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이단시비의 문제로 합동보수와 통합은 실패한다.

Org 26 presbyteries M84000CM68000Congr1200M(m)1250Eld150Deac27000Ev700WOMnoM(w)noWDeac19500LKoreaNatCCK, CPC, CPCA, CRCK Int
# 59-7 OnSu-Dong GuRo-Gu Seoul Tel: 02)611-2890 Fax: 02)688-2799

34.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眞理)

1976년 허광재.장정우. 이정우 목사 등 10여명에 의해 설립된 복음신학교를 모체로 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복음측)을 조직하고 초대 총회장에 허광재 목사를 선출한다. 1979년 5월 대한 예수교장로회 총회(합동 비주류)에 통합하였다가 1980년 합동 비주류의 교권주의와 지방색으로 인해 다시 분립하여 합동진리 총회를 조직한다. 1981년 12월 장종현목사가 연합측(이영목사측)과 합하여 합동정통교단을 조직하여 나갔다.
M44.747CM29,831Congr397M(m)575M(w)264NatCCK(1989.12..2), CPC(89.10.30)
# 604 ChoJi-Dong AnSan Kyunggi-Do Tel:0345)84-8344 Fax:0345)848343

35.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神1)

1976년 예장복음측 교단이 성립되어 79년 합동 비주류측과 통합하여 예장 합동진리연합이 생겨난다. 그후 이 교단은 1985년 9월 예장진리 연합과 분립하여 예장총신을 형성하였다. 그후 1988년 9월 제73회 총회에서는 이근수 목사를 총회장으로재선하고 교단명칭을 총신측에서 합동총신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M11,765CMCongr99M(m)128M(w)15
# 72-1 GaJoa3-Dong Sur-Gu Inchon Tel:032)572-1023 Fax:02)572-9685

36.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神2)

1976년 예장복음측 교단이 성립되어 79년 합동 비주류측과 통합하여 예장합동진리연합이 생겨난다. 그후 1985년 9월 예장진리 연합과 분립하여 예장총신으로 변경하였다. 1988년 9월 제73회 총회에서는 이근수 목사를 재선하고 교단명칭을 총신측에서 합동총신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1993년경 부총회장을 지냈던 김중곤 목사와 교단을 분립하였다.
# 799-1 BuPyung 1-Dong Buk-Gu Inchon Tel:032)523-5893

37.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正統)

1979년 제64회 ‘합동총회’는 세칭 주류측과 비주류측으로 양분된 후, 비주류측이 사분 오열하는 비극을 되풀이하였다. 이런 와중에서 장로교회의 ‘정통성’을 사수하려는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교단형성의 초석이 놓여졌다. 합동의 분열의 요인은 “모세오경‘의 저작권 문제와 총회직영 신학교를 15인 이사들이 ’총신대학‘으로 바꾸면서 사영체(주류)로 만든 것이다. 한편, 박아론 박사는 방배동 총회신학교를 운영한다. 총회는 총회신학교의 교장 박아론 박사가 I.C.C.C와의 관계를 지속하자 I.C.C.C와의 관계를 단절하기로 한 총회의 결의를 따를 것을 권고하고 불복하는 박아론 박사를 교장직에서 해임한다. 박아론 박사는 총회에 불복하고 분열하게 된다. 또한 제64회 총회에서는 주류측이 비주류측을 몰아내고 불법총회를 결의한다.
이에 1980년 5월 16일 비주류 인사들은 총회인준 신학교로 함북노회와 평북노회가 직영하던 대한복음신학교(1976.11.1 장종현 박사 설립)를 정식 총회신학교로 인준하고(교장및 이사장 장종현) 교단은 대한 예수교장로회 합동진리(총회장 이상열 목사)를 설립한다. 1981년 12월 29일 제66차 합동진리측 총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연합측 교단과 연합하였다. 연합측은 1963년 크리스천 독립교회연합회에서 출발하여 1976년 대한 예수교장로회 연합측으로 발전하여 온 교단으로 이미 1981년 1월 대한예수교장로회(은혜측)와 교단을 연합한 교단이다. 합동진리와 연합측은 합동을 하여 교단의 명칭을 합동진리연합으로 하였다. 1982년 12월에 제67차 총회를 기점으로 교단 명칭을 현재의 합동정통으로 하였다. 합동정통은 꾸준히 여러 교단을 통합하여 대교단으로 성장해왔으며 지금은 WARC와 한국장로교협의회에 회원교단으로 교회일치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산하에 신학대학과 기독교연합신문사를 운영한다.

Org39 presbyteriesM610,818CM183,482Congr1,695OM2905Eld514Deac39538Ev1,000WOMnoWEldnoWDeacLKoreaNatCPCK, CCKIntWARC,
#981-13 BangBae3-Dong SuCho-Gu Tel 02)584-9845 Fax 02)521-2729

38.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1979년 제64년 총회시에 합동이 분열되자 비주류측은 총회인준 신학교로 함북노회와 평북노회가 직영하던 대한복음신학교(1976.11.1 장종현 박사 설립)를 정식 총회신학교로 인준하고(교장및 이사장 장종현) 대한 예수교장로회 합동진리(총회장 이상열 목사)를 설립한다. 1981년 12월 29일 제66차 합동진리측 총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연합측 교단과 연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권의 대립과 신학적 차이가 발생하여 합동진리연합과 합동진리는 교단을 분립한다. 그후 합동진리총회는 1983년 총회본부와 신학교를 독산동으로 옮기고 총회장에 박영화 목사를 선출하였다. 그리고 농어촌 목회자 육성에 주력하였다. 이 교단은 1985년 제70회총회에서 교단명칭을 예정으로 개칭하였다.
.Org5 presbyteriesM4900CM2750Congr40M(m)35Eld14Deac520WOMM(w) LKNatCCAK, KHCInt
# 236-488 SinDang1-Dong Jung-Gu Seoul Tel:02)234-9201 Fax:02)236-2845

39. 대한예수교장로회(福音1)

1979년 제64년 총회시에 예장합동측과 분리하여 독노회로 있다가 1988년 총회를 구성하여 교단명칭을 복음으로함
M26,880CMCongr112M(m)162M(w)94
# 1-87 HyunJur-Dong SuDaeMoon-Gu Seoul Tel:02)392-8826 Fax:02)392-8828

40.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보)

The root of this denomination was saperated from HapDong(1960.2.17). The member of four sects, of which representatives are Rev. No Jin-Young of Mainsteram group, Rev. You Je-Suh, Rev. Son Chi-Ho of neutral, Rev. Bak Dong-Sup of Nonmainstream, formed a new denomination called HapDongBoSu(1980, Modreator Rev.Kim In-Seung). They combind with people of other denominations. They renamed YeJangHapBo(1991. 9).
Org16 presbyteries M187,500CM109,700Congr293OM249Eld86Deac86,700Ev358WOM1WEld1WDeac56,500LKoreaNat CCKInt
# 193-180 EuengBong-Dong SungDong-Gu Seoul Tel:02)281-9191 Fax:02)281-1191

Ⅸ. 중앙에서 비롯된 교단


BoSuJaeGun ?????????????????? BoSuTongHap
??
?? ?????????? JungAng
1970 1976 ?? ??
JangSin???????????? JungAng???????????????????????????????????????????????????? HapDongJungAng??????????????????????????????????????????????
1984 1986 ??
?????????? YuMok??????????????????YuMok??
??
??????????????YunHapYuMok


41.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中央)

대한예수교장로회(중앙)의 창립의 출발은 웨슬레신학교 교수및 졸업생, 재학생이 주축이 되어 교단창립의 배경이 되었다. 웨슬레 신학교는 ‘예수교감리회’ 소속의 신학교였다. 정부의 무인가 단속으로 총회감독인 문대골목사가 구속되었고 그후 신학교 교장 이원황 목사와 둘 사이의 불화로 이원황목사는 1970년 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창설하고 전만호장로 통합측의 강용식목사와 함께 대한예수교장로회(장신)총회를 결성하였다.
이때 신학교설립의 목적은 목회자의 사명감을 가지고 있으나 공부할 때를 놓친 사람에게 목회의 길을 열어준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졸업생 남발’이라는 불미스런 사건으로 총회계열과 이원황목사 계열로 나누어졌다. 백기환목사 정연송들이 1976년 4월25일에는 서울 중앙교회에서 총회를 소집하고 교단명칭을 “중앙”으로 변경하였다. 이듬해 4월25일에는 장로회신학교를 중앙총회신학교로 개칭했다.
1979년 4월25일 헌법개정안을 통과했다. 헌법개정에 나타난 특징은 여목제도의 채택이었다.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교단성장을 하였고 1983년 여목사제도를 신설하였다. 그러나 교단내부에 여목사제도를 반대하는 인사들이 있어 1986년 신광교회에서 모인 여목사와 여전도사들은 여목노회를 창립하여 목사임직의 불편함을 피하려고 하였으마 불행하게도 여목교단의 분립으로 이어졌다. 1986년 백기완 목사가 교단을 탈퇴하면서 중앙교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 1986년 10 27 총회에서 “중앙”에서 “합동중앙”으로 정정하였다. 산하에 합동중앙총회신학교가 있다.

Org 25 presbyteries M95,928CM43,000Congr443OM315Eld198Deac417Ev324WOMWEldWDeacLKoreaNatCCK(1990)Int
# 448-3 HongEun-Dong SeoDaeMoon-Gu Seoul Tel: 02)353-3777 Fax:02)353-0639

42. 대한예수교장로회(中央)

JungAng has the same history as HaDongJungAng. After Rev. Baek Kee-Hwan seceded from JungAng(1986), he kept the name of JungAng for the denomination he belonged to.
M60,479CMCongr355M(m)294Eld198Deac417M(w)221WDeac
# 383-30 WolKye 1-Dong NoWon-Gu Seoul Tel 02)943-3124 Fax 02) 943-2946

43.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統合)

보수재건총회는 중앙총회(현 합동중앙)과 교단의 뿌리를 같이한다. 이원황목사는 1970년 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창설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장신)총회를 결성하였다. 그후 불미스런 사건으로 백기환목사 정연송 등이 1976년 4월25일에 서울 중앙교회에서 총회를 소집하고 교단명칭을 중앙으로 변경하였다. 이듬해 4월25일에는 장로회신학교를 중앙총회신학교로 개칭했다. 1984. 8 정연송목사. 김호평목사 등은 중앙총회의 비리를 지적하다가 12월18일 ‘보수재건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총회장에 정연송 목사가 취임하였다. 당시 30여개의 교세였다. 1985년 신학교를 개강하였다. 1985년 1월28일 문공부에 등록 그해 10월 29일 제2회총회를 개최하였다. 산하 보수재건 총회신학원 운영하였다 그후에 교단을 연합하고 보수통합이라 명칭을 변경하였다.

M5914CMCongr102OM128EldDeacEv18WOM1WEldWDeac
# 433-3 JangAn-Dong Dongdemun-Ku Seoul Tel:02)246-4524 Fax:02) 264-7831

44. 대한예수교장로회 女牧 총회

이 교단은 1986년 9월 15일 영등포 소재 다매섹 교회에서 창립된 최초의 여목사들이 중심된 교단이다. 여목총회는 한국교회의 교권과 가부장제 아래서 여성들이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던 중 뜻 있는 여목회자들이 교단을 세웠다. 당시 중앙 총회내에서 교회를 담임하는 여전도사들이 여목제도를 신설할 것을 요구해 옴에 따라 총회는 가결하였으나 여전히 여성안수에 어려움이 있자 1986년7월 30일 신광교회에서 여목노회를 창립하고 노회장에 박정호목사를 선출한다. 그후 여목노회는 단독 교단으로 분열한다. 초대 총회장에 박정호 목사를 선출하고 서울노회. 산재노회. 해외노회로 3개 노회를 나누었다. 처음에는 신학교육은 합동중앙 신학교에 위탁교육을 실시하다가 1987년 여목총회 신학교 설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정호 목사가 신학교운영과 총회운영을 모두 맡으려는 과정에서 분열이 생겼고 1987년 2차 총회에서 횡포를 부려, 1987년 총회는 박목사를 제명하게 되었다. 첫출발을 하는 여성목회자 교단도 교권으로 인한 분열을 경험하게 되었다.

M15,407CMCongr103M(m)65M(w)136
# 879-1 DaeRim 1Dong YungDungPo-Gu Seoul Tel:02)848-5875

45. 대한예수교장로회 聯合女牧 총회

Rev. Park Jeong-Ho founded YunHapYerMok(1987). She is still moderator of this.
M5418CMCongr125M(m)9M(w)147
# 977-22 SinJeong4-Dong YangChun-Gu Seoul Tel:02)698-0583 Fax:02)607-2173


Ⅹ. 근본주의에서 비롯된 교단


1968 1972 1978
?????? Entrance of??????????????????????Bob John"s???????????? Fundamental??????????????????????????????????????????????????
Rev. Gerald Johns Seminary Church
?? 1983
?? ?? ?? ?? ?? ?? ?? ?? ?? ?? ?? ?? ?? ?? ?? ?? ?? ?? ?? ?? ?? ?? GunBon 2-


46. 대한예수교장로회(근본1)

근본주의 교단이 한국에 들어 온것은 1968년 4월이었다. 미국 봅 죤스 대학교및 복음 동지회에서 선교사로 온 제랄드 존스 목사가 내한하여 전도를 개시하였고 1972년에는 용산구에 마라나다 신학교를 설립하였다. 후에 1976년 2월 밥죤스목사와 이안페이슬리 목사를 지도자로 영국 에딘버러에서 세계근본주의자 대회와 그 해 11월 세종문화회관에서 한국근본주의자 대회를 개최하였다. 근본주의 교단은 1978년 3월10일 총회를 결성하였고, 1983년 6월 국제기독교연합회에 가입하였다. 산하 밥죤스신학교와 재활원, 모두 사랑의 집을 운영한다.

M18,262CMCongr116M(m)104M(w)23Nat한국복음동지선교회IntICCC(1983.6)
# 414-8 JangAhn-Dong DongDaeMun-Gu Seoul Tel:02)217-0718 Fax:02)215-3004

47. 대한예수교장로회(근본2)

1983년 3월2일 염행수, 황오규 목사등이 한국교회가 권위주의, 세속주의, 물량주의, 혼합주의로 인하여 기복신앙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보고 한국교회가 성서 즉 근본주의로 되돌아가야한다는 강한의지를 천명하고 동조하는 인사들과 함께 교단을 창립하였다. 염행수목사는 근본주의 총회 의 봅죤스(Bob Jones)신학교를 졸업한 근본주의자였다. 이 총회에 소속되어 있던 염행수 목사는 근본주의가 새대주의여서 신앙적으로 회의를 느끼고 장로교의 신학을 공부하던중 근본신학운동을 전개할 것을 다짐하게 되었고 총회를 결성하였다. 산하 장로회근본신학교, 기독교 예술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통합보수교단과 합동하였다.
M69,638CMCongr216M(m)243M(w)53
# 244-1 HanGangLo 1 YongSan-Gu Seoul Tel:02)795-2915 Fax:02)7952916


?. 보수에서 비롯된 교회


??호헌총회?? ?? ??보수 1963 보수신하교 1972 1979 1981
1962 총회 ?? ?? ?? ?? ?? ?? ?? ?? ?? ?? ?? ?? ?? ?? ?? ?? ?? 보수총회????????약화??????????????????????????????????????????????????????????????????
복구 ??????성합??????????????????예장 1988 ??????
??????성합측???????? 1984

48.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측)

1963년 3월 최성곤 목사(당시 호헌총회소속)와 김오성 목사가 중심이 되어 102개 교회가 연합하여 성동제일 교회에서 모여 보수총회를 결성하고 초대 총회장에 최성곤목사를 선출했다. 그리고 개봉동에 성화신학교를 세우고 김오성 목사가 교장이 되었다. 이들은 당시 통합과 합동의 분열의 원인을 신정통주의 신학이라고 보고 보수신학을 지키려 하였다. 이 모임은 주로 최성곤 목사의 사재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년 6개월 뒤 보수총회는 약5-6년간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 1965년 최성곤 목사의 도미이후 총회는 혼란이 가중되어 많은 교회가 떨어져 나갔다. 1972년 성화신학교 출신목사(조원국.김덕순.정인영)들이 보수총회의 복구를 목적으로 모였다. ‘ 보수’총회를 재건설하였다.

Org 8 presbyteries M12,779CMCongr109M(m)128M(w)78
# 467-24 BangBae 2-Dong SuCho-Ku Seoul Tel:02)587-1616 Fax: 02)586-2044

49.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1963년 3월 최성곤 목사(당시 호헌총회소속)와 김오성 목사가 중심이 되어 102개 교회가 연합하여 성동제일 교회에서 모여 보수총회를 결성하고 초대 총회장에 최성곤목사를 선출했다. 그리고 개봉동에 성화신학교를 세우고 김오성 목사가 교장이 되었다. 이들은 당시 통합과 합동의 분열의 원인을 신정통주의 신학이라고 보고 보수신학을 지키려 하였다. 이 모임은 주로 최성곤 목사의 사재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년 6개월 뒤 보수총회는 약5-6년간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 1965년 최성곤 목사의 도미이후 총회는 혼란이 가중되어 많은 교회가 떨어져 나갔다. 1972년 성화신학교 출신목사(조원국.김덕순.정인영)들이 보수총회의 복구를 목적으로 모였다. ‘ 보수’총회를 재건설하였다. 1979년 합동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된 이후 비주류측이 사분오열하여 보수총회의 교역자들이 대거 총회를 이탈하여 비주류 교단으로 옮아갔다. 당시200여개의 교회가 이탈하고 22개의 교회만이 교단에 남아 있었다.이때 1981년 9월25일 정봉국 정남열등이 주측으로 수습총회를 개최하고 군소교단 실무자들이 모여 교단을 합동하기로 결의하고 “거룩하게 합친다는 의미로 교단명칭을 보수총회에서 성합총회로 바꾸었다. 그리고 1984년 제69회총회에서 신학교도 보수신학교에서 ‘바울신학교’로 개칭하였다. 80년대 정부의 시책과 부흥하여 교세를 증가시킨다. 그후 1984년 10월 성합측(정봉국)과 분립한다. 1988년 7월 교단명을 대한에수교장로회 총회(예장)으로 개칭하고 총회본부와 신학교를 현재의 대립동으로 이전하였다.

OrgM 345,325CM185,000Congr425OM720Eld1120Deac140,000Ev850WOMnoWEldnoLKoreanNatCPCIntICCC(1985)
#717 DeaRim-Dong YoungDeungPo-Gu Seoul Tel 02)847-5091, Fax 02)847-5092

50. 대한예수교장로회(聖合側)

1959년 합동과 통합이 분열되던 혼란 속에서 총회의 보수신학 고수를 주장하던 인사들이 1960년 3월 102교회를 규합하여 성동제일교회에서 총회를 갖고 ‘대한에수교장로회보수총회’라고 명명하는 한편 초대회장에 최성곤 목사가 선임된다. 1964년 아세아신학대학원을 개설한다. 1979년 합동총회가 주류와 비주류로 분열되면서 교단내 많은 인사들이 합동 비쥬류에 가입함으로써 총회와 신학교는 약화일로를 거듭하였다. 1981년 9월 4개 군소교단 실무자들이모여 교단을 합동하리로 결의 하고 보수총회를 거룩하게합친다는 의미의 ‘성합총회’로 개칭하고 신학교도 합병하여 보수신학교를 바울신학교로 개칭한다. 그후 교단은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였다. 1984년 제69회 총회에서 바울신하교를 총회신학교로 개칭하였다. 동년 10월 정봉국목사가 교단을 분립하였다.

Org 9 presbyteries M39,040CM25,020Congr155M(m)104M(w)212
# 90 HanGangRo 2Ga YongSan-Gu Seoul Tel: 02)795-8165


?. 기타교단들

51. 대한예수교장로회(保守改革)

1980년 오균열 목사를 중심으로 독립총회를 조직하여 보수개혁총회를 선포한다.

OrgM7687CM4777Congr126OM129Eld27Deac1321Ev58LKNatCCKInt
#1-1 YunChi-Dong Chong Ro-Gu(1007) Tel: 02)764-3560, Fax: 02)764-3561

52. 대한예수교장로회(聯合側)

1960년대부터 전국 장로교회의 연합을 표명한 김세열 목사들에 의해 추진되어 1972년4월 5일 전주 영생교회에서 강흥모?김세열?김용안 목사의 회합으로 결성되었다. 그 해 12월 1일 김길창 목사가 가세하면서 명칭을 기독교 연합총회로 바꾸었고 1973년에 한국기독교연합총회 발기소집을 발표했다. 이어 1월 23일 서울에서 62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총회장에 김길창 목사가 선임되었다. 1984년 8월13일 제13회 총회에서 교단명칭을 현재의 대한예수교연합장로회로 개칭하였고, 1987년 현재 교단의명칭은 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측)이다.
산하에 한남 신학교(서울?전주)를 운영한다.

M7925CMCongr96M(m)102M(w)46
# 31-1 TaePyung-Dong Wansan-Gu ChunJoo Tel:0652)251-1185

53. 대한예수교장로회(聯合)

M10,448CMCongr18M(m)18M(w)18
# 830-53 SanBon-Dong GunPo KyungKiDo Tel:0343)29-2201

54. 대한예수교장로회(로고스)

1960년 아현교회의 김현봉 목사외 7교회의 목회자들이 기성교단을 탈퇴하여 독립교회의 상호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모임을 가짐, 그후 독립교회의 협의 기구로써 1971년 5월 10일에 대한예수교장로회 로고스 공의회라고 칭함 초대 총회장에 안길홍 목사선출 1990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로고스)로 개칭한다. 산하에 로고스신학교(창립1971) 운영한다.

M 800CM500Congr20OM14Eld4Deac190Ev6WOMWEldWDeacLKorea
# 13-7 SangDo 2-Dong DongJak-Gu Seoul Tel: 02)814-1813

55. 대한예수교장로회(정립)

본 교단은 예장서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이은규?김국인?최수행 목사등이 1964년 4월 10일 마포구 아현동 동원교회에 모여 총회를 창립했다. 총회에서 교단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 세계복음총회로 명명하였고 초대 총회장에 이은규목사를 선임했다. 이 동원교회 안에 ‘동원신학교’를 운영하였다. 초기 어려운 교세는 세계복음화선교회(총재:호시노에이찌목사)의 선교자금으로 산하 미자립교회들이 성장하였으며 1982년 정부당국의 무허가 신하교 폐쇄령에따라 동원신학교가 폐교되자 총회임원이 탈퇴하는 등 혼란이 야기되었다.
이를 수습하고자 장규환?김국인?김성식목사 등의 노력으로 정립총회를 발족시켰으며 총회장에는 장규환 목사가 선임되었다.

M16,786CMCongr 369M(m) 358M(w) 332
#265-5 EeungBong-Dong SungDong-Gu Seoul Tel 02)292-3450 Fax 02)294-2100

56.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보수)

그후 1984년 4월3일 정립교단의 일부와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비주류 측의 목사 한춘근, 김국인, 이순식, 목사등 50여명이 합동정립총회를 설립하고 총회장에 한춘근목사를 선임하였다. 1989년 10월5일 총회에서 교단 명칭을 합동 합동보수로 개칭하였다.

Org4 presbyteriesM3795CM2528Congr74OM68EldDeac492Ev38WOM13WEldnoWDea15,48
# 1-59 DoRim 1-Dong YoungDeungPo-Gu Seoul Tel: 02)841-6061 Fax: 02)845-0934



57. 대한예수교장로회(綜合)

박영빈 목사가 시작한 예장 복음선교회신학교(한국복음신학교)를 중심으로 1968년 4월7일 예장 종합교단을 창립했다. 이때 참여한 주요 인사로는 길진경, 조현종,박영빈, 김은규, 사상기, 김사명 목사들이었으며 초대 총회장에는 길진경목사가 선임되었다. 1970년 조현종 목사 체제로 교단이 정비되었고 교단 헌법을 제정정비하였다. 여기서 협동(1973), 총연(1976), 중립(1981), 정통총합(1983), 합동(1983)이 분열했다.

1970 1973 1976 1978 1981 1983 1989
1968 ?? ?? ?? ?? ?? ?? ?? ?? 종합 ????????????????????????????????????????????????????????????????????????????????????????????????????????????????????????????????????????????
복음선교신학교 ??????협동 ?? ??????정통 ???? 중립 ?????? 정통총합
(한국복음신학교) ?? ??
총연 ?????? 합동
??????????????????????????????????????????????????????????????????????????????????????????????????합동총연
↑ ↑
합동연합 혁신

Org4 presbyteries M1,050CM550Congr21OM22Eld9Deac45Ev25WOM3WEldnoWDeac185LKoreaNatCRCKInt
# 466-3 MangWoo2-Dong JungLang-Gu Seoul Tel:02)432-7656 Fax:02)432-7657

58. 대한예수교장로회(협동)

박영빈 목사가 시작한 예장 복음선교회신학교(한국복음신학교)를 중심으로 1968년 4월7일 예장 종합교단을 창립했다. 종합교단에서 1973년 2월13일 오경신, 박상걸, 박운성, 최 홍, 장철웅에 의해 총회구성

59.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總聯)

정영진목사는 1976년 종합에서 탈퇴하여 총연총회를 구성한다. 그후 1989년 4월에 합동연합(서태진), 고려총회에서 탈퇴한 혁신총회(박인본)는 교단을 통합하기로 결의하고 동년5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총연)을 창립하고 초대총회장에 서태진 목사를 선출한다.

M53317CMCongr386M(m)348M(w)269
# 1038-27 SaDang 1-Dong DongJak-Gu Seoul

60. 대한예수교장로회(中立)

1959년의 합동과 통합의 분열, 1979년 합동이 주류 비주류로 나누어진 후 1981년 한국교회의 분열현상을 안타깝게 생각한 중립노선의 통합측 합동측 인사들이 인사들이“초대교회로 돌아가서 단일복음주의 교회를 지향한다”는 모토아래 1981년 7월 25일 중립총회확대준비 기도회를 개최하였고 동년 9.24-26 창립총회를 소집하고 1912년 평양에서 창립된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횟수를 계승하여 제 66회 총회로 출발하였다. 초대회장에 장승찬목사를 선출하였다.
한편 1975년 세워지고 평양신학교로 불리워진 학교를 1978년 서울 웨스터민스터신하교로 명칭을 변경하고 1981년 총회신학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 교단은 보수적으로 축자영감설을 가르친다.
Org13 presbyteriesM75,007CMCongr451M(m)454M(w)23
# 186-16 GaePo3-Dong Gang Nam-Gu Seoul DongIn Church Tel:02)575-5904

61. 대한예수교장로회(正統總合)

이 교단의 설립자인 박인경 목사는 정통교단의 중앙노회에서 방신웅 목사에게 안수를 받았다.(1976). 그후 방신웅목사가 도미하자 그는 독노회에 들어았다가 거기서 탈퇴하여 종합에 들어간다(1981) 그리고 부총회장이 된다. 그후에 그는 다시 일부의 인사들과 함께 종합교단을 탈퇴하여 정통총합교단을 세운다(1983. 11.25).
M60000CMCongr120M(m)110M(w)0
# 528 AnYang-Dong ManAn-Gu Anyang Hojeong tower office 907 .Tel:0343)43-1848

6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총회)

1982년 12월 17일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총회로 설립. 1984년 9월 제69회총회에서 합동총회로명칭을 변경하였다.

M6,235CMCongr128M(m)117M(w)11
# 97-7 DaeBang-Dong DongJak-Gu Seoul Tel: 02)831-6100

63. 대한예수교장로회(讚揚)

1987년 11월 15일 총회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에 박종화목사를 선출했다. 1988년 3월2일 서울 중앙노회설립을 시작으로 5개노회가 구성된 후 동년6월 30일 서울 엘벧엘 교회에서 총회를 소집하고 찬양총회를 결성하였다.

Org 8 presbyteries M13,748CMCongr57OM54Eld46Deac501Ev19WOMnoWEldnoWDeacLKoreaNatCPCInt
# 13-2 UuMyun-Dong SuCho-Gu Seoul Tel:02)573-2102 Fax:02)579-6215

64. 대한예수교장로회(平合)

1989년 3월부터 피어선 신학교출신들이 화합의 역사를 이루는 총회를 구성하고자 모임을 갖기 시작하여 1989년 10월 17일 평합총회를 구성하였으며 총회장에 지병서 목사를 선출하였다.

65. 대한에수교장로회(합동복음)

1960년 장성호 목사는 예수교장로회 서울 신학원을 설립하고 1963년 9.19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로 문교부에 등록한다. 1964년 4월10일 임마누엘 중앙협의회 창립한후 1971년에 예수교 복지교회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복지 신학교와 복지 성경학교를 설립한다. 1982년 세계임마누엘 선교재단 설립. 1984년 7개의 군소 교단을 통합하여 합동복음총회로 개칭한다.1986년 관인 한림학원설립한다. 이 교단은 장성호 목사와 변동호 목사의 지도력 아래 각 학교의 성장과 군소교단의 영입으로 교세가 성장하여 왔다.
OrgM34,420CM16,812Congr272OM265EldDeacEv481WOM3WEldWDeac
# 3-135 ChangChun-Dong MaPo-Gu Seoul Tel:02)324-0580 Fax: 02)332-6798

66.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藝總1)

합동보수 총회 제66회총회가 분열된이후 1983년 12월23일 독고봉문 목사를 중심으로 4개 노회가 모여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총) 총회를 조직하였다. 임원선출제도를 두지 않고 목사임직일로부터의 순서에 따라 임원직을 맡는다.

M2260CMCongr45M(m)43M(w)29
# 90-8 ChoRyang 3-Dong Dong-Gu PuSan Tel 051) 465-6122

67. 대한예수교장로회(合同藝總2)

1988년 3월 예술을 통한 복음선교에 뜻을 둔 목회자들이 전병헌?최용수?이상열 목사를 중심으로 서울 예신 교회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합동예총 총회를 결성하였다. 이 교단은 산하에 서울 예술 신학교를 운영하며 연극, 문예, 미슬, 음악, 무용등의 예술을 통해 선교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한다. 기독예술신보를 발간한다.
Org 7 Presbytery
M32178CM20057Congr65M(m)70M(w)15
# 24-12 ChunHo-Dong GangDong-Gu Seoul Tel 02) 474-9664 Fax 02)485-5846

68. 대한예수교장로회(革新)

1973년 대한예수교장로회 보수총회결성이후 1987년 12월 총회명칭을 개혁보수총회로 1989년 5월합동총회에서 교단명칭을 혁신총회로 개칭하였다.
Org 7 presbyteries
M62814CMCongr72M(m)175M(w)7
# 96-4 BanPo 2-Dong SuCho-Gu Seoul Tel: 02)831-6100

69. 개혁합동1
Org7 PresbyteriesM24000CM11000Congr179OM193Eld169Deac4000Ev227WOM noWEld noWDeac7000LKoreaNatCCK,Int
#553-2 SeRyu 3-Dong KwunSun-Gu Suwon Tel 0331)5222-5630

70. 개혁합동2

1978년 9월 24-26일 서초동 소재 신광교회에서 72회총회를 개최하고 교단명칭을 개혁합동으로 명명한다.

M13272CMCongr125M(m)131M(w)7
# 1637-10 SuCho1-Dong SuCho-Gu Seoul Tel: 02)586-7434
71. 개혁합동3
M4065CMCongr23M(m)29M(w)7
# 134-2 Chang5-Dong DoBong-Gu Seoul Tel: 02)995-1906

72. 대한예수교장로회(남북)
M632400CMCongr116M(m)104M(w)23
# 174-13 YumRi-Dong MaPo-Gu Seoul Tel: 02)715-6735

73. 대한예수교장로회(대한신측)
M3552CMCongr58M(m)33M(w)35
# 885-27 BongChun10-Dong KwanAk-Gu Seoul Tel: 02)488-9944

74.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정통)
M3729CMCongr45M(m)58M(w)6
# 109 DonSoMunDong 6 Ga SungBuk-Gu Seoul Tel: 02)926-1416

75.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측2)
M700CMCongr45M(m)37M(w)19
# 311-7 SinJeong 1-Dong YangChun-Gu Seoul Tel: 02)652-9358

76. 대한예수교장로회(선교)
M1000CMCongr10M(m)56M(w)15
# 13-35 DonAm1-Dong SungBuk-Gu Seoul Tel: 02)929-1474

77. 대한예수교장로회(연신)
M6469CMCongr88M(m)84M(w)45
# 666-8 IlWon-Dong KangNam-Gu Seoul Tel: 02)573-6743

78.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M3731CMCongr37M(m)42M(w)13
# 236-488 SinDang1-Dong Jung-Gu Seoul Tel: 02)234-9201

79. 대한예수교장로회(정통계승)
M1200CMCongr55M(m)35M(w)20
# 522-8 SungNae1-Dong GangDogn-Gu Seoul Tel: 02)486-5897

80.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
M3511CMCongr64M(m)64M(w)36
# 613-21 Suyu 1-Dong DoBong-Gu Seoul Tel: 02)906-9837

8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2)
M30186CMCongr123M(m)132M(w)108
# 1675-7 BongChun6-Dong -Gu Seoul Tel: 02)887-2133

8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보수)
M18309CMCongr159M(m)199M(w)17
# 135-5 BangIee-Dong SongPa-Gu Seoul Tel: 02)417-7601

83. 대한예수교장로회(평안)
M1997CMCongr43M(m)45M(w)23
# 568 DoHwa-Dong MaPo-Gu Seoul Tel: 02)706-8558

84. 대한예수교장로회(평안)
M3172CMCongr40M(m)59M(w)
# 150 HongIk-Dong SungDong-Gu Seoul Tel: 02)296-1947

85. 대한예수교장로회(한국보수)
M6906CMCongr132M(m)145M(w)12
# 207-9 JungHwa-Dong JungRang-Gu Seoul Tel: 02)492-4968

86.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경성)
M12901CMCongr84M(m)53M(w)49
#48-7 MunJeong-Dong SongPa-Gu Seoul Tel: 02)407-1271

87.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교1)
M11510CMCongr77M(m)77M(w)43
# 373-5 IeeMoon 1-Dong DongDaeMoon-Gu Seoul Tel: 02)652-9358

88.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교2)
M16375CMCongr161M(m)135M(w)26
# 621-6 Mok3-Dong YangChun-Gu Seoul Tel: 02)642-1101

89.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목)
M44120CMCongr82M(m)47M(w)40
# 68-3 HwiGyung2-Dong DongDaeMoon-Gu Seoul Tel: 02)245-9204

90.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연합)
M85841CMCongr391M(m)317M(w)65
#192-2 JangChung 2-Dong Jung-Gu Seoul Tel: 02)277-0079

9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선)
M2814CMCongr31M(m)71M(w)
# 298-13 SinGil-Dong YoungDeungPo-Gu Seoul Tel: 02)831-1277

9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총)
M2393CMCongr67M(m)51M(w)16
# 32-63 DangSan 4Ga YoungDeungPo-Gu Seoul Tel: 02)631-6967

93.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정신)
M112275CMCongr186M(m)194M(w)102
# 27-4 YongDu 1-Dong DongDaeMoon-Gu Seoul Tel: 02)969-3976

94.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립)
M4537CMCongr102M(m)88M(w)39
# 856-1 BangBae 4-Dong SuCho-Gu Seoul Tel: 02)537-3777

95.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통합)
M22932CMCongr133M(m)202M(w)64
# 82-27 YukChon 2-Dong EunPyung-Gu Seoul Tel: 02)386-9960

96.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2)
M51481CMCongr310M(m)309M(w)34
# 209-2 JamSilBon-Dong SongPa-Gu Seoul Tel: 02)417-2409

97.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3)
M8850CMCongr73M(m)79M(w)13
# 661-11 GongLeung 1-Dong NoWon-Gu Seoul Tel: 02)948-9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