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월남교인의 통계와 활동 자료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계] 월남교인의 통계와 활동 자료


“해방 후 월남 기독교인이 교회 장악”
한신대 강인철 교수 주장 “교단 반공·보수주의화 큰 역할”


조연현 기자



?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반핵반김 국민협의회 등 보수 단체들이 ‘국가보안법 사수대회’에서 대형 태극기와 성조기를 펼쳐 보이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서울시청 앞 극우보수집회에서 군중 동원 은 보수적인 교회들이 전담하다시피 했다. 반독재와 민주화를 위해 앞장서온 교회와는 전혀 다른 얼굴이다. 지난 19~20일 서울 신촌 연세대에서 역사문제연구소가 개최한 한-독 국제학술회의 ‘분단과 전쟁의 결과’에서 한신대 종교문화학과 강인철 교수가 남한내 극우보수를 이끌어온 월남 개신교인들의 실체를 밝혔다.
강 교수는 ‘월남 개신교인들이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논문에서 1945년 해방 당시 전체 개신교 신자의 60%가량인 20여만명이 북한 지역에 살았는데, 이들의 35~50%에 해당하는 7만~10만명이 1945~1953년 사이 남한으로 이동했고, 이들은 남한 개신교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로교와 감리교에서 교회권력을 장악하며 개신교 내부의 여론을 주도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월남 개신교인이 극단적인 반공주의 경향을 보인 원인으로 해방 뒤 3년 동안 북한에서 벌어진 개신교인과 사회주의자 사이 충돌을 꼽았다. 해방 직후 북한의 개신교인들은 우익 정치운동을 주도했으며, 특히 개신교인이 많은 평안도·황해도 등에서 반공운동이 거셌는데, 당시의 경험이 극단적인 반공주의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반공을 가슴에 품고 월남한 개신교인들은 반공을 국시로 내건 정권들과 거부감 없이 결합해 지지세력이 됐다”며 “월남 개신교인들의 성향과 동태는 개신교의 정치적 역할을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조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