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원만 급급하여 ..... - 고신의 사설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개인구원만 급급하여 ..... - 고신의 사설


번호 : 414 등록일 : 2005-03-23

(사설) 근본주의 신학과 고신신학

근본주의 신학(Fundamental Theology)은 신학과 성경의 진화를 받아들이지 않으며 자유주
의 신학을 용납하지 않는다. 근본주의 신학은 성경의 무오를 주장하며 프로테스탄트 기독교
의 근본 원리들을 문자적으로 수납하고 전통적 정통신념을 주장하는 신학사상이다. 그런 측
면에서 고신 신앙과 일맥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근본주의란 정통주의요 정통파 기독교이다. 어떤 비평가는 근본주의 운동의 기원을 19세기
말로 보아 시대론적으로 천년기 전 재림론자들이 1895년 나이야가라 사경회에서 작성한 신
조를 구체적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그때의 신조는 다음과 같다. △성경의 무오성 △그리스도의 신성과 처녀 탄생 △대속적 죽
음 △육체적부활 △신체적인 재림 이러한 5가지 조항을 근본주의자들이 축소한 것이라고 비
난하는 자들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주장들이다.

금일 근본주의자들이 비난을 받게 된 이유는 1910년 이후에는 자유주의와 싸웠고, 특별히
WCC와의 싸움은 오랜 시간동안 끌어 왔다. 그러나 그 나름대로 근본신앙을 유지하는데 크
게 공헌하였다.

그 이후 그들은 반대만 하는 소극주의에 빠졌고 그들은 학적 연구를 권장하지도 않았고, 천
박한 지식과 개인주의로 나아갔다. 그리고 개인 영혼의 구원에만 급급하고 지역 사회를 외
면하였다. 그리하여 율법주의로 변질되었고 지엽적인 문제로 많은 분열을 가져왔다. 시간
이 흘러 2세들은 새로운 사상을 접하게 되어 비 교파주의로 분파되기도 하였고, 내적으로
분쟁과 나눔이 있었다.

근본주의가 1909년 프로테스탄트 기독교의 전통적 정통신념들의 그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밖으로 눈을 돌리고 교육과 선교와 구제와 치유에 더 큰 힘을 쏟았다면 얼마나 좋
았을까 생각해 본다. 마치 우리 교단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이 생각된다.

만약 우리 교단도 자유주의 신학과의 싸움이니 우상숭배와의 싸움이니 외면적인 일에만 치
중하고 내적으로 신학교수들의 현대신학동향 파악의 연구논문이 쏟아져 나오지 않고, 각국
에 파송된 선교사들의 놀라운 선교 보고와 그리고 병원을 통한 치유의 전도 역사와 사회를
향한 교회의 자세가 구체적으로 실천되지 않는다면 근본주의 신학을 주장하였던 그들처럼
율법주의로 도태하고 말 것이다.

이제 아름다운 교리만 주장하는 교단이 아니라 형제간의 화합과 사회를 향한 구제와 세계
를 향한 선교와 선배들이 물려 준 성경적인 교리 준수와 우상숭배 근절과 내일을 내다보는
혁신적인 개혁방안으로 한 덩어리가 된 고신 교단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