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봉목사님의 생애와 부흥사역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이성봉목사님의 생애와 부흥사역


이성봉목사의 생애와 부흥사역

이성봉목사는 올해로 출생 101주년이다. 그는 한국의 무디(Moody)라고 불리울 만큼 한국 방방곡곡은 물론 만주, 일본 그리고 미국에까지 복음(gospel)을 전파하는 것으로 평생을 보냈다. 물질과 이성에 청렴했고 명예에 초연한 사랑의 화신으로서 오직 “예수”, “천당”의 복음만을 전하다가 66세 일기로 부흥사의 생을 마쳤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들어오기 전만해도 ‘은둔의 나라’(Hermit Nation)로 통하던 한국이 이제는 ‘허락의 나라’(Permit Nation)로 바뀐 지금 복음의 위대한 역사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서는 이성봉목사와 같은 훌륭한 신앙의 인물을 연구하고 그가 차지한 위치를 재확인하고 이성봉 목사의 생애와 부흥사역을 통하여 나타난 신앙사건과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자신의 위치를 재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이 글을 기술하게 된 중요한 목적이다.

본 글의 연구의 범위는 이성봉목사의 생애를 통하여 나타난 실천적 삶과 신앙, 그리고 목회사역과 부흥사역 가운데 나타난 방법 및 신학에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1차 자료인 이성봉 목사의 자서전과 설교집, 녹음테이프 최근 발행한 (2000년) 이성봉목사 탄신 100주년 기념 회고록 및 학술논문집 등을 주로 참고할 것이며 기타 사전 및 교회 사적 관련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려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글을 쓰게 된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다루었고, 선행연구를 다루었다.

제2장에서는 전문적인 부흥사역을 시작하기 전 이성봉 목사의 출생전후 시대적 상황을 정치적 교육적 측면에서 다루었고, 출생이후 성장 과정과 일생의 대전환을 가져온 회심과정을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신학수업과 개교회 목회사역을 다루었다. 즉, 수원교회 개척 목회사역, 목포교회 목회사역, 신의주교회 목회사역, 기타지역 목회사역을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이성봉 목사의 본격적인 부흥사역에 대하여 다루었다. 먼저 1937년 전국 부흥목사로서의 출발 배경을 다루었고, 1938년 국내 첫 부흥사역, 일본 만주, 국외 부흥사역, 해방이후 성결교회(holiness church)재건과 부흥사역, 6.25 동란과 임마누엘 특공대의 사역, 희년기념 준비 성회의 복음 신도대의 부흥사역, 제주지역의 부흥사역, 미국순회 부흥사역들을 시대별로 다루었고, 전국 1일 1교회 순회 집회 및 죽음을 마지막에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이성봉 목사의 체험적 신앙의 삶과 정결한 생활의 모습을 다루었고, 부흥사역에 나타난 방법 그리고 그의 사역에 나타난 회개와 재림의 신학을 다루었다.

제6장은 본 글의 결론 부문으로 지금까지의 내용을 약술하고 이성봉 목사의 삶과 신앙, 그리고 부흥사역이 오늘의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가를 제언함으로써 본 글을 끝맺으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