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고신과 신사참배, 한국교회의 정통성 등에 대하여 [한국교회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회사] 고신과 신사참배, 한국교회의 정통성 등에 대하여 [한국교회사]


분류: 교회사- 한국 교회사

===============================================


/기독교보/인용 (2003.11.5.)
---------------------------

“한국교회 정체성 위기 신사참배 문제서 비롯”

최재건 교수, {한국 교회 정체성 위기 여기서 비롯}


“신사참배 문제는 아직도 살아있다.” 일제치하 신사참배 반대 운동에 그 역사와 신앙의 정체성의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자타가 인정하는 고신대 개교 57주년 기념 특강에서 최재건 교수(천안대 역사신학)는 현 고신대 사태는 고신의 정체성 위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곧 고신을 비롯한 한국 교회가 아직도 신사참배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주한 장로교 선교부의 대응”을 주제로 한 이날 강연에서 최 교수는 한국 교회는 일제 치하에서도 공교회적으로 신사참배 문제에 대응하지 못했으며 지금까지도 신사참배에 대한 교회사적 입장을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최 교수는 일제 치하 주한 장로교 선교부는 그들이 운영하는 신학교와 학교들의 폐교를 불사하며 신사참배 반대를 공식화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주한 선교부의 신사참배 대응 과정을 각 장로교 선교부 파송 선교사들의 당시 행적과 함께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최 교수는 고신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한부선(B. Hunt) 선교사가 올해로 출생 100년이 되는 해임을 상기시키는 등 신사참배반대 운동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순교정신 계승을 위한 교육 과정이 준비되어 있는지 고신에 질문하기도 했다. 이날 최 교수의 강연을 경청한 고신의 여러 교수들은 현재 고신이 신사참배 반대운동 연구의 실제적인 중심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