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세상이 보는 종교 별 활동상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종교] 세상이 보는 종교 별 활동상


한국인은 ‘한국 근·현대사 발전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끼친 종교’로 개신교를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한신대학교 신학연구소(소장:채수일)가 현대리서치에 의뢰해 2월 20일부터 한 달간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한국 개신교가 독립 민주 인권 등 근대화와 통일운동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응답자들은 ‘구한말 이후 한국 개신교는 한국 사회에 이로운 활동을 했다(42.2%)’, ‘개신교가 독립운동에 기여했다(38.8%)’, ‘개신교는 민주화 과정에 기여했다(31.1%)’고 답했으며, 33.8%의 응답자가 ‘개신교가 남북화해와 통일운동에 기여할 수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19.2%가 ‘개신교가 한국의 정치발전에 기여했다’는 데 동의했으나 ‘개신교는 독재권력과 유착관계가 있었다(15.8%)’, ‘친미성향을 지니고 있다(30.2%)’고 지적해 개신교의 정치성향은 ‘보수적’이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교회가 우선적으로 참여해야 할 사회적 과제’에 대해서는 ‘경제정의 실천(17.6%)’, ‘정치개혁(13.0%)’, ‘남북화해와 평화추구(12.6%)’를 꼽았다.

그러나 개신교 현실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가 많이 나타나 개신교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한국 개신교는 자기 교파·교회 중심적이다’는 문항에 68.9%가 ‘그렇다’고 대답했으며 ‘우리주변에 품위와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많다’는 질문에 52.8%가 응답했다. 종교에서 이탈한 사람(172명) 가운데 개신교에서 이탈한 비율이 56.4%로 가장 높았고 불교가 19.8%, 천주교가 18.0%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개신교인이 20.2%, 불교도가 20.1%, 천주교인 8.9%로 종교인이 49.9%를 차지했고 비종교인은 50.1%였다.

한신대 신학연구소 박재순 박사는 “개신교가 과거의 영향력을 회복하고 사회적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려면 영성개발과 나눔실천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배경 기자 등록일 200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