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추도 예배 와 제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신학] 추도 예배 와 제사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추도 예배 에 대한 이해 ********
* 진정한 아버지 는 만유 와 사람을 지으신 주(여호와) 하나님 한분 뿐이시다.
또 은혜 전달 수혜 기관으로서 의 부모 에 대한 공경함 의 마음을 가짐은 결코 우상 숭배
일수 가 없다. 우상은 사람 의 탐심으로 인해서 빚어지는 하나님 의 보증하심 이 없는 욕망
사항 이나 사람이 부모 공경함 의 마음을 가짐은 그 자체가 우상 숭배는 아니요 또 다른 모
습의 하나님 경외 의 가시적 표현된 신앙이 됨을 부인할수 없다. 근본적 으로 하나님 이
사람 의 어버이 이시기 에 이다.

그러나 조상 의 은덕을 기림 은 기독자 로서 옳게 하나님 의 영광을 드높임 일 때 성
취됨이다. 조상 의 은덕을 기림은 제사함 으로 성취할수 없으니 사람 은 근원 적으로 예
배 의 대상이 될 수 없는데 그 방법이 죽은자 자체에 대한 공경 곧, 제사 가 된다면 이는
발상 자체가 오류에 의한다.

헌데 부모 공경에 있어서 성경66권 의 문서 계시 외에는 하나님 을 아는 지식이 바탕적으로
결핍되어 있기에 본질적 인 것은 잊은채 껍데기 만을 붙잡는 경우 가 비일 비재 하다.
하나님 의 의도 하심은 하나님 의 뜻을 따라 영생자 로 살도록 피조 하심 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조상의 은덕은 영원히 기려질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 께서 스스로 드러내신 질서
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 방법 과 본질이 문제 가 되는 것이다.

첫째 그 방법을 예수님 께서 보이셨다.
근본 하나님 이시나 독생 하신고로 제한을 받으셨으나 그 가운데서 창조 질서를 어기신바
조금도 없으시다. 예수님은 하나님 의 영광을 자신을 내어 주시기 까지 , 하나님을 영화롭
게하고 이를 영원토록 즐거워 하심으로 사람 의 존재 목적을 다함으로 동정녀 마리아 에게
나신 자 로서도 진정한 조상 의 은덕을 기리는 바를 영원 하면서 도 온전히 완성 하셨음 이
다. 사람 이 진정 조상의 은덕을 기리기 원한다면 그 대상이 조상이 있게하신 " 하나님 "
께 예배함이 옳다.
" 영원히 살아계신 하나님 께 살아있는 중에 거하는 사람이 경외함 으로 자신을 하나님 뜻
에 온전히 바치는 살아있는 예배 를 드리는 자가 진정 조상의 은덕을 기리는 복된자 이다."

둘째. 본질에 있어서 썩은 것이나 썩을 것이 아닌 영생 자체로 기려야 함인데 하나님 을 경
외치 않는 것은 모두 헛되고 헛된 썩은 썩을 것이다.. 예수님은 하나님 께 예배할 때 썩은
것, 썩을 것으로 드리시지 않았다. 자신 곧, 살아있는 자신을 드리셨음 이다. 살아있음 이란
근본적 으로 생명을 주시는 자와 연관이 끊어지지 않음 이라는 것이다. 이 사실은 예배 와
제사 의 근본적 인 차이를 가져오는데, 오직 예수님 의 사활 대속을 입지 않은 그 모든 언
행 심사는 아무리 사람이 보기에 정결해 보여도 본질상 죽은 것이다. 성령 의 소욕을 좇지
않은 것은 육체 의 소욕을 쫓은 것일뿐 중간은 없다. 아무리 여러 변론으로 정당화 하려
해도 예수님을 믿어 구주로 영접하여 영 이 살아 살리는 영을 쫓지 않은 행위는 죽은 것 일
뿐이다. 물론 불신자 의 경우는 추도 예배 자체를 드릴 자격도 주어지지 않았다.
예수님 을 구주로 영접하고 나서야 예배가 가능하기에 이다.

******* 제사 에 대한 이해 **********
사람이 하나님 의 모양 과 형상으로 지어졌기에 아무리 타락 했다 하나 자식 사랑하는 마음
과 부모 공경 하는 마음 은 있다. 그러나 이는 자연 은총 에 의한 것이기에 근본적 인 원
죄의 해결이 없는 마음 일 뿐이다.

* 제사에 대하여 유교 의 윤리 사상에서 알리는 바를 먼저 소개하면,

[ 효는 가정 윤리이다. 효 라는 글자는 자식이 늙은 어버이를 업고 있는 형용이다.
좁은 뜻으로 는 " 어버이의 뜻을 받들어 자식의 도리를 다하는 것 " 이 된다.
그러나 효 의 윤리는 더욱 확충이 된다. 가까이는 부모에 대해서지만 더 넓혀 조부모 증조
부모 등 조상으로 확대되어 간다.... 효는 바로 이 수많은 조상에 대한 윤리 이다.
인간 이라면 자기 자신이 존재 하게끔 해주신 조상에 대해 " 감사 의 염 "이 없을수 없다.
인간이란 누구나 수많은 조상의 은혜에 의해 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제사 가 바로 이 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이고 추모의 의식이다.
제사를 우상 숭배 라 배척하는 일부 종교 가 있지만 그건 제 조상에 대한 은혜조차 모독하
는 부류이다. 자기 뿌리 조차 부인 하면서 어찌 남을 사랑할수 있단 말인가.
유교에 있어서 제사는 " 죽은 이 섬기기를 살아있는 이 섬기는 것과 같이 한다 " 는 정신으
로 올려지는 의식이다. 귀신이 있어 귀신이 젯상 위에 앉아 있다고 생각해서 음식을 올리고
절을 하는 것이 아니라 " 거기 계시는 듯 절을 드리고 살아 계시는 듯 음식을 올리며 추모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사는 효 윤리의 확충이다.
(한국인의 윤리 사상. 율곡 사상 연구원.1992.4.10. 447쪽 에서 )]

윗글 이 바로 상제사를 올리는 유교 입장이다. 곧 자손의 정성 표현이요, 조상 과 자손 간의
연대의식 에 대한 정감을 의례 속에 구현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상제사를 거부하는 입장이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소개하면,{{ 음식은 육신에 바치는 것이다. 도덕은 영혼의 양식이다. 비록 지극한 효자 라도
부모 가 잠들어 있는 앞에 음식을 바칠수 없는데 하물며 영원히 잠든 앞에서랴
.... 헛된 것이 아니라면 거짓된 것이다. 사람의 자식된 자로서 헛되고 거짓된 예로서 어찌
죽은 부모를 섬길수 있겠는가.
( 벽위편 권7. 상재상서. )
신주 도 부모 와는 기맥 이 관련되어 있는 것도 아니요, 길러준 은혜 도 없는데, 부모라는
중대한 칭호로 부를수 있겠는가. 이치도 없고 양심도 허락 하지 않는다....}}
****** 성경 계시 가 없는 이들 로서 이나마 제사 제도 가 존재 했기에 좀 덜 부패했을지
는 몰라도 예수님을 구주 로 영접한 자들 로서는 받아들일수 없는 것이다.

1. 조상에 예를 다한다 하면서 정작 조상이 존재 하게 해주신 주 하나님 을 경외함이 빠져
있다. 설사 조상신을 거슬러 절대신 에 대한 공경 이라 해도 결정적인 문제가 있으니 원죄
성이 해결되지 않은 죽은 자 의 죽은 행위를 진정 공경이라 할수는 없기에 이다.
2. 섬기는 정신으로 올리는 예식이란 이미 윤리 의 범주를 넘어선 일종의 종교 행위이다.
3. 사람 에게는 그리스도 외에 하나님 께서 머리로 놓으신바 없는데 이같은 제사 라는 행위
로 그리스도 예수님 께서 자유케 하여 주신 자유함을 빼았고자 하는 공중 권세자들의 술수
에 불과하다. 단순히 가정의 범주를 넘어서 종중 이니.. 향사 니... 보다 커지는 종묘 제례
라는 것도 이러한 범주 이며, 단군 정신 배양 도 결국은 그 뿌리가 이같은 의도 와 다를바
없다.

****** 진정 효를 다하기를 원한다면 조상들이 수없는 노고 와 고난 가운데서 자신 이라는
존재 가 있게 하여 주심에 대하여 사람 으로서 의 존재 목적을 다할 때 그것이 바로 조상을
대우하는 것이다. 우리가 예수님 을 믿어 그리스도 안에서 참 마음 과 온전한 믿음 생활 을
하는 것이 진정한 효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