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1910-1937년의 식민지 시절 경제 [한국교회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회사] 1910-1937년의 식민지 시절 경제 [한국교회사]


분류: 교회사- 한국 교회사

===============================================

일제 경제 (백목사님 신앙생활 직전의 사회)

박윤선이 겪었던 가난은 당시의 조선 농부들이 보통으로 겪고 있던 것이었다. 일제의 병탄 후 한국 자본에 의한 산업 발달은 극도로 제한되었다.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으나 이는 일본인들을 위한 것이었고, 헐값에 일본에 강제 수출을 당한 뒤 남은 쌀로 조선인들의 주린 배를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지속되는 쌀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들의 일인당 평균 쌀 소비량은 1921년에는 6-10말이던 것이 1937년에는 3,4말로 줄어들었다. 조선인들의 부족한 식량을 채우기 위하여 만주로부터 입에 맞지 않는 곡물이 수입되기도 하였다. 조선은 이제 일본의 식민지로서 쌀을 비롯한 농광산물의 원산지이며, 일본의 공산품을 소비하는 시장이 되었다.

일본 정부가 한반도에서의 토지조사사업을 완료한 1918년 일본인들은 실제적으로 조선 땅의 주인이 되었다. 총독부의 비호하에 제한 일본인의 숫자는 늘어났고 전통적인 조선의 농가는 소작인으로 전락하였다. 자작농으로 남을 수 있었던 대다수의 농민들은 겨우 연명할 정도였다.

1916년 총독부 자료에 의하면 60% 이상 되는 농가가 1정보(2.45에이커)가 안 되는 땅에서 농사를 지었다. 1924년에는 44.6%의 가구가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식량도 확보하지 못하였다. 수많은 조선 농부들이 매년 만주 땅으로 이주해 간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들이 그곳에서 당한 고생은 지금까지도 많은 작가들의 창작 소재가 되고 있다.

박윤선의 회고에 의하면, 그의 부친은 이렇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그의 가족을 잘 돌보아"그 노력에 의하여 중산계급"까지 끌어 올렸다 가난한 삶은 그의 생애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1960년대 그가 총신에서 가르칠 때에 그는 "중산층"이라는 말을 때때로 사용하곤 하였는데, 그의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은 그가 사용하는 "중산층"이라는 용어가 "그 당시 농부들 가운데 중산층"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하였다.